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성조(成祖) 즉위 후 극덕이화탁이 죽고 아들 실묵찰한(實黙察罕)이 뒤를 이었고, 합밀(哈密)의 충순왕이 가한 곽륵제(郭勒齊)에게 독살되자 토벌한 등의 글

  • 국가
    별실팔리(別失八里)
성조(成祖)가 즉위한 그해 겨울에, 관원을 파견하여 새서와 채폐를 휴대하여 그 나라에 출사토록 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흑적아화자(黑的兒火者)가 죽자 [그의] 아들 사미사간(沙迷査干) 주 001
각주 001)
沙迷査干: 샤미자한(Shami Jahan)의 音譯이다.
닫기
이 그 뒤를 이었다. 영락 2년(1404)에 [사미사간은] 사신을 파견하여 옥박(玉璞)·명마(名馬)를 바치니,주 002
각주 002)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33 永樂 2년 7월 甲戌條 참조.
닫기
[조정에서] 연회를 베풀어주고 더 많은 하사품을 내려주었다. 당시 합밀의 충순왕(忠順王) 안극첩목아(安克帖木兒, 재위 1393~1405)주 003
각주 003)
安克帖木兒: Engke Temür의 音譯이다. 忽納失里(納忽里)의 동생으로, 그의 형을 이어 洪武 26년(1393)에 2대 哈密國 肅王에 올랐다. 永樂 원년(1403) 11월에 그는 明朝에 사신을 보내 190필의 말을 바침으로써 永樂 2년(1404)에 忠順王으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405년 3월에 迤北可汗 鬼力赤에 의해 독살되었다. 그의 재위기간은 1393~1405년이지만 충순왕을 칭한 것은 1404~1405년이다. 이후 그의 자손과 후예가 왕위를 세습하였다.
닫기
가 가한(可汗) 귀력적(鬼力赤) 주 004
각주 004)
鬼力赤(?~1408): 建文 4년(1402)에 北元 湣宗 順天皇帝 坤帖木兒(Gün Temür)를 죽이고, 阿魯台 등에 옹립되어 大汗이 되었다. 그는 北元의 國號를 폐지하고 韃靼(Tatar)可汗이라 칭했으나, 正統 汗의 후예가 아니었기 때문에 明朝의 지지를 받을 필요가 있었으므로, 이에 명조와 通交를 했다. 이로 인해 그는 蒙古 各部의 불만을 샀으며, 결국 1408년에 知院인 阿魯台에게 피살되었다. 그의 尊號는 兀雷帖木兒汗(Örüg Temür)이며, 그가 피살된 후 坤帖木兒(Gün Temür)의 동생 本雅失里(尊號는 完者帖木兒汗, Öljei Temür Khagan)가 영입되어 大汗이 되었다.
닫기
에게 독살(毒殺)되자 사미사간이 군대를 거느리고 그를 토벌하였다. 영락제는 그의 의로움을 가상히 여겨 사신을 보내어 채폐를 상으로 내려주고, 충순왕의 작위를 계승한 태태(脫脫, 재위 1405~1411)주 005
각주 005)
脫脫: Toqto의 音譯으로서 忽納失里의 아들이다. 그의 숙부인 安克帖木兒가 鬼力赤에게 독살되자 숙부를 이어 永樂 3년(1405) 3월에 忠順王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재위 6년만인 永樂 9년(1411) 3월에 갑작스럽게 죽었다. 그가 갑작스럽게 暴死한 까닭은 알 수 없으나 여러 정황으로 볼 때, 국내의 권력투쟁 과정에서 희생된 것으로 보인다.
닫기
와 화목하게 지내도록 하였다.주 006
각주 006)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41 永樂 3년 4월 庚辰條 참조.
닫기
[영락] 4년(1406) 여름에 입조하여 공물을 바치니, 홍려시승(鴻臚寺丞) 유첩목아(劉帖木兒)에게 명하여 칙서와 폐백(幣帛)을 가지고 가서 위로하고 하사토록 했으며, 그 사신과 함께 가도록 하였다.주 007
각주 007)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54 永樂 4년 5월 戊戌條 참조.
닫기
가을과 겨울 및 이듬해 여름에 세 차례 입조하여 공물을 바쳤는데, 그 기회에 살마아한은 본래 그들 조상의 옛 땅임을 말하며, 군대를 보내어 수복(收復)해주기를 청하였다. 중관 파태(把太)·이달유첩목아에게 명하여 칙서를 가지고 가 타일러, 시세(時勢)를 잘 살펴서 행동하고 경거망동하지 말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채폐를 하사하였다.주 008
각주 008)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66 永樂 5년 4월 丁酉條 참조. 한편 中官 把太는 太宗實錄에는 把泰로 표기되어 있다.
닫기
[영락] 6년(1408)에 파태 등이 돌아와 사미사간이 이미 사망하고 아우 마합마(馬哈麻) 주 009
각주 009)
馬哈麻(?~1415): 무함마드(Muhammad)의 音譯이다. 무함마드는 東차가타이 칸국(別失八里國)의 可汗인 흐르르 호자(黑的兒火者)칸의 아들로 1408년에 그의 형인 샤미자한(沙迷查干)을 이어 汗位에 올랐으며, 일명 穆罕默德汗(Muhammad Khan)이라고도 한다. 明朝는 1406년에 哈密衛를 설치하고 西域에 行政·軍事機構를 세웠는데, 西域 各部 首領을 王으로 책봉함과 아울러 西域 各部 우두머리를 都指揮·指揮僉事 등의 官에 임명하였다. 무함마드는 이 무렵 明朝에 의해 指揮에 임명되었다.
닫기
가 그 뒤를 이었음을 아뢰었다. 영락제는 즉각 파태 등에게 명하여 [그 나라에] 가서 제사를 지내도록 하고, 아울러 새로운 왕에게 하사품을 내렸다.주 010
각주 010)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76 永樂 6년 2월 甲午條 참조. 한편 永樂帝는 沙迷査干이 明 朝廷에 ‘歸順’ 즉 歸依하여 순종했음을 높이 평가하여 把泰 등을 보내어 제사를 지내주도록 했고, 아울러 璽書를 주는 한편 그 아우 馬哈麻에게는 文綺衣 2벌과 文綺 表裏 각각 10벌씩을 하사해주었다.
닫기


  • 각주 001)
    沙迷査干: 샤미자한(Shami Jahan)의 音譯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33 永樂 2년 7월 甲戌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3)
    安克帖木兒: Engke Temür의 音譯이다. 忽納失里(納忽里)의 동생으로, 그의 형을 이어 洪武 26년(1393)에 2대 哈密國 肅王에 올랐다. 永樂 원년(1403) 11월에 그는 明朝에 사신을 보내 190필의 말을 바침으로써 永樂 2년(1404)에 忠順王으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405년 3월에 迤北可汗 鬼力赤에 의해 독살되었다. 그의 재위기간은 1393~1405년이지만 충순왕을 칭한 것은 1404~1405년이다. 이후 그의 자손과 후예가 왕위를 세습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4)
    鬼力赤(?~1408): 建文 4년(1402)에 北元 湣宗 順天皇帝 坤帖木兒(Gün Temür)를 죽이고, 阿魯台 등에 옹립되어 大汗이 되었다. 그는 北元의 國號를 폐지하고 韃靼(Tatar)可汗이라 칭했으나, 正統 汗의 후예가 아니었기 때문에 明朝의 지지를 받을 필요가 있었으므로, 이에 명조와 通交를 했다. 이로 인해 그는 蒙古 各部의 불만을 샀으며, 결국 1408년에 知院인 阿魯台에게 피살되었다. 그의 尊號는 兀雷帖木兒汗(Örüg Temür)이며, 그가 피살된 후 坤帖木兒(Gün Temür)의 동생 本雅失里(尊號는 完者帖木兒汗, Öljei Temür Khagan)가 영입되어 大汗이 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脫脫: Toqto의 音譯으로서 忽納失里의 아들이다. 그의 숙부인 安克帖木兒가 鬼力赤에게 독살되자 숙부를 이어 永樂 3년(1405) 3월에 忠順王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재위 6년만인 永樂 9년(1411) 3월에 갑작스럽게 죽었다. 그가 갑작스럽게 暴死한 까닭은 알 수 없으나 여러 정황으로 볼 때, 국내의 권력투쟁 과정에서 희생된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41 永樂 3년 4월 庚辰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7)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54 永樂 4년 5월 戊戌條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8)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66 永樂 5년 4월 丁酉條 참조. 한편 中官 把太는 太宗實錄에는 把泰로 표기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馬哈麻(?~1415): 무함마드(Muhammad)의 音譯이다. 무함마드는 東차가타이 칸국(別失八里國)의 可汗인 흐르르 호자(黑的兒火者)칸의 아들로 1408년에 그의 형인 샤미자한(沙迷查干)을 이어 汗位에 올랐으며, 일명 穆罕默德汗(Muhammad Khan)이라고도 한다. 明朝는 1406년에 哈密衛를 설치하고 西域에 行政·軍事機構를 세웠는데, 西域 各部 首領을 王으로 책봉함과 아울러 西域 各部 우두머리를 都指揮·指揮僉事 등의 官에 임명하였다. 무함마드는 이 무렵 明朝에 의해 指揮에 임명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0)
    이에 관한 내용은 『太宗實錄』 卷76 永樂 6년 2월 甲午條 참조. 한편 永樂帝는 沙迷査干이 明 朝廷에 ‘歸順’ 즉 歸依하여 순종했음을 높이 평가하여 把泰 등을 보내어 제사를 지내주도록 했고, 아울러 璽書를 주는 한편 그 아우 馬哈麻에게는 文綺衣 2벌과 文綺 表裏 각각 10벌씩을 하사해주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성조(成祖), 흑적아화자(黑的兒火者), 사미사간(沙迷査干), 사미사간, 안극첩목아, 安克帖木兒, 귀력적(鬼力赤), 사미사간, 영락제, 태태, 脫脫, 유첩목아(劉帖木兒), 파태(把太), 이달, 유첩목아, 파태, 사미사간, 마합마(馬哈麻), 영락제, 파태
지명
합밀, 살마아한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조(成祖) 즉위 후 극덕이화탁이 죽고 아들 실묵찰한(實黙察罕)이 뒤를 이었고, 합밀(哈密)의 충순왕이 가한 곽륵제(郭勒齊)에게 독살되자 토벌한 등의 글 자료번호 : jo.k_0024_0332_009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