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서북벽의 제1굄돌(들보)

  • 저필자
    김진순(대구국제공항 문화재감정관)
강서대묘(江西大墓) 서북벽 모서리 제1 굄돌 옆면에 그려진 벽화이다. 제1굄돌은 무거운 석재 천정의 하중을 안전하게 받치기 위해 묘실 벽 위에 올려 진 건축 부재(部材)로, 들보 혹은 양방(梁枋)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들보는 직사각형의 긴 석재를 묘실 벽보다 약간 앞으로 튀어나오게 평행으로 올린다. 그러나 강서대묘의 경우는 특별히 들보가 올려 진 네 벽 모서리에 삼각형의 작은 고임돌을 별도로 끼워 넣었는데, 이는 천정의 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건축학적으로 세밀히 고안된 것이다. 따라서 강서대묘는 고구려의 발달된 석조건축 기술을 보여주는 걸작이라고 할 수 있다.
화면에 보이는 문양은 들보에 그려진 팔메트{종려잎 문양. ‘인동’이라는 명칭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나 국제적 통용어는 팔메트임} 연화(蓮花) 당초문(唐草紋 : 덩굴 형식의 식물문양)의 일부이다. 당초문의 덩굴이 파도치듯 구불구불 펼쳐지기 때문에 파상형(波狀形態 : 파도모양) 당초문이라 불린다. 당초문은 고대 그리스, 로마, 페르시아, 아라비아,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각 나라의 독자적 문화와 결합하여 다양하게 발전해 온 다국적(多國籍) 문양이다. 중국의 당초문은 중국 고유의 동물형 당초문(일명 용당초龍唐草 혹은 훼룡문계당초虺龍紋系唐草)과 서방 전래의 식물형 당초문으로 나뉜다. 고구려에서는 중국과의 활발한 문화적 교류로 인해 이 두 가지 형태의 당초문이 모두 사용되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는 안악(安岳) 1·2·3호분, 수산리고분(水山里古墳), 환문총(環紋塚) 등 주로 평양(平壤) 지역에서 많이 보이며, 후자의 서방계(西方系) 당초문은 5세기 말 경에 고구려에 전래되었으며, 통구(通溝) 사신총(四神冢), 강서중묘(江西中墓), 강서대묘(江西大墓) 등과 같이 후기 사신도 벽화에서 주로 보인다.
서북벽 모서리의 고임돌에 그려진 당초문은 갈라진 팔메트 이파리 사이로 연꽃이 몽우리 져 피어오르는 모습이 다양하게 묘사되었는데, 색채의 농담과 선의 굵기를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반복되는 단순함 속에서도 연화 덩굴의 화려한 듯 단아한 아름다움을 잘 표현하고 있다. 채색기법은 역시 동양화의 선염법(渲染法 : 색을 차차 엷게 발라 명암을 나타내는 기법)과 같이 명암을 강조하여 부드러운 입체감을 잘 살려내고 있다.
연화는 원래 불교에서 깨달음과 재생(再生)을 의미하는 꽃이지만, 도교적 성격의 고구려 후기 사신도 고분벽화에서는 종교성보다는 장식성이 강조되어 등장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북벽의 제1굄돌(들보) 자료번호 : kk.d_0001_005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