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驃의 습속과 토산물

  • 국가
    표(驃)
표왕(驃王)의 성은 곤몰장(困沒長)이고 이름은 마라야(摩羅惹)이다. 그 재상의 이름은 마가사나(摩訶思那)이다. 왕이 외출할 때는 금줄로 침상을 묶은 가마를 타는데, 멀면 코끼리를 탄다. 빈(嬪)과 사(史)를 수백 인 거느렸다. 푸른색 벽돌로 둥근 성을 만들었는데, 둘레가 160리(里)이고, 열 두 개의 성문이 있으며, 네 귀퉁이에는 불탑을 지었다. 민은 모두 성안에 거주하며, 납과 주석으로 기와를 만들고, 여지(荔支) 나무주 001
각주 001)
荔枝: 쌍떡잎식물 무화자나무목 무화자나무과의 상록교목. 10미터에서 15미터까지 자람.
닫기
로 재목을 만든다. 풍속이 살생을 싫어한다. 절할 때는 손으로 팔을 감싸 안고 머리를 숙여 이마와 가지런히 하는 것을 공손한 것으로 여긴다. 천문에 밝고, 불법(佛法)을 좋아한다. 많은 사찰이 있다. 유리로 기와를 만들어 얹는데, 금과 은으로 무늬를 놓는다. 또 붉은 빛 무늬가 있는 자주색 쇳돌로 바닥을 깔고, 비단 같은 융단[錦罽]을 덮는다. 왕의 거처 또한 이와 같다. 민(民)이 7세가 되면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절에 머무르는데, 20세가 되어도 불법(佛法)에 통달하지 못하면 다시 민으로 돌아간다. 옷은 흰 모포와 조하포(朝霞布)로 짓는다. 누에를 쳐서 비단을 만드는 것을 생명을 해치는 것이라 여겨서, 감히 입지 않는다. 금화관(金華冠)과 취모(翠冒)를 쓰는데, 갖가지 구슬로 줄을 만들어 잡아맨다. 왕궁에는 금과 은으로 만든 두 개의 종(鍾)을 설치하여 놓았는데, 적이 이르면 향(香)을 사르고 종(鍾)을 쳐서 길흉을 점친다. 크고 하얀 상(象)이 있는데, 높이가 백 척(尺)이나 되었다. 송사(訟事)거리가 있는 사람은 향을 사르고 이 상(象) 앞에 꿇어앉아, 스스로 옳고 그름을 생각한 뒤에 물러 나온다. 재해나 돌림병이 생기면, 왕 또한 향을 사르고 이 상(象) 앞에 꿇어앉아 스스로를 책망한다. 차꼬와 쇠고랑은 없다. 죄지은 자가 있으면, 다섯 개를 하나로 묶은 대나무로 등을 때리는데, 무거운 자는 다섯 대, 가벼운 자는 세 대를 친다. 사람을 죽이면 사형에 처한다. 토양은 콩, 조, 기장에 알맞다. 사탕수수는 굵기가 정강이만 하고, 마(麻)와 보리는 없다. 금과 은으로 전(錢)을 만드는데, 모양이 반달 같고, 등가타(登伽佗)라고 부르는데, 족탄타(足彈陀)라고도 부른다. 유지(油脂)가 없어서, 밀랍에 향을 섞은 것으로 대신하여 불을 밝힌다. 시장을 열어 여러 만(蠻)과 교역을 하는데, 강저(江猪)주 002
각주 002)
江猪: 상괭이. 영문명 Finless Porpoise(Neophocaena phocaenoides).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여섯 종의 고래 중 하나이다. 쇠물돼지 혹은 무라치라 부르기도 한다. 몸빛은 회백색이며, 몸길이는 1.5~1.9 미터 정도까지 자란다. 등지느러미가 없는 대신에 높이 약 1센티미터의 융기가 나있다. 주요 분포지역은 아시아의 해안 특히,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와 일본 등지의 해안이다. 독특하게 담수에서 사는 종이 중국의 장강에서 발견된다.
닫기
와 백첩(白氎), 유리로 된 항아리와 장군을 서로 바꾼다. 부인은 머리카락을 정수리 위에 높게 감아 매고, 은 진주 구슬꿰미로 장식한다. 옷은 청사(靑娑) 치마를 입고, 나단(羅段)을 두른다. 다닐 때는 부채[혹은 햇볕가리개]를 가지고 다니는데, 귀족 가문의 부인은 부채를 들고 시중드는 사람이 5, 6명에 이른다. 성(城) 가까이 풀 한 포기 없는 모래 산이 있다. 땅은 또 파사(波斯) 주 003
각주 003)
波斯: 波斯는 일반적으로 페르시아(Persia)를 지칭하며, 대체로 압바스 왕조시기의 페르시아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미얀마 지역과 이란지역 사이에는 공간적 차이가 있으므로, 이는 실제적 표현이라기보다는 찬자의 관념적 표현으로 이해된다. 그렇지 않다면, 비슷한 발음을 가진 소국이 당시 동인도 지역에 존재하여야 할 것이다.
닫기
바라문(婆羅門) 주 004
각주 004)
婆羅門: 일반적으로 婆羅門은 Brahman으로 번역된다. 힌두의 바르나(varna) 제도에 따르면 브라만은 성직자 계층으로 ‘영감을 받은(inspired)’이란 의미인 비프라(Vipra) 또는 ‘두 번 태어난’이란 의미로 드비자(Dvija)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브라민(Brahmin)으로 발음된다. 아마도 여기에서는 브라흐민이 지배하는 인도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보인다.
닫기
과 붙어있는데, 서사리성(西舍利城)과 20일 거리 떨어져 있다. 서사리(西舍利)중천축(中天竺) 주 005
각주 005)
中天竺: 고중세시기 印度 전역을 다섯 개의 구획으로 나누었는데, 이것을 五天竺이라고 하였다. 그 중앙 부분의 여러 나라를 묶어서 中天竺이라고 불렀다. 혹은 인도 전역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불교 성지의 대부분이 중인도에 있기 때문이다.『大唐西域記』에서는 중인도 30국을 열거하고 있다. 다섯 개의 인도 중 중인도가 가장 크고 넓다.
닫기
이다. 남조(南詔)가 군사력이 강해져서 국경을 맞대게 되자 늘 기미하여 통제하였다.

  • 각주 001)
    荔枝: 쌍떡잎식물 무화자나무목 무화자나무과의 상록교목. 10미터에서 15미터까지 자람.
     바로가기
  • 각주 002)
    江猪: 상괭이. 영문명 Finless Porpoise(Neophocaena phocaenoides).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여섯 종의 고래 중 하나이다. 쇠물돼지 혹은 무라치라 부르기도 한다. 몸빛은 회백색이며, 몸길이는 1.5~1.9 미터 정도까지 자란다. 등지느러미가 없는 대신에 높이 약 1센티미터의 융기가 나있다. 주요 분포지역은 아시아의 해안 특히,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와 일본 등지의 해안이다. 독특하게 담수에서 사는 종이 중국의 장강에서 발견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波斯: 波斯는 일반적으로 페르시아(Persia)를 지칭하며, 대체로 압바스 왕조시기의 페르시아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미얀마 지역과 이란지역 사이에는 공간적 차이가 있으므로, 이는 실제적 표현이라기보다는 찬자의 관념적 표현으로 이해된다. 그렇지 않다면, 비슷한 발음을 가진 소국이 당시 동인도 지역에 존재하여야 할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婆羅門: 일반적으로 婆羅門은 Brahman으로 번역된다. 힌두의 바르나(varna) 제도에 따르면 브라만은 성직자 계층으로 ‘영감을 받은(inspired)’이란 의미인 비프라(Vipra) 또는 ‘두 번 태어난’이란 의미로 드비자(Dvija)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브라민(Brahmin)으로 발음된다. 아마도 여기에서는 브라흐민이 지배하는 인도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5)
    中天竺: 고중세시기 印度 전역을 다섯 개의 구획으로 나누었는데, 이것을 五天竺이라고 하였다. 그 중앙 부분의 여러 나라를 묶어서 中天竺이라고 불렀다. 혹은 인도 전역을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불교 성지의 대부분이 중인도에 있기 때문이다.『大唐西域記』에서는 중인도 30국을 열거하고 있다. 다섯 개의 인도 중 중인도가 가장 크고 넓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마라야(摩羅惹), 마가사나(摩訶思那)
지명
파사(波斯), 바라문(婆羅門), 서사리성(西舍利城), 서사리(西舍利), 중천축(中天竺), 남조(南詔)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驃의 습속과 토산물 자료번호 : jo.k_0017_0222_0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