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劍山의 5부락, 奉國·苴伽의 11부락, 顯養·東魯의 諸蠻

검산(劍山) 주 001
각주 001)
劍山: 지금의 四川省 茂縣 西北 黑水縣 東南의 지역에 해당한다.
닫기
토번(吐蕃)[으로 통하는] 대로(大路)를 막아서 있고, 석문(石門) 유강(柳彊) 주 002
각주 002)
柳彊: 곧 四川省의 冕寧縣에 해당된다. 樊綽의『蠻書』卷1에서는 “台登直北去保塞城八十里, 吐蕃謂之北谷. 天寶以前福州柳強鎭也.”(『雲南志補注』, 1995: 14)라고 적었다.
닫기
의 세 진(鎭)에 이어져 접하고 있다. 수(戍)주 003
각주 003)
戍: 唐代의 軍事區劃 명칭이다. 宋의 王溥가 지은『唐會要』「州縣分望道」에서는 “무릇 天下에 軍이 40개 있고, 府가 634, 鎭이 450, 戍가 590, 守捉이 35곳 있다”(『唐會要』卷70: 1233)라고 하였다.
닫기
와 수착(守捉)주 004
각주 004)
守捉: 唐이 制度에 軍隊가 주둔하여 지키는 땅으로, 비교적 큰 것을 軍이라 칭하고, 작은 것을 守捉이라 칭하였으며, 그 아래 城도 있고 鎭도 있다.
닫기
을 설치하고, 초토사(招討使)에게 다섯 부락을 거느리게 하였다. 첫째는 미강(彌羌)이라 하고, 둘째는 삭강(鑠羌)이라 하며, 셋째는 호총(胡叢)이라 한다. 그 나머지는 동흠(東欽)과 마사(磨些)이다. 또 이망(夷望) 고로(鼓路) 서망(西望) 안락(安樂) 탕곡(湯谷) 불만(佛蠻) 휴야(虧野) 아익(阿) 아악(阿鶚) 궁만(䤝蠻) 임정(林井) 아이(阿異)의 열두 귀주(鬼主)가 있는데, 모두 수주(嶲州)에 예속되어 있다. 또 봉국(奉國)과 저가(苴伽)의 열한 부락이 있는데, 봄가을로 수주에서 주는 것을 받지만, 토번을 염두에 두고 경중(輕重)을 헤아린다. 절도사가 이를 때마다 제부(諸部)는 말[馬]을 바치는데, 추장은 호랑이 가죽을 입으며, 나머지는 모두 붉은 머리수건으로 머리를 묶고 금힐오(錦襭襖)와 반비(半臂)를 입는다. 알현이 끝나고 난 뒤에는, 한 필의 비단과 한말의 술을 청하여, 풀을 베어 부조(父祖)의 혼을 부르고, 향리로 돌아간다. 돌아갈 때는 비단을 싸서 말 위에 얹고 떠난다. 또 현양(顯養)과 동노(東魯)의 제만(諸蠻)이 있는데, 영휘(永徽) 3년(652)에 호총(胡叢)과 함께 모두 반란을 일으켰다. 고종(高宗)이 우효위장군(右驍衛將軍) 조계숙(曹繼叔)을 수주도행군총관(嶲州道行軍總管)으로 삼았다. 사산(斜山)에서 싸워 10여 성(城)을 함락시키고, 7백 인을 참수하였으며, 말과 이우(犛牛)를 노획한 것이 만 5천이었다.

  • 각주 001)
    劍山: 지금의 四川省 茂縣 西北 黑水縣 東南의 지역에 해당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柳彊: 곧 四川省의 冕寧縣에 해당된다. 樊綽의『蠻書』卷1에서는 “台登直北去保塞城八十里, 吐蕃謂之北谷. 天寶以前福州柳強鎭也.”(『雲南志補注』, 1995: 14)라고 적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戍: 唐代의 軍事區劃 명칭이다. 宋의 王溥가 지은『唐會要』「州縣分望道」에서는 “무릇 天下에 軍이 40개 있고, 府가 634, 鎭이 450, 戍가 590, 守捉이 35곳 있다”(『唐會要』卷70: 1233)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守捉: 唐이 制度에 軍隊가 주둔하여 지키는 땅으로, 비교적 큰 것을 軍이라 칭하고, 작은 것을 守捉이라 칭하였으며, 그 아래 城도 있고 鎭도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고종(高宗), 조계숙(曹繼叔)
지명
검산(劍山), 토번(吐蕃), 석문(石門), 유강(柳彊), 수주(嶲州), 수주, 토번, 사산(斜山)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劍山의 5부락, 奉國·苴伽의 11부락, 顯養·東魯의 諸蠻 자료번호 : jo.k_0017_0222_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