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성조(成祖)가 무력으로 천하를 평정하니 여러 나라 사신이 궁정에 폭주(輻輳)하여 창고의 저장이 빌 정도였는데, 인종(仁宗)과 선덕제는 이러한 폐단을 정지시켰다는 설명

  • 국가
    곤성(坤城)
성조가 무력으로 천하를 평정하면서부터 만방(萬方)을 위세(威勢)로 제어하고자 하여, 사신을 사방으로 보내어 [그들을] 불러 [조정에] 오도록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서역의 크고 작은 여러 나라가 머리를 조아리며 칭신(稱臣)하고, 보배를 바치는 것이 뒤처질 것을 걱정하지 않음이 없었다. 또 북으로는 사막에 이르고, 남으로는 바다에 이르며, 동서로는 일출과 일몰하는 곳에 이르기까지 배와 수레로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곳에서 [조정에] 이르지 않음이 없었다. 이로부터 상이한 지역의 다른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는 사신이 궁정에 폭주(輻輳)하였다. 세시(歲時)주 001
각주 001)
歲時: 해마다 돌아오는 절기나 계절을 가리킨다.
닫기
에 하사품을 나누어 주니, 창고의 저장이 텅 비게 되었다. 그런데 사방의 진귀한 보배와 유명하고 괴이한 동물이 상방(上方)주 002
각주 002)
上方: 上邦, 즉 大國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中國, 즉 明朝를 가리킨다.
닫기
으로 진헌되는 것이 또한 날마다 늘고 달마다 증가하였다. 대개 한(漢)나라와 당(唐)나라의 번성함을 다 가지고 있었고, 백왕(百王)이 [이에] 병렬되지 못하였다. 여위(餘威)주 003
각주 003)
餘威: 永樂帝가 萬方을 제어한 威勢의 餘波를 가리킨다.
닫기
가 후사(後嗣)주 004
각주 004)
後嗣: 後代, 즉 永樂帝의 뒤를 이은 황제들의 朝代를 가리킨다.
닫기
에 미치어, 선덕과 정통 연간에도 여전히 중역(重譯)주 005
각주 005)
重譯: 이를 직역하면 ‘輾轉飜譯’, 즉 이리저리 통·번역한다는 뜻인데, 거리가 매우 멀리 떨어져 있고, 풍속이 현격하게 다른 까닭에 여러 차례 통·번역한 뒤에야 서로 통할 수 있음을 일컫는다.
닫기
해서 이르는 곳이 많았다. 그러나 인종(仁宗)은 원방(遠方)에 대한 경략(經略)에 힘쓰지 않았는데, 즉위 초에 곧 서양에서 보화를 취하는 배주 006
각주 006)
鄭和의 원정 함대 가운데 가장 큰 海船인 寶船을 가리킨다.
닫기
를 없애고, 송화강(松花江) 주 007
각주 007)
松花江: 黑龍江 최대의 支流로서 전체의 길이는 1,900km이고, 遼寧, 吉林, 黑龍江과 內蒙古 지역을 지나는데, 중국에서 면적이 가장 큰 森林구역을 관통한다. 만주어로는 숭가리강이라고 한다. 백두산의 天池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吉林省 북서단의 三岔河에서 남으로 흐르는 嫩江을 합친 뒤 북동쪽으로 유로를 바꾼다. 하얼빈(哈爾濱)을 거쳐 이란(依蘭)에서 무단강(牧丹江)을 합치고, 다시 자무쓰(佳木斯)를 지나 黑龍江省 북동단에서 본류인 黑龍江에 합류한다. 상류부는 長白山地를 흘러내리는데, 유역에 삼림이 무성하다. 산지 어귀에 축조된 豊滿댐에 의해 조성된 松花湖(저수용량 110억 톤)는 발전·관개·수운·양어 및 하류의 홍수조절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하류 유역은 東北 평원의 북반부에 해당하는 중국 유수의 농업지대로, 대개는 黑土지대를 이루어 옥수수·수수 등 식량작물을 비롯한 콩·아마·사탕무 등의 주산지이다. 습지가 많은 하류 쪽의 三江 평야에서도 국영농장에 의한 개간이 추진되고 있다. 송화강은 東北 최대의 내륙수로로 하류는 하얼빈에서부터 기선의 항행이 가능하고, 그 상류도 吉林까지 범선이 다닐 수 있어, 하얼빈이 수상교통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결빙기간이 약 5개월이나 되어 배의 운항이 끊어지고 대신 썰매가 이용된다. 주된 수송물자는 농산물과 임산물이지만 연안에는 하얼빈 외에 吉林·자무쓰 등 신흥공업도시가 있어 공업제품의 수송량도 적지 않다.
닫기
에서 배를 만드는 노역(勞役)을 정지시켰으며, 서역의 사신을 불러 경사로 돌아오게 해서 칙서를 내려 그들을 귀국시켜서, 중원을 피폐케 하여 원방의 사람을 받들게 하려 하지 않았다. 선덕[제]가 이를 계승해서, 비록 간혹 사신을 보내기도 했지만 곧 또한 정지시키니, 이러한 연고로 변경은 휴양생식(休養生息) 할 수 있었다.

  • 각주 001)
    歲時: 해마다 돌아오는 절기나 계절을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2)
    上方: 上邦, 즉 大國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中國, 즉 明朝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餘威: 永樂帝가 萬方을 제어한 威勢의 餘波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後嗣: 後代, 즉 永樂帝의 뒤를 이은 황제들의 朝代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5)
    重譯: 이를 직역하면 ‘輾轉飜譯’, 즉 이리저리 통·번역한다는 뜻인데, 거리가 매우 멀리 떨어져 있고, 풍속이 현격하게 다른 까닭에 여러 차례 통·번역한 뒤에야 서로 통할 수 있음을 일컫는다. 바로가기
  • 각주 006)
    鄭和의 원정 함대 가운데 가장 큰 海船인 寶船을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7)
    松花江: 黑龍江 최대의 支流로서 전체의 길이는 1,900km이고, 遼寧, 吉林, 黑龍江과 內蒙古 지역을 지나는데, 중국에서 면적이 가장 큰 森林구역을 관통한다. 만주어로는 숭가리강이라고 한다. 백두산의 天池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吉林省 북서단의 三岔河에서 남으로 흐르는 嫩江을 합친 뒤 북동쪽으로 유로를 바꾼다. 하얼빈(哈爾濱)을 거쳐 이란(依蘭)에서 무단강(牧丹江)을 합치고, 다시 자무쓰(佳木斯)를 지나 黑龍江省 북동단에서 본류인 黑龍江에 합류한다. 상류부는 長白山地를 흘러내리는데, 유역에 삼림이 무성하다. 산지 어귀에 축조된 豊滿댐에 의해 조성된 松花湖(저수용량 110억 톤)는 발전·관개·수운·양어 및 하류의 홍수조절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하류 유역은 東北 평원의 북반부에 해당하는 중국 유수의 농업지대로, 대개는 黑土지대를 이루어 옥수수·수수 등 식량작물을 비롯한 콩·아마·사탕무 등의 주산지이다. 습지가 많은 하류 쪽의 三江 평야에서도 국영농장에 의한 개간이 추진되고 있다. 송화강은 東北 최대의 내륙수로로 하류는 하얼빈에서부터 기선의 항행이 가능하고, 그 상류도 吉林까지 범선이 다닐 수 있어, 하얼빈이 수상교통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결빙기간이 약 5개월이나 되어 배의 운항이 끊어지고 대신 썰매가 이용된다. 주된 수송물자는 농산물과 임산물이지만 연안에는 하얼빈 외에 吉林·자무쓰 등 신흥공업도시가 있어 공업제품의 수송량도 적지 않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성조, 인종(仁宗)
지명
서역, 한(漢), 당(唐), 송화강(松花江), 서역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조(成祖)가 무력으로 천하를 평정하니 여러 나라 사신이 궁정에 폭주(輻輳)하여 창고의 저장이 빌 정도였는데, 인종(仁宗)과 선덕제는 이러한 폐단을 정지시켰다는 설명 자료번호 : jo.k_0024_0332_033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