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松外蠻의 습속

  • 국가
    송외만(松外蠻)
송외만(松外蠻)주 001
각주 001)
松外蠻: 松外縣은 唐 貞觀 22年(648)에 설치되어 牢州의 치소가 되었다. 현의 治所는 오늘날 四川 鹽邊縣 西北部로 비정된다. 永徽 3年(652)에 폐지되어 昌明縣으로 편입되었다. 南詔는 이곳에 松外城을 설치하여, 劍川節度에 속하게 하였다. 樊綽의『蠻書』卷6에는 “昆明城在東瀘之西, ……正南至松外城.”이라고 적었다(『雲南志補注』, 1995: 87).
닫기
은 옛날에 수십백의 부(部)로 나뉘어 큰 것은 5·6백 호 작은 것은 2·3백 호이었다. 대체로 수십 성(姓)이 있는데, 조(趙) 양(楊) 이(李) 동(董)씨가 귀족이고, 모두 산천(山川)을 점유하여 서로 군장(君長)이 될 수 없었다. 성곽과 문자가 있고, 음양(陰陽)과 역수(曆數)를 잘 알았다. 야랑(夜郞)전지(滇池) 서쪽으로부터 모두 장교(莊蹻)주 002
각주 002)
莊蹻: 戰國시대 楚나라의 장수로 長江을 거슬러 滇池 지역에 이르렀다가, 秦이 黔中郡을 설치하는 바람에 귀국하지 못하고, 전지 지역으로 돌아가 변복하고 滇國의 왕이 되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그에 관한 설화는『史記』「西南夷列傳」에 처음 등장한다.
닫기
의 후예이다. 쌀, 보리, 조, 콩, 명주, 삼베, 염교, 달래, 복숭아, 오얏이 난다. 12월을 세수(歲首)로 한다. 베 한 폭은 넓이가 7촌이다. 정월에 누에가 나서 2월에 다 자란다. 남자는 모직물과 가죽으로 배자를 만들어 입고, 여자는 가는 베로 치마와 적삼을 만들어 입는다. 계반(髻盤)주 003
각주 003)
髻盤: 두발의 상투를 매어 돌린 것이 소반처럼 납작한 것을 형용한 것.
닫기
을 북상투처럼 한다. 밥 먹을 때 대그릇을 쓰는데, 손으로 뭉쳐서 먹는다. 오배(烏杯)주 004
각주 004)
烏杯: 이 지역에서 쓰는 독특한 식기로, 검은 색에 대나무로 만든 잔으로 추정된다.
닫기
에 국을 담는데, 모양이 계이(鷄彝)주 005
각주 005)
鷄彝: 그릇의 표면에 닭의 그림을 새겨 넣은 彝를 지칭한다. 봄과 여름 祭祀의 降神에 明水나 鬱鬯을 담는 데 쓰인다. 鳥彝와 한 짝을 이루는 데, 봄 제사에서는 계이에 명수를 담고 조이에 울창을 담으며, 여름 제사에서는 계이에 울창을 담고 조이에 명수를 담는다.
닫기
같다. 맨발로 다니며, 배는 있고 수레는 없다. 죽으면 땅에 묻는데, 빈소 왼편에 집을 짓고 3년이 되어서야 장례를 지내며, 소라고동과 방합으로 관(棺)을 봉한다. 부모상(父母喪)에는 참쇠(斬衰)를 입는데, 4·5년간 빨지 않는다. 근자에는 2·3년이다. 다른 사람에게 죽임을 당한 자는 아들이 삼베로 머리를 묶고 얼굴에 먹칠을 하며 옷을 여미지 않는다. 상중(喪中)에도 혼사는 폐하지 않는다. 또한 동성(同姓)을 피하지 않는다. 신랑이 친영(親迎)하지 않는다. 부잣집은 처(妻)를 들일 때, 금 은 소 양 술을 예물로 보낸다. 여자가 가지고 오는 것도 또한 이와 같다. 죄인이 있으면, 긴 나무를 하나 세우고, 북을 쳐서 그 아래에 무리를 모은다. 강도는 죽이는데, 부자의 경우 죽는 것은 면할 수 있으나, 집을 불태우고 그 전토를 빼앗는다. 도둑질 한 자는 아홉 배로 훔친 것을 배상한다. 간음하면 그 일족에게 금은을 가져와서 화해를 청하도록 강요하고, 그 처를 버린다. 처녀와 과부에게는 [간음이] 죄가 되지 않는다. 무릇 서로 죽이면 반드시 보복하고, 힘이 모자라면 그 부(部)가 도와 공격한다. 제사를 지낼 때 소와 말을 잡고 친척들이 반드시 모여서 소와 술로 돕는데, 많으면 수백 인에 이른다. [당 태종] 정관(貞觀) 연간에 수주도독(嶲州都督) 유백영(劉伯英)이 상소(上疏)하기를, “송외의 제만(諸蠻)은 대개 잠시 붙었다가 자주 배반하니, 치기를 청합니다. 서이하에서 천축에 이르는 길이 뚫릴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여러 해가 지나, 태종(太宗)이 우무후장군(右武候將軍) 양건방(梁建方)에게 촉(蜀) 12주(州)의 군대를 징발하여 나아가 치도록 하였다. 추수(酋帥) 쌍사(雙舍)가 맞서 싸웠으나, 패주하였다. 죽이고 사로잡은 것이 10여 만이었다. 군만(群蠻)이 놀라 산과 골짜기로 달아나 숨었다. 건방이 초유하여 항복한 것이 70여 부(部) 10만 9천 호(戶)이었다. 수령 몽(蒙)씨와 화(和)씨를 현령(縣令)으로 임명하니, 나머지 무리가 고마워하고 기뻐하였다.

  • 각주 001)
    松外蠻: 松外縣은 唐 貞觀 22年(648)에 설치되어 牢州의 치소가 되었다. 현의 治所는 오늘날 四川 鹽邊縣 西北部로 비정된다. 永徽 3年(652)에 폐지되어 昌明縣으로 편입되었다. 南詔는 이곳에 松外城을 설치하여, 劍川節度에 속하게 하였다. 樊綽의『蠻書』卷6에는 “昆明城在東瀘之西, ……正南至松外城.”이라고 적었다(『雲南志補注』, 1995: 87).
     바로가기
  • 각주 002)
    莊蹻: 戰國시대 楚나라의 장수로 長江을 거슬러 滇池 지역에 이르렀다가, 秦이 黔中郡을 설치하는 바람에 귀국하지 못하고, 전지 지역으로 돌아가 변복하고 滇國의 왕이 되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그에 관한 설화는『史記』「西南夷列傳」에 처음 등장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髻盤: 두발의 상투를 매어 돌린 것이 소반처럼 납작한 것을 형용한 것.
     바로가기
  • 각주 004)
    烏杯: 이 지역에서 쓰는 독특한 식기로, 검은 색에 대나무로 만든 잔으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5)
    鷄彝: 그릇의 표면에 닭의 그림을 새겨 넣은 彝를 지칭한다. 봄과 여름 祭祀의 降神에 明水나 鬱鬯을 담는 데 쓰인다. 鳥彝와 한 짝을 이루는 데, 봄 제사에서는 계이에 명수를 담고 조이에 울창을 담으며, 여름 제사에서는 계이에 울창을 담고 조이에 명수를 담는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당 태종, 유백영(劉伯英), 태종(太宗), 양건방(梁建方), 쌍사(雙舍), 건방
지명
야랑(夜郞), 전지(滇池), 서이하, 천축, 촉(蜀)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松外蠻의 습속 자료번호 : jo.k_0017_0222_1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