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점성국(占城國)의 방물(方物)과 코끼리 진공(進貢)

  • 국가
    점성(占城)
[북송 태조] 개보(開寶, 963~976) 3년(970), 사신을 보내 방물과 암코끼리 한 마리를 진공했다. [개보] 4년(971)에는 실리다반(悉利多盤),주 001
각주 001)
悉利多盤: 역시 Jaya Indravarman 1세로 悉利因阤盤의 誤記일 것이다.
닫기
부(副) 국왕인 이누(李耨), 왕의 처 곽씨(郭氏), 아들 포로계파라(蒲路雞波羅) 등 일동이 사신을 파견해 진공했다. 개보 5년(972)주 002
각주 002)
『宋會要』 기록에 의하면 개보 5년 3월이다.
닫기
에는 국왕 파미세게인차(波美稅褐印茶) 주 003
각주 003)
波美稅褐印茶: 대략 972년 전후하여 즉위한 파라메스 바라바르만 1세(Paramesvaravarman Ⅰ)를 나타내며, 그 이름의 부분을 번역한 것 같다. 마지막 글자 茶는 왕의 이름은 아니고, 페르시아어의 군주 ‘hah’를 나타낸다는 의견이 있다. 한편 Momoki Shiro는 茶는 사실, ‘ndera’를 나타내는 음소 ‘印’과 연결하는 도(荼)자의 誤記일 것이라고 견해를 보인다(Wade, 2005: 8). 『宋史』 「太祖本紀」와 『宋會要』에는 ‘波美稅’라 칭하고, 「점성전」에서는 ‘波美稅褐印茶’ 또는 ‘波美稅陽布印茶’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다. 그의 치세 기간 동안 베트남은 十二使君시대의 분열을 통일한 丁部領(Đinh Bộ Lĩnh)이 딘 왕조(丁朝) 즉 瞿越을 막 건립한 때였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唐林州의 使君인 吳日慶(Ngô Nhật Khánh)이 참파로 도망갔었다. 979년 베트남 정부령이 시해당하고 大臣 黎桓이 대권을 잡자 吳日慶이 점성왕 Paramesvaravarman 1세에게 원병을 요청했다. 점성왕은 戰船 1천여 척을 이끌고 친히 베트남에 공격해 들어갔으나 베트남 도성 공격을 얼마 앞두고 폭풍을 만나서 수군이 몰살하고 오일경과 점성인들도 익사했다. 점성국왕의 배만 겨우 귀국할 수 있었다(馬司培羅, 1973: 54).
닫기
가 사신 보가산(莆訶散)을 보내 와서 조공하였다. [개보] 6년(973)에 또 조공했다.주 004
각주 004)
『宋會要』에는 개보 6년에 4월과 6월 두 차례 조공 사신이 중국에 왔다. 4월에는 왕 悉利盤盤印茶가 보낸 布你齊가 와서 공물을 바치고, 6월에는 왕 波美美稅楊布印茶가 사신들을 보내서 방물을 진공했다.
닫기
[개보] 7년(974)주 005
각주 005)
개보 7년 1월에 국왕 波利稅褐茶가 사신을 보냈다. 개보 6년과 7년의 조공기록에서 참파의 왕 이름으로 悉利盤盤印茶, 波美美稅楊布印茶, 波利稅褐茶 3가지 표현이 나온다. 이 중에 波美美稅楊布印茶, 波利稅褐茶는 모두 앞에서 말한 波美稅褐印茶 즉 ‘Parameshwaravarman 1세’에 대한 여러 가지 異譯으로 보이지만, 悉利盤盤印茶 존재는 확인하기 어렵다. 아마 왕이 아니고 왕실의 다른 인물일 수 있다.
닫기
에도 공작 깃털로 만든 [양]산 2개, 인도 [西天]의 봉철(烽鐵)주 006
각주 006)
烽鐵: 아마도 서아시아 지역에서 鍛鍊된 철인 것 같다. 이 지역의 쇠는 페르시안 刀劍으로 유명하고 후에 “다마스커스 강철”로 알려졌다(Wade, 2005: 9).
닫기
40근을 진공했다. [개보] 9년(976) 사신 주타리(朱陀利)진타야(陳陀野) 등을 보내와서 조공했다.

  • 각주 001)
    悉利多盤: 역시 Jaya Indravarman 1세로 悉利因阤盤의 誤記일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宋會要』 기록에 의하면 개보 5년 3월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波美稅褐印茶: 대략 972년 전후하여 즉위한 파라메스 바라바르만 1세(Paramesvaravarman Ⅰ)를 나타내며, 그 이름의 부분을 번역한 것 같다. 마지막 글자 茶는 왕의 이름은 아니고, 페르시아어의 군주 ‘hah’를 나타낸다는 의견이 있다. 한편 Momoki Shiro는 茶는 사실, ‘ndera’를 나타내는 음소 ‘印’과 연결하는 도(荼)자의 誤記일 것이라고 견해를 보인다(Wade, 2005: 8). 『宋史』 「太祖本紀」와 『宋會要』에는 ‘波美稅’라 칭하고, 「점성전」에서는 ‘波美稅褐印茶’ 또는 ‘波美稅陽布印茶’라는 이름으로 기록했다. 그의 치세 기간 동안 베트남은 十二使君시대의 분열을 통일한 丁部領(Đinh Bộ Lĩnh)이 딘 왕조(丁朝) 즉 瞿越을 막 건립한 때였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唐林州의 使君인 吳日慶(Ngô Nhật Khánh)이 참파로 도망갔었다. 979년 베트남 정부령이 시해당하고 大臣 黎桓이 대권을 잡자 吳日慶이 점성왕 Paramesvaravarman 1세에게 원병을 요청했다. 점성왕은 戰船 1천여 척을 이끌고 친히 베트남에 공격해 들어갔으나 베트남 도성 공격을 얼마 앞두고 폭풍을 만나서 수군이 몰살하고 오일경과 점성인들도 익사했다. 점성국왕의 배만 겨우 귀국할 수 있었다(馬司培羅, 1973: 54). 바로가기
  • 각주 004)
    『宋會要』에는 개보 6년에 4월과 6월 두 차례 조공 사신이 중국에 왔다. 4월에는 왕 悉利盤盤印茶가 보낸 布你齊가 와서 공물을 바치고, 6월에는 왕 波美美稅楊布印茶가 사신들을 보내서 방물을 진공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개보 7년 1월에 국왕 波利稅褐茶가 사신을 보냈다. 개보 6년과 7년의 조공기록에서 참파의 왕 이름으로 悉利盤盤印茶, 波美美稅楊布印茶, 波利稅褐茶 3가지 표현이 나온다. 이 중에 波美美稅楊布印茶, 波利稅褐茶는 모두 앞에서 말한 波美稅褐印茶 즉 ‘Parameshwaravarman 1세’에 대한 여러 가지 異譯으로 보이지만, 悉利盤盤印茶 존재는 확인하기 어렵다. 아마 왕이 아니고 왕실의 다른 인물일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烽鐵: 아마도 서아시아 지역에서 鍛鍊된 철인 것 같다. 이 지역의 쇠는 페르시안 刀劍으로 유명하고 후에 “다마스커스 강철”로 알려졌다(Wade, 2005: 9).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북송 태조], 실리다반(悉利多盤), 이누(李耨), 포로계파라(蒲路雞波羅), 파미세게인차(波美稅褐印茶), 보가산(莆訶散), 주타리(朱陀利), 진타야(陳陀野)
지명
인도, [西天]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점성국(占城國)의 방물(方物)과 코끼리 진공(進貢) 자료번호 : jo.k_0020_0489_001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