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12개의 曲名

  • 국가
    표(驃)
곡명(曲名)은 모두 12개이다. 첫째는 〈불인(佛印)〉인데, 표국(驃國)에서는 〈몰타미(沒馱彌)〉라고 한다. 표국 사람들과 천축(天竺) 사람들은 이 노래를 불러 국왕을 받든다. 둘째는 〈찬파라화(讚婆羅花)〉인데, 표국에서는 〈농망제(嚨莽第)〉라고 한다. 국인이 꽃으로 옷을 만들어 입어, 능히 그 몸을 깨끗이 한다는 내용이다. 셋째는 〈백합(白鴿)〉인데, 표국말로는 〈답도(荅都)〉라고 한다. [한 쌍의] 비둘기가 제멋대로 비상하고, 그쳐 깃들이는 모습을 미화하는 내용이다. 넷째는 〈백학유(白鶴游)〉인데, 표국말로는 〈소만저리(蘇謾底哩)〉라고 한다. [백학이] 날면 허공을 어루만지고, 걸을 때는 천천히 걷는 것을 말한다. 다섯째는 〈투양승(鬪羊勝)〉인데, 표국말로는 〈래내(來乃)〉라고 한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두 마리의 양이 바닷가에서 싸우는 것을 보았는데, 강한 놈은 계속 보이고 약한 놈은 산으로 들어갔다. 당시 사람들이 이것을 일컬어 ‘래내(來乃)’라고 했는데, 래내라는 것은 ‘승세(勝勢)’라는 뜻이다. 여섯째는 〈용수독금(龍首獨琴)〉인데, 표국말로는 〈미사미(彌思彌)〉이다. 이것은 하나의 현(絃)에 오음이 갖추어져 있다. 왕이 하나의 덕(德)으로 만방(萬邦)을 기르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 일곱째는 〈선정(禪定)〉인데, 표국말로는 〈체람시(掣覽時)〉라고 하는데, 세속을 떠나 번뇌에서 벗어나고 괴로움을 끊는 것을 말한다. 7곡(曲)의 창(唱)과 무(舞)는 모두 율이 황종의 상음(商音)에 호응한다. 여덟째는 〈감자왕(甘蔗王)〉인데, 표국에서는 〈알사략(遏思略)〉이라 말한다. 불법(佛法)이 민을 가르치는 것이 사탕수수의 달콤함과 같아서 모두 그 맛을 기뻐함을 말하는 것이다. 아홉째는 〈공작왕(孔雀王)〉인데, 표국말로 〈도대(桃臺)〉이다. [공작의] 털의 무늬가 빛나고 화려함을 말하는 것이다. 열째는 〈야아(野鵝)〉인데, [야아가] 날거나 머무르거나 반드시 짝을 지어 하고, 무리가[徒侶] 가지런히 모이는 것을 말한다. 열한째는 〈연락(宴樂)〉인데, 표국말로는 〈농총망마(嚨聰網摩)〉이다. 시절이 평안하여 연회(宴會)로 즐기는 것을 말한다. 열두째는 〈척번(滌煩)〉인데, 〈생무(笙舞)〉라고도 한다. 표국말로는 〈호방(扈那)〉이라고 한다. 때때로 번민(煩悶)을 씻고, 이로써 성정을 기르는 것을 말한다. 이 다섯 곡은 음률이 황종(黃鐘)의 양운[兩均]에 공명하는데, 하나는 황종(黃鐘) 상(商)의 이월조(伊越調)이고, 하나는 임종(林鐘) 상(商)의 소식조(小植調)이다. 악공은 모두 [몸이 검은] 곤륜인(崑崙人)이며, 진홍빛 무명을 입었고, 조하포(朝霞布)로 무릎을 가렸는데, 이것을 일러 극만(裓襔)이라고 한다. 두 어깨에는 조하포를 둘러 겨드랑이에 묶는다. 발과 팔에는 금과 보석으로 된 가락지와 팔찌를 하였다. 금관(金冠)을 쓰고, 좌우에 귀고리를 하였다. 납작한 끈으로 꿴 화만(花鬘)을 쓰고, 두 개의 비녀를 꽂아 머리를 눌렀다. 처음 악(樂)을 연주할 때, 찬자(贊者)가 한사람 있어서 연주를 앞서서 인도하고, 그 춤은 곡을 따른다. [춤에] 사람을 쓰는 것은 혹은 둘, 혹은 여섯, 혹은 넷, 혹은 여덟, 열 명에까지 이르는데, 모두 구슬로 만든 모자를 쓰며, 머리를 조아려 절하고 춤을 마친다. 그 악(樂)이 다섯의 통역을 거쳐 이르니, 덕종(德宗)서난타(舒難陀)에게 태복경(太僕卿)의 관직을 주어 돌려보냈다. 개주자사(開州주 001
각주 001)
開州: 西魏 廢帝 3年(553)에 설치되었으며, 治所는 東關郡 新寧縣으로 오늘날 四川省 開江縣 東北쪽의 沙壩場에 해당한다. 北周 天和 4年(569)에 치소를 周安郡 西流縣 곧 오늘날의 四川省 宣漢縣 東쪽의 南壩鎭으로 옮겼다. 관할구역은 四川省 開江縣과 開縣 및 宣漢縣 東南 지역에 상당하였다. 隋 大業 2年(606)에 폐지되었다. 唐 武德 元年(618)에 萬州를 고쳐서 설치하였으며, 治所는 盛山縣에 두었다. 盛山縣은 나중에 開江縣으로 고쳐졌으며, 四川省 開縣에 해당한다. 天寶 元年(742)에 고쳐서 盛山郡으로 삼았다가, 乾元 元年(758)에 다시 開州로 되돌렸다. 관할구역은 四川省 開縣에 해당하였다. 元대에는 夔州路에 속하였다. 明 洪武 6年(1373)에 강등되어 開縣이 되었다.
닫기
刺史) 당차(唐次)〈표국헌악송(驃國獻樂頌)〉을 지어 바쳤다. [문종(文宗)] 대화(大和)주 002
각주 002)
大和: 827년~835년.『新唐書』本紀에는 太和로 되어 있고,『舊唐書』本紀에는 大和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저본에도 大和로 되어 있다.
닫기
6년(832)에 남조(南詔)가 표국(驃國)의 민 3천을 약탈하여 자동(柘東) 주 003
각주 003)
柘東: 拓東城을 지칭한다. 南詔가 築城하였으며, 현재의 雲南省 昆明市에 비정된다.
닫기
으로 옮겼다.

  • 각주 001)
    開州: 西魏 廢帝 3年(553)에 설치되었으며, 治所는 東關郡 新寧縣으로 오늘날 四川省 開江縣 東北쪽의 沙壩場에 해당한다. 北周 天和 4年(569)에 치소를 周安郡 西流縣 곧 오늘날의 四川省 宣漢縣 東쪽의 南壩鎭으로 옮겼다. 관할구역은 四川省 開江縣과 開縣 및 宣漢縣 東南 지역에 상당하였다. 隋 大業 2年(606)에 폐지되었다. 唐 武德 元年(618)에 萬州를 고쳐서 설치하였으며, 治所는 盛山縣에 두었다. 盛山縣은 나중에 開江縣으로 고쳐졌으며, 四川省 開縣에 해당한다. 天寶 元年(742)에 고쳐서 盛山郡으로 삼았다가, 乾元 元年(758)에 다시 開州로 되돌렸다. 관할구역은 四川省 開縣에 해당하였다. 元대에는 夔州路에 속하였다. 明 洪武 6年(1373)에 강등되어 開縣이 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大和: 827년~835년.『新唐書』本紀에는 太和로 되어 있고,『舊唐書』本紀에는 大和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저본에도 大和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柘東: 拓東城을 지칭한다. 南詔가 築城하였으며, 현재의 雲南省 昆明市에 비정된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덕종(德宗), 서난타(舒難陀), 당차(唐次)
지명
표국(驃國), 표국, 남조(南詔), 자동(柘東)
서명
〈표국헌악송(驃國獻樂頌)〉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2개의 曲名 자료번호 : jo.k_0017_0222_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