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동벽의 제1굄돌(들보)

  • 저필자
    김진순(대구국제공항 문화재감정관)
강서대묘(江西大墓) 동벽 제1굄돌 옆면에 그려진 벽화이다. 제1굄돌은 무거운 석재 천정의 하중을 안전하게 받치기 위해 묘실 벽 위에 올려 진 건축 부재(部材)로 들보 혹은 양방(梁枋)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고구려벽화고분은 실제 건축물을 모방하여 축조하였기 때문에, 들보와 같은 목조 건축물 가구(架構)가 초기 고분벽화에서부터 등장하기 시작한다. 초기 고분벽화의 들보에는 대개 괴운문(怪雲紋 : 괴상하게 생긴 구름무늬) 혹은 운문(雲紋)과 같은 구름무늬를 단청(丹靑)하여 지상위에 축조된 무덤 공간이 더 이상 현실세계가 아닌 사후의 천상세계임을 암시해주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중기 고분벽화에 이르러, 불교적 성향이 강해지면서 연화당초문 등 식물계 문양으로 새롭게 대체되어 장식되기 시작하였다.
화면에 보이는 문양은 연화문(蓮花紋)과 넝쿨형태의 팔메트계{종려잎 문양. ‘인동’이라는 명칭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나 국제적 통용어는 팔메트임} 당초문(唐草紋:덩굴 형식의 식물문양)이 결합된 모습으로, 파상형(波狀形態 : 파도모양) 당초문이라 불린다. 당초문은 고대 그리스, 로마, 페르시아, 아라비아,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각 나라의 독자적 문화와 결합하여 다양하게 발전해 온 다국적(多國籍) 문양이다. 중국의 당초문은 중국 고유의 동물형 당초문{일명 용당초(龍唐草) 혹은 훼룡문계당초(虺龍紋系唐草)}과 서방 전래의 식물형 당초문으로 나뉜다. 고구려에서는 중국과의 활발한 문화적 교류로 인해 이 두 가지 형태의 당초문이 모두 사용되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는 안악(安岳) 1·2·3호분, 수산리고분(水山里古墳), 환문총(環紋塚) 등 주로 평양(平壤) 지역에서 많이 보이며, 후자의 서방계(西方系) 당초문은 5세기 말 경에 고구려에 전래되었으며, 통구(通溝) 사신총(四神冢), 강서중묘(江西中墓), 강서대묘(江西大墓) 등과 같이 후기 사신도 벽화에서 주로 보인다.
화면에 보이는 당초문의 문양 구성은 중앙의 보주(寶珠 : 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 연화문(蓮花紋)을 중심으로 양쪽이 좌우 대칭을 이루는 방식으로 묘사되었다. 보주연화문은 복련(覆蓮 : 꽃잎이 밑을 향한 연꽃무늬)의 연화대좌 위로 보주형 봉오리가 맺혀있고 그 위로 3엽(葉)의 팔메트가 피어나 있다. 보주연화문 좌우로는 팔메트 당초 넝쿨이 파도물결처럼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펼쳐지고 반원형의 넝쿨 안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연화문이 그려져 있다. 특히 연화문과 팔메트 이파리의 채색 기법을 보면, 마치 동양화의 선염법(渲染法 : 색을 차차 엷게 발라 명암을 나타내는 기법)으로 제작된 화조화를 보듯 섬세하면서 매우 우아한 모습이다. 이 당초문양은 색상의 미묘한 변화와 유려한 선조가 아름답게 조화를 이룬 뛰어난 작품이다.
연화문은 원래 불교의 깨달음과 재생(再生)을 의미하는 꽃이지만, 후기 사신도고분벽화에서는 종교성이 거의 사라진 단순한 장식적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동벽의 제1굄돌(들보) 자료번호 : kk.d_0001_005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