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室利佛逝의 토산물과 唐 입조

  • 국가
    실리불서(室利佛逝)
실리불서(室利佛逝) 주 001
각주 001)
室利佛逝: 室利佛逝의 발음은 Sri Vijaya이다. 수마트라섬(蘇門答臘島)의 동남부 팔렘방(Palembang) 지역을 중심으로 흥기한 나라이며, 7세기 이후 扶南의 뒤를 이어 동남아 해상교역권을 장악한 나라이다. 강성해진 스리비자야는 말레이 반도의 국가들을 아우르고 자바 지역도 지배했다. 도서부 동남아시아에서의 해양제국이 등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1세기까지 동서 교역을 지배했으나, 11세기 인도에서 일어난 촐라(Chola) 왕국의 공격을 받아 극도로 쇠퇴했다(최병욱, 2006: 57). 13세기에 지금의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있었던 新柯沙里(Singosari)왕국에게 멸망당하였다(桂光華, 1992-2). 중국 史書에서는 10세기 경부터 三佛齊國이라 기록했으며, 동남아 일대 해상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廖大珂, 1993-3).
닫기
는 한편으로는 시리불서(尸利佛誓)라고도 한다. 군도롱산(軍徒弄山) 주 002
각주 002)
軍徒弄山: 軍突弄山이라고도 하며, 현재 베트남 메콩강에서 바다로 들어가는 입구의 Con Dao이다(趙文潤, 2004).『新唐書』「地理志」에서는, “廣州東南海行, ……至占不勞山, 山在環王國東二百里海中. 又南二日行至陵山. 又一日行, 至門毒國. 又一日行, 至古笪國. 又半日行, 至奔陀浪洲. 又兩日行, 到軍突弄山.”(『新唐書』: 1153)이라고 적었으며, 藤田豊八은 奔陀浪洲는 Padaran, 軍突弄山은 Pulo Condore 섬이라고 설명하였다(藤田豊八, 1943: 5).
닫기
을 지나 2천 리를 간다. 땅[의 넓이]는 동서 천 리, 남북 4천 리 남짓이다. 성이 14개 있는데, 두 나라[國]로 나누어 다스린다. 서쪽의 국(國)을 낭파로사(郞婆露斯)라고 부른다. 금, 홍사(汞砂),주 003
각주 003)
汞砂: cinnabar. 礦物名. 통칭하여 朱砂 혹은 辰砂라고 한다. 鏡面朱砂·丹砂·光明砂라고도 한다. 황화수은(HgS)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물이다. 순수한 것은 86.2%의 수은을 함유한다. 중국의 쓰촨성, 오스트리아의 이도리아, 에스파냐의 아르마덴, 미국의 캘리포니아 등은 옛날부터 유명한 산지이다. 한국에서는 평양시 삼석구역·평안남도·황해북도·함경북도 일부 지역에서 난다.
닫기
용뇌(龍腦)가 많이 난다. 하지(夏至)에 여덟 척의 해시계 기둥[表]을 세우면, 그림자가 기둥 남쪽에 2척 5촌 길이로 생긴다. 이 나라에는 남자가 많다. 낙타[橐它]가 있는데, 표범 무늬에 무소의 뿔을 가졌다. 승용과 경작용으로 사용하는데, 타우표(它牛豹)라고 부른다. 또 야생 돼지 비슷한 짐승이 있는데, 뿔은 산양 같다. 우(雩)라고 부르는데, 고기 맛이 좋아서 제사의 희생으로 쓴다. 그 왕은 “갈밀다(曷蜜多)”라고 부른다. [당 고종] 함형(咸亨) 연간(670~673)에서 [당 현종] 개원(開元) 연간에 이르는 사이에 여러 차례 사자를 보내 입조하였으며, 변리(邊吏)에게 침략당했다고 표를 올렸다. [이에] 광주(廣州)에 조를 내려 위무(慰撫)하도록 하였다. 또 난장이[侏儒]와 승기녀(僧祇女) 각기 2명과 가무인(歌舞人)을 바치니, 사자에게 관직을 주어 절충(折衝)주 004
각주 004)
折衝: 唐代 折衝府의 장관은 折衝都尉로 上府의 절충도위는 正4品上, 中府는 從4品下俯, 下府는 正5品下에 해당하였다. 이외에도 절충부에는 長史·兵曹·別將 등이 있었다. 여기서 折衝은 아마도 折衝都尉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닫기
으로 삼고, 그 왕은 좌위위대장군(左威衛大將軍)주 005
각주 005)
左威衛大將軍: 唐 府兵 16衛 가운데 兩衛로 皇城의 동쪽 수비를 담당하였다. 上將軍 1명, 大將軍 1명, 將軍 1명이 있었으며, 대장군은 正3品이었다.
닫기
으로 삼았다. 그리고 자포(紫袍)와 금세대(金細帶)를 내렸다. 나중에 아들을 보내 입조하여 방물을 바치니, 조를 내려 곡강(曲江) 주 006
각주 006)
曲江: 唐 長安城 동남쪽에 위치한 곳으로, 玄宗 때 이곳을 준설하여 정비한 후 명승지가 되었다. 玄宗은 이곳에서 관료들을 위로하는 연회를 자주 베풀었으며, 특히 進士에 합격한 이들을 위한 聞喜宴을 성대하게 베풀었다. 봄에는 많은 꽃이 피어 상춘객들을 유인하였으며, 당대 시인들의 마음을 유혹하는 장소이기도 했다.
닫기
에서 연회를 베풀게 하고, 재상을 보내 만나 빈의왕(賓義王)으로 책봉하고, 우금오위대장군(右金吾衛大將軍)주 007
각주 007)
右金吾衛大將軍: 唐 府兵 16衛 가운데 兩衛로 宮中·京城巡警 등을 담당하였다. 上將軍 1명, 大將軍 1명, 장군 1명이 있었으며, 대장군은 正3品이었다.
닫기
을 주어 돌려보냈다.

  • 각주 001)
    室利佛逝: 室利佛逝의 발음은 Sri Vijaya이다. 수마트라섬(蘇門答臘島)의 동남부 팔렘방(Palembang) 지역을 중심으로 흥기한 나라이며, 7세기 이후 扶南의 뒤를 이어 동남아 해상교역권을 장악한 나라이다. 강성해진 스리비자야는 말레이 반도의 국가들을 아우르고 자바 지역도 지배했다. 도서부 동남아시아에서의 해양제국이 등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1세기까지 동서 교역을 지배했으나, 11세기 인도에서 일어난 촐라(Chola) 왕국의 공격을 받아 극도로 쇠퇴했다(최병욱, 2006: 57). 13세기에 지금의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있었던 新柯沙里(Singosari)왕국에게 멸망당하였다(桂光華, 1992-2). 중국 史書에서는 10세기 경부터 三佛齊國이라 기록했으며, 동남아 일대 해상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廖大珂, 1993-3).
     바로가기
  • 각주 002)
    軍徒弄山: 軍突弄山이라고도 하며, 현재 베트남 메콩강에서 바다로 들어가는 입구의 Con Dao이다(趙文潤, 2004).『新唐書』「地理志」에서는, “廣州東南海行, ……至占不勞山, 山在環王國東二百里海中. 又南二日行至陵山. 又一日行, 至門毒國. 又一日行, 至古笪國. 又半日行, 至奔陀浪洲. 又兩日行, 到軍突弄山.”(『新唐書』: 1153)이라고 적었으며, 藤田豊八은 奔陀浪洲는 Padaran, 軍突弄山은 Pulo Condore 섬이라고 설명하였다(藤田豊八, 1943: 5).
     바로가기
  • 각주 003)
    汞砂: cinnabar. 礦物名. 통칭하여 朱砂 혹은 辰砂라고 한다. 鏡面朱砂·丹砂·光明砂라고도 한다. 황화수은(HgS)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물이다. 순수한 것은 86.2%의 수은을 함유한다. 중국의 쓰촨성, 오스트리아의 이도리아, 에스파냐의 아르마덴, 미국의 캘리포니아 등은 옛날부터 유명한 산지이다. 한국에서는 평양시 삼석구역·평안남도·황해북도·함경북도 일부 지역에서 난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折衝: 唐代 折衝府의 장관은 折衝都尉로 上府의 절충도위는 正4品上, 中府는 從4品下俯, 下府는 正5品下에 해당하였다. 이외에도 절충부에는 長史·兵曹·別將 등이 있었다. 여기서 折衝은 아마도 折衝都尉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5)
    左威衛大將軍: 唐 府兵 16衛 가운데 兩衛로 皇城의 동쪽 수비를 담당하였다. 上將軍 1명, 大將軍 1명, 將軍 1명이 있었으며, 대장군은 正3品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曲江: 唐 長安城 동남쪽에 위치한 곳으로, 玄宗 때 이곳을 준설하여 정비한 후 명승지가 되었다. 玄宗은 이곳에서 관료들을 위로하는 연회를 자주 베풀었으며, 특히 進士에 합격한 이들을 위한 聞喜宴을 성대하게 베풀었다. 봄에는 많은 꽃이 피어 상춘객들을 유인하였으며, 당대 시인들의 마음을 유혹하는 장소이기도 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右金吾衛大將軍: 唐 府兵 16衛 가운데 兩衛로 宮中·京城巡警 등을 담당하였다. 上將軍 1명, 大將軍 1명, 장군 1명이 있었으며, 대장군은 正3品이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당 고종, 당 현종
지명
실리불서(室利佛逝), 시리불서(尸利佛誓), 군도롱산(軍徒弄山), 낭파로사(郞婆露斯), 광주(廣州), 곡강(曲江)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室利佛逝의 토산물과 唐 입조 자료번호 : jo.k_0017_0222_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