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선덕 2년에서 가정 3년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방물을 바치니 조정에서 하사품을 내린 등의 설명

  • 국가
    실랄사(失剌思)
선덕 2년(1427)에 낙타·말·방물을 바치니,주 001
각주 001)
이에 관한 내용은 『宣宗實錄』 卷27 宣德 2년 4월 庚午條 참조.
닫기
그 사신 아력(阿力) 주 002
각주 002)
阿力: Ali의 音譯으로, 이슬람교를 믿는 지역 및 민중들 사이에서 常用되는 하나의 명칭이다.
닫기
에게 도지휘첨사(都指揮僉事)를 제수하고 고명·관대를 하사하였다.주 003
각주 003)
이에 관한 내용은 『宣宗實錄』 卷28 宣德 2년 5월 丁酉條 참조.
닫기
이후에 오랫동안 공물을 바치지 않았다. 성화 19년(1483)에 흑루(黑婁) 주 004
각주 004)
黑婁: 헤라트(Herat)를 가리키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닫기
·살마아한·파단사(把丹沙) 주 005
각주 005)
把丹沙: 바닥샨(Badakhshan)의 音譯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닫기
등 여러 나라와 함께 사자를 바치니, 조서를 내려 더 많은 상을 내려주었다. 홍치 5년(1492)에 합밀의 충순왕 섬파(陝巴, 재위 1492~1493, 1497~1505)주 006
각주 006)
陝巴: Šamba의 음역이다. 脫脫(Toqto)의 近屬姪孫이며, 安定王의 조카로, 弘治 5년(1492)에 충순왕에 봉해졌다. 그러나 이듬해 4월에 투르판 阿黑麻의 야습을 받아 붙잡혀가 5년 동안 포로생활을 하였다. 이후 弘治 10년(1497) 12월에 석방되어 하미의 國事를 다시 맡았다. 그렇지만 음주를 좋아하고 재화를 탐하는 등의 이유로 인심을 잃었으며, 급기야 弘治 17년(1504) 봄에 귀족들이 政變을 일으켜 苦峪으로 피했다가 이듬해인 弘治 18년(1505) 10월에 세상을 떠났다.
닫기
가 봉호(封號)를 승계 받고 귀국하여 경계를 이웃하고 있는 야먀극력(野乜克力) 주 007
각주 007)
野乜克力: 乜克力으로도 불리며, 蒙古 옛 부족의 명칭이다. Merkin 혹은 Meki部를 가리킨다. 혹자는 突厥族의 후예라고도 하는데, 明 中期 그 부족의 首領 중 한 명인 癿加思蘭이 300~400명의 部族人을 이끌고 土魯番 지역으로 들어가 유목을 하였으며, 이후 天順 연간(1457~1464)에는 哈密城 밖 巴里坤 일대로 이주하였다. 그러다 成化 연간(1465~1487) 초에 동부 蒙古 河套地方을 점거하여 成化 11년(1475)에 元의 후예인 滿都魯를 可汗으로 세우고, 癿加思蘭은 太師가 되었는데, 부족의 수가 數萬으로 늘어났다. 이후 癿加思蘭은 부하에게 살해당하고, 亦思馬因과 亦不剌이 서로 이어 太師가 되었지만 達延(Dayan)汗이 즉위한 이후 俺答(Altan)칸에 이르는 동안 이들 부족은 점차 韃靼(Tatar)에게 흡수되었다.
닫기
의 추장과 혼인관계를 맺었다.주 008
각주 008)
野乜克力의 추장 秃卜花台卜의 딸과 결혼한 것을 가리킨다. 이에 관한 내용은 『孝宗實錄』 卷68 弘治 5년 10월 乙卯條 참조.
닫기
실랄사 추장은 그가 가난함을 염려하여, 인접국인 역불랄인의 추장과 함께 평장(平章)주 009
각주 009)
平章: 관직명으로 원래의 의미는 논의하여 처리한다는 것이다. 唐代에는 尙書·中書·門下省의 長官으로 재상을 삼았는데, 일상적으로 설치된 것은 아니어서 다른 관원을 선임하여 同中書門下平章事라는 명칭을 더해주었고 同平章事라고 간단하게 불렀다. 宋代에는 이를 계승해서 나이가 많고 명망이 높은 중신들이 담당하였고 재상보다도 위상이 높았으며, 그 명칭은 同平章軍國事였다. 金과 元代에는 平章政事가 있었는데, 丞相의 바로 아래였다. 元代의 行中書省에 平章政事를 두었고, 平章이라고 간단하게 칭하였다.
닫기
쇄화복태(鎖和卜台)·지원(知院)주 485
각주 485)
知院: 樞密院의 업무를 주관하는 관직으로 원래의 명칭은 知樞密院事인데 간략하게 知院이라고 불렀다. 樞密使의 통칭으로 사용되었다.
닫기
만가(滿可)를 거느리고 각자 [조정에] 사람을 파견하여 재물을 내려 주어 성혼(成婚)에 도움을 줄 것을 요청하였다. 조정에서는 의논하여 이를 의롭다 여겨 두터이 섬파에게 하사품을 내리고, 아울러 두 나라 및 그 평장·지원에게 채폐를 하사하였다.주 011
각주 011)
陝巴(Šamba)에게 내린 하사품으로는 銀 100兩 외에 紵絲와 綾紗羅 각 8필, 絹 32필, 大紅羅 2필, 脚紗 2필 및 靑紅綠布 100필 등이었고, 平章 鎖和卜台와 知院 滿可에게는 각각 綵緞 2表裏를 지급하였다. 이에 관한 내용은 『孝宗實錄』 卷68 弘治 5년 10월 乙卯條 참조.
닫기
가정 3년(1524)에 근방(近傍)의 32부(部)와 함께 사신을 파견하여 말과 방물을 바쳤다. 그 사신들은 각기 망의(蟒衣)주 012
각주 012)
蟒衣: 官員의 禮服을 가리킨다. 예복 위에 이무기 모양의 수를 놓기 때문에 蟒衣라고 부르는데, 蟒袍, 花衣, 蟒服이라고도 칭한다. 封誥를 받은 婦女도 입을 수 있었다.
닫기
·슬란(膝襴)주 013
각주 013)
膝襴: 무릎 부분에 무늬를 織造하여 만든 내리닫이 옷으로 明代에는 制服의 일종이었다.
닫기
·자기·포백을 청하였다. 천자는 거절할 수 없어, [실정을] 헤아려 [그들에게] 주었다.주 014
각주 014)
이에 관한 내용은 『世宗實錄』 卷36 嘉靖 3년 2월 戊申條 참조.
닫기
이로부터 조공사신 역시 이르지 않았다.

  • 각주 001)
    이에 관한 내용은 『宣宗實錄』 卷27 宣德 2년 4월 庚午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2)
    阿力: Ali의 音譯으로, 이슬람교를 믿는 지역 및 민중들 사이에서 常用되는 하나의 명칭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이에 관한 내용은 『宣宗實錄』 卷28 宣德 2년 5월 丁酉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4)
    黑婁: 헤라트(Herat)를 가리키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바로가기
  • 각주 005)
    把丹沙: 바닥샨(Badakhshan)의 音譯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바로가기
  • 각주 006)
    陝巴: Šamba의 음역이다. 脫脫(Toqto)의 近屬姪孫이며, 安定王의 조카로, 弘治 5년(1492)에 충순왕에 봉해졌다. 그러나 이듬해 4월에 투르판 阿黑麻의 야습을 받아 붙잡혀가 5년 동안 포로생활을 하였다. 이후 弘治 10년(1497) 12월에 석방되어 하미의 國事를 다시 맡았다. 그렇지만 음주를 좋아하고 재화를 탐하는 등의 이유로 인심을 잃었으며, 급기야 弘治 17년(1504) 봄에 귀족들이 政變을 일으켜 苦峪으로 피했다가 이듬해인 弘治 18년(1505) 10월에 세상을 떠났다. 바로가기
  • 각주 007)
    野乜克力: 乜克力으로도 불리며, 蒙古 옛 부족의 명칭이다. Merkin 혹은 Meki部를 가리킨다. 혹자는 突厥族의 후예라고도 하는데, 明 中期 그 부족의 首領 중 한 명인 癿加思蘭이 300~400명의 部族人을 이끌고 土魯番 지역으로 들어가 유목을 하였으며, 이후 天順 연간(1457~1464)에는 哈密城 밖 巴里坤 일대로 이주하였다. 그러다 成化 연간(1465~1487) 초에 동부 蒙古 河套地方을 점거하여 成化 11년(1475)에 元의 후예인 滿都魯를 可汗으로 세우고, 癿加思蘭은 太師가 되었는데, 부족의 수가 數萬으로 늘어났다. 이후 癿加思蘭은 부하에게 살해당하고, 亦思馬因과 亦不剌이 서로 이어 太師가 되었지만 達延(Dayan)汗이 즉위한 이후 俺答(Altan)칸에 이르는 동안 이들 부족은 점차 韃靼(Tatar)에게 흡수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野乜克力의 추장 秃卜花台卜의 딸과 결혼한 것을 가리킨다. 이에 관한 내용은 『孝宗實錄』 卷68 弘治 5년 10월 乙卯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9)
    平章: 관직명으로 원래의 의미는 논의하여 처리한다는 것이다. 唐代에는 尙書·中書·門下省의 長官으로 재상을 삼았는데, 일상적으로 설치된 것은 아니어서 다른 관원을 선임하여 同中書門下平章事라는 명칭을 더해주었고 同平章事라고 간단하게 불렀다. 宋代에는 이를 계승해서 나이가 많고 명망이 높은 중신들이 담당하였고 재상보다도 위상이 높았으며, 그 명칭은 同平章軍國事였다. 金과 元代에는 平章政事가 있었는데, 丞相의 바로 아래였다. 元代의 行中書省에 平章政事를 두었고, 平章이라고 간단하게 칭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485)
    知院: 樞密院의 업무를 주관하는 관직으로 원래의 명칭은 知樞密院事인데 간략하게 知院이라고 불렀다. 樞密使의 통칭으로 사용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陝巴(Šamba)에게 내린 하사품으로는 銀 100兩 외에 紵絲와 綾紗羅 각 8필, 絹 32필, 大紅羅 2필, 脚紗 2필 및 靑紅綠布 100필 등이었고, 平章 鎖和卜台와 知院 滿可에게는 각각 綵緞 2表裏를 지급하였다. 이에 관한 내용은 『孝宗實錄』 卷68 弘治 5년 10월 乙卯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12)
    蟒衣: 官員의 禮服을 가리킨다. 예복 위에 이무기 모양의 수를 놓기 때문에 蟒衣라고 부르는데, 蟒袍, 花衣, 蟒服이라고도 칭한다. 封誥를 받은 婦女도 입을 수 있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3)
    膝襴: 무릎 부분에 무늬를 織造하여 만든 내리닫이 옷으로 明代에는 制服의 일종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4)
    이에 관한 내용은 『世宗實錄』 卷36 嘉靖 3년 2월 戊申條 참조.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아력(阿力), 섬파, 陝巴, 쇄화복태(鎖和卜台), 만가(滿可), 섬파
지명
흑루(黑婁), 살마아한, 파단사(把丹沙), 합밀, 야먀극력(野乜克力), 역불랄인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선덕 2년에서 가정 3년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방물을 바치니 조정에서 하사품을 내린 등의 설명 자료번호 : jo.k_0024_0332_014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