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남조의 추룡이 사자의 일로 침입함

  • 국가
    남조(南詔)
추룡은 그 사자를 죽인 것을 원망하여 [함통(咸通)] 10년(869) 마침내 침입하였다. [그는] 군대를 청계관(靑溪關) 주 001
각주 001)
靑溪關: 淸溪關이라고도 한다. 오늘날 四川 漢源縣 서남, 甘洛縣 서북의 交界에 위치한 樺槁林山일대에 해당한다.
닫기
에 남겨둔 채로, 은밀히 무리를 모아 나무를 베고 길을 열어, 눈덮인 고개를 넘었다. 한 여름주 002
각주 002)
『新唐書』卷9 「懿宗紀」에 따르면 함통 10년(869) 12월 임자 운남만이 가주를 침략한 것으로 되어 있고,『舊唐書』卷19上 「懿宗紀」에 따르면 함통 10년 11월 南詔蠻 驃信 坦綽 酋龍이 2만을 이끌고 수주를 침략한 것으로 되어 있으니 남조의 서천침입은 11월에서 12월 겨울의 일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본문에서는 ‘盛夏’이라고 기록하였으니 이는 착오이다. 한편『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년 冬 10월조에 대한『資治通鑑考異』에서도 張雲의『咸通解圍錄』에서 함통 10년 10월 남조가 董舂烏部落을 공격하고 沐源川으로 나와 마침내 嘉州에 임박하게 되었다고 한 점, 그리고 앞서 말한『舊唐書』와『新唐書』본기의 기사를 근거로『新唐書』「南詔傳」의 ‘盛夏’라는 기록은 잘못된 것임을 지적하였다.
닫기
인데도 얼어 죽은 병졸이 2천이나 되었다. 목원(沐源) 주 003
각주 003)
沐源:『新唐書』卷42 「劍南道」 嘉州조에 따르면 목원은 가주에 있는 22鎭 가운데 하나로 오늘날 四川 沐川縣에 해당한다. 唐 乾符 2년(875)에 수축되었다.
닫기
쪽으로 나와 가주(嘉州) 주 004
각주 004)
嘉州: 北周 大成 원년(579)에 靑州를 개편하여 설치하였는데, 치소는 平羌郡 平羌縣으로 지금의 四川 樂山市에 해당한다. 지금의 四川 樂山과 峨眉山 峨邊 등을 통할하였다. 隋 大業 3년(607)에 眉山郡으로 개칭되었다가 唐 武德 원년(618)에 嘉州로 복원되었다. 치소는 龍遊縣으로 개편되었다. 天寶 원년(742) 犍爲郡이 되었다가 乾元 元年(758)에 다시 嘉州가 되었다. 통할범위가 넓어져 지금의 夾江, 犍爲, 馬邊縣 등을 포괄하였다.
닫기
를 넘보며, [조정에] 복속한 만주 005
각주 005)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년 冬 10월조에 따르면 이달 남조의 표신 추룡이 국력을 기울여 침략을 시작하였는데 수만의 무리를 인솔하여 東舂烏部를 공격, 이를 격파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한 호삼성의 주석에 따르면 동용오부는 서천에 부속된 변경의 만이라고 하였으니 본문에서 말한 ‘복속한 蠻’은 바로 이들을 두고 말한 것이다. 한편 이 기사에 대한『資治通鑑考異』에서 인용된 張雲의『咸通解圍錄』에서는『통감』의 ‘東舂烏部’가 ‘董舂烏部落’으로 되어 있다.
닫기
을 깨뜨리고, 마침내 목원에 이르렀다. 두방(竇滂)연해(兗海) 주 006
각주 006)
兗海:『舊唐書』卷38 「地理」1에 따르면 兗海節度使가 있고 그 치소는 兗州라고 하였으니 본문에서 말한 연해는 연해절도사의 관내를 말한 것이다. 연주는 오늘날 山東 兗州市 일대에 해당한다.
닫기
의 병사 5백을 파견하여 가서 싸우게 하였는데, 모든 군대가 무너졌다.주 007
각주 007)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년 11월조에 따르면 두방이 연해의 장수인 黃綽을 보내 군사 5백을 거느리고 가서 항거하게 하였으나 모든 군대가 전멸을 당한 것으로 되어 있다.
닫기
추룡은 이에 몸소 장군이 되어 무리 5만을 거느리고 수주에 침입하여, 청계관을 공격하였다. 둔장(屯將) 두재영(杜再榮)대도하(大度河)를 버리고 달아나자, 모든 둔이 퇴각하여 북쪽 강변을 지켰다.주 008
각주 008)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년 11월조에 따르면 定邊都頭인 安再榮이 청계관을 수비하다 남조가 공격하자 재영은 후퇴하여 대도하의 북쪽에 주둔했으며 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화살을 쏘아대기를 98일간 한 것으로 되어있다. 한편『舊唐書』卷19上 「懿宗紀」에 따르면 역시 함통 10년 11월 定邊軍節度都頭 安再榮이 청계관을 수비하였는데 남조군의 공격을 받게 되자 재영은 후퇴하여 대도하를 지켰다. 청계관과 주둔지와의 거리는 200리였는데 강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가 화살을 쏘아대기를 98일간이나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본문의 ‘杜再榮’이『資治通鑑』과『舊唐書』에서는 ‘安再榮’으로 되어 있으니 본문의 ‘杜再榮’은 ‘安再榮’의 오기임이 분명하다. 또한 본문에서는 두재영이 대도하를 버리고 도주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역시『舊唐書』本紀,『資治通鑑』에 따르면 그는 청계관에서 후퇴한 것일 뿐, 도주한 것은 아니다.
닫기
만이 여주(黎州)를 공격하였는데, 거짓으로 한인(漢人)의 복색을 하고 강주 009
각주 009)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年 12月 丁酉조에 대한 호삼성의 주석에 따르면 본문에서 말한 ‘江’은 靑衣江이다. 청의강은 오늘날 四川 서부에 위치한 大渡河의 최대지류이다.
닫기
을 건너 건위(犍爲) 주 010
각주 010)
犍爲: 隋 開皇 3년(583) 武陽縣을 지명을 바꾸어 설치한 것으로 戎州에 속하였으며, 치소는 지금의 四川 犍爲縣 동남 15리 岷江 東岸에 있었다. 大業초에 犍爲郡에 속하였다가 唐 武德初에는 戎州에 속하였다. 上元 원년(674)에 다시 嘉州에 속하였다.
닫기
를 습격, 이를 격파하였다. [그리고 나서는] 능주(陵州) 주 011
각주 011)
陵州:『元和郡縣圖志』卷33 「劒南道」下 ‘陵州’조에 따르면 능주는 劒南東川節度使 소속의 주로, 오늘날 四川 仁壽縣일대이다.
닫기
영주(榮州) 주 012
각주 012)
榮州:『元和郡縣圖志』卷33 「劒南道」下 ‘榮州’조에 따르면 영주는 劒南東川節度使 소속의 주로, 오늘날 四川 自貢市 일대에 해당한다.
닫기
사이를 오가며 건물을 불태우고 식량과 가축을 약탈하였다. [남조군이] 가주(嘉州)에 임박하자, 자사 양민(楊忞)남조와 강을 사이에 두고 진영을 설치하였다. 병사들이 화살을 집중하여 날리니, 만이 감히 전진하지 못하였다. [이에] 몰래 상류에서 강을 건너 배후에서 조정의 군대를 공격하였다. 충무장(忠武將) 안경사(顔慶師)를 죽이니, 양민은 달아났고, 가주는 함락되었다.주 013
각주 013)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年 12月 丁酉조에 따르면 남조군이 능주와 영주일대를 약탈한 지, 여러 날 후에 陵雲寺에 대대적으로 결집하여 가주와 연안을 마주하게 되었다. 자사 楊忞은 定邊監軍 張允瓊과 함께 군사를 독려하여 항거하였다. 그러자 남조군은 몰래 복병을 보내 동쪽 나루터에서 강을 건너 앞뒤로 관군을 협공, 忠武都將 安慶師를 살해하니 나머지 군대는 모두 붕궤되고 양민, 장윤경은 몸만 빠져나왔다. 결국 壬子에 가주가 함락되었다. 이에 대한 호삼성의 주석에 따르면 능운사는 가주의 남산에 위치하는데 개원연간 승려 海通이 瀆江, 沫水, 濛水 三江이 모이며 지류가 드세고 물결이 세찬 물가의 산을 깎아 彌勒大像을 조성하였다. 그 높이가 360척이며 7층의 누각을 세워 이 불상을 덮었다고 하였으니 이는 오늘날 四川 樂山市 凌雲山에 위치한 樂山大佛을 말한 것이다.
닫기
이듬해 정월 두재영을 공격하자, 두방이 스스로 군대를 독려하여 싸움에 나섰다. 추룡이 사자 십여 명을 보내 강화를 청하니, 두방이 그것을 믿었다. [그러나] 회담이 반도 진행되기 전에 만의 뗏목들이 이쪽 강기슭으로 다투어 몰려와 소리를 지르며 진격하니, 두방이 어찌 할 바를 모르다가 자살하려 하였다. 무령장(武寧將) 묘전서(苗全緖)가 그를 말리고, 죽을 힘을 다해 싸우니, 만이 조금씩 물러났다. 이 틈을 타서 두방이 도망쳤고, 전서는 나중에서야 뒤따라갔다.주 014
각주 014)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年 12月조에 따르면 苗全緖와 安再榮, 忠武의 장수 3인이 군사들을 독려하여 나아가 싸우니 두방은 이틈을 타서 單騎로 밤중에 도망을 쳤다. 그러자 이들 세 장수는 야밤에 남조군을 급습하여 소란해진 틈을 타, 포위를 벗어나기로 하였다. 마침내 이들이 밤중에 남조군의 진영으로 돌진하여 궁노를 마구 쏘아대니 남조군이 크게 놀라게 되었고 세 장수는 이틈을 타 전군을 이끌고 퇴각하였다.『舊唐書』卷19上 「懿宗紀」 咸通 10年 12月조에 따르면 이들 세 장수는 全緒, 再榮, 弘節이니『통감』에서 말한 ‘충무의 장수’는 바로 弘節을 말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문에서 ‘전서가 나중에야 갔다’고 한 것은 바로 전서, 재영, 홍절 세 장수가, 두방이 도망친 후 포위를 풀고 후퇴한 사정을 말한 것이다.
닫기
여주가 함락되자, 사람들은 산과 골짜기로 달아나 숨었으며 만이 약탈한 금과 비단은 지고 가지 못할 정도였다. [남조의 군대가 또] 공래관(邛崍關)으로부터 들어와 아주(雅州)를 에워싸고, 마침내 공주(邛州)를 공격하였다.주 015
각주 015)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年 12月 조에 따르면 당군은 패하고 후퇴하는 와중에 방화와 노략질하여 공주성의 군수물자는 모두 이들 패잔병들의 손에 의해 없어지고 말았다. 남조군이 공주에 당도했을 때 성은 이미 텅 비어있었고 군대가 움직이는데 전혀 지장이 없을 정도였다.
닫기
이해 겨울 두방은 공주성을 버리고 도강(導江) 주 016
각주 016)
導江: 오늘날 四川 중부의 岷江이다. 또는 導江縣을 말하기도 한다.『元和郡縣圖志』卷31 「劒南道」上 彭州조에 따르면 도강현은 팽주 소속의 현이다. 원래의 명칭은 灌寧縣이었는데 무덕 2년(619) 도강현으로 고쳤다. ‘導江’이란 명칭은『尙書』「禹貢」의 ‘岷山으로 강물을 통하게 하다(岷山導江)’라는 뜻에서 그 이름을 취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볼 때, 도강은 도강현을 지나는 하천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두방이 도강에 방벽을 쳤다’라고 한 본문의 언급으로 볼 때, 도강현의 縣城에 또 방벽은 쌓았다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아마도 도강의 江岸을 배경으로 하여 방벽을 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문에서 말한 도강은 도강현이 아닌 하천 도강으로 보는 것이 옳다.
닫기
에 방벽을 쳤는데, 쌓아 두었던 물자와 병장기는 모두 잃고 말았다.

  • 각주 001)
    靑溪關: 淸溪關이라고도 한다. 오늘날 四川 漢源縣 서남, 甘洛縣 서북의 交界에 위치한 樺槁林山일대에 해당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新唐書』卷9 「懿宗紀」에 따르면 함통 10년(869) 12월 임자 운남만이 가주를 침략한 것으로 되어 있고,『舊唐書』卷19上 「懿宗紀」에 따르면 함통 10년 11월 南詔蠻 驃信 坦綽 酋龍이 2만을 이끌고 수주를 침략한 것으로 되어 있으니 남조의 서천침입은 11월에서 12월 겨울의 일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본문에서는 ‘盛夏’이라고 기록하였으니 이는 착오이다. 한편『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년 冬 10월조에 대한『資治通鑑考異』에서도 張雲의『咸通解圍錄』에서 함통 10년 10월 남조가 董舂烏部落을 공격하고 沐源川으로 나와 마침내 嘉州에 임박하게 되었다고 한 점, 그리고 앞서 말한『舊唐書』와『新唐書』본기의 기사를 근거로『新唐書』「南詔傳」의 ‘盛夏’라는 기록은 잘못된 것임을 지적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沐源:『新唐書』卷42 「劍南道」 嘉州조에 따르면 목원은 가주에 있는 22鎭 가운데 하나로 오늘날 四川 沐川縣에 해당한다. 唐 乾符 2년(875)에 수축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嘉州: 北周 大成 원년(579)에 靑州를 개편하여 설치하였는데, 치소는 平羌郡 平羌縣으로 지금의 四川 樂山市에 해당한다. 지금의 四川 樂山과 峨眉山 峨邊 등을 통할하였다. 隋 大業 3년(607)에 眉山郡으로 개칭되었다가 唐 武德 원년(618)에 嘉州로 복원되었다. 치소는 龍遊縣으로 개편되었다. 天寶 원년(742) 犍爲郡이 되었다가 乾元 元年(758)에 다시 嘉州가 되었다. 통할범위가 넓어져 지금의 夾江, 犍爲, 馬邊縣 등을 포괄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5)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년 冬 10월조에 따르면 이달 남조의 표신 추룡이 국력을 기울여 침략을 시작하였는데 수만의 무리를 인솔하여 東舂烏部를 공격, 이를 격파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한 호삼성의 주석에 따르면 동용오부는 서천에 부속된 변경의 만이라고 하였으니 본문에서 말한 ‘복속한 蠻’은 바로 이들을 두고 말한 것이다. 한편 이 기사에 대한『資治通鑑考異』에서 인용된 張雲의『咸通解圍錄』에서는『통감』의 ‘東舂烏部’가 ‘董舂烏部落’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兗海:『舊唐書』卷38 「地理」1에 따르면 兗海節度使가 있고 그 치소는 兗州라고 하였으니 본문에서 말한 연해는 연해절도사의 관내를 말한 것이다. 연주는 오늘날 山東 兗州市 일대에 해당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7)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년 11월조에 따르면 두방이 연해의 장수인 黃綽을 보내 군사 5백을 거느리고 가서 항거하게 하였으나 모든 군대가 전멸을 당한 것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년 11월조에 따르면 定邊都頭인 安再榮이 청계관을 수비하다 남조가 공격하자 재영은 후퇴하여 대도하의 북쪽에 주둔했으며 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화살을 쏘아대기를 98일간 한 것으로 되어있다. 한편『舊唐書』卷19上 「懿宗紀」에 따르면 역시 함통 10년 11월 定邊軍節度都頭 安再榮이 청계관을 수비하였는데 남조군의 공격을 받게 되자 재영은 후퇴하여 대도하를 지켰다. 청계관과 주둔지와의 거리는 200리였는데 강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가 화살을 쏘아대기를 98일간이나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본문의 ‘杜再榮’이『資治通鑑』과『舊唐書』에서는 ‘安再榮’으로 되어 있으니 본문의 ‘杜再榮’은 ‘安再榮’의 오기임이 분명하다. 또한 본문에서는 두재영이 대도하를 버리고 도주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역시『舊唐書』本紀,『資治通鑑』에 따르면 그는 청계관에서 후퇴한 것일 뿐, 도주한 것은 아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年 12月 丁酉조에 대한 호삼성의 주석에 따르면 본문에서 말한 ‘江’은 靑衣江이다. 청의강은 오늘날 四川 서부에 위치한 大渡河의 최대지류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0)
    犍爲: 隋 開皇 3년(583) 武陽縣을 지명을 바꾸어 설치한 것으로 戎州에 속하였으며, 치소는 지금의 四川 犍爲縣 동남 15리 岷江 東岸에 있었다. 大業초에 犍爲郡에 속하였다가 唐 武德初에는 戎州에 속하였다. 上元 원년(674)에 다시 嘉州에 속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1)
    陵州:『元和郡縣圖志』卷33 「劒南道」下 ‘陵州’조에 따르면 능주는 劒南東川節度使 소속의 주로, 오늘날 四川 仁壽縣일대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2)
    榮州:『元和郡縣圖志』卷33 「劒南道」下 ‘榮州’조에 따르면 영주는 劒南東川節度使 소속의 주로, 오늘날 四川 自貢市 일대에 해당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3)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年 12月 丁酉조에 따르면 남조군이 능주와 영주일대를 약탈한 지, 여러 날 후에 陵雲寺에 대대적으로 결집하여 가주와 연안을 마주하게 되었다. 자사 楊忞은 定邊監軍 張允瓊과 함께 군사를 독려하여 항거하였다. 그러자 남조군은 몰래 복병을 보내 동쪽 나루터에서 강을 건너 앞뒤로 관군을 협공, 忠武都將 安慶師를 살해하니 나머지 군대는 모두 붕궤되고 양민, 장윤경은 몸만 빠져나왔다. 결국 壬子에 가주가 함락되었다. 이에 대한 호삼성의 주석에 따르면 능운사는 가주의 남산에 위치하는데 개원연간 승려 海通이 瀆江, 沫水, 濛水 三江이 모이며 지류가 드세고 물결이 세찬 물가의 산을 깎아 彌勒大像을 조성하였다. 그 높이가 360척이며 7층의 누각을 세워 이 불상을 덮었다고 하였으니 이는 오늘날 四川 樂山市 凌雲山에 위치한 樂山大佛을 말한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4)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年 12月조에 따르면 苗全緖와 安再榮, 忠武의 장수 3인이 군사들을 독려하여 나아가 싸우니 두방은 이틈을 타서 單騎로 밤중에 도망을 쳤다. 그러자 이들 세 장수는 야밤에 남조군을 급습하여 소란해진 틈을 타, 포위를 벗어나기로 하였다. 마침내 이들이 밤중에 남조군의 진영으로 돌진하여 궁노를 마구 쏘아대니 남조군이 크게 놀라게 되었고 세 장수는 이틈을 타 전군을 이끌고 퇴각하였다.『舊唐書』卷19上 「懿宗紀」 咸通 10年 12月조에 따르면 이들 세 장수는 全緒, 再榮, 弘節이니『통감』에서 말한 ‘충무의 장수’는 바로 弘節을 말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문에서 ‘전서가 나중에야 갔다’고 한 것은 바로 전서, 재영, 홍절 세 장수가, 두방이 도망친 후 포위를 풀고 후퇴한 사정을 말한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5)
    『資治通鑑』卷251 「唐紀」67 咸通 10年 12月 조에 따르면 당군은 패하고 후퇴하는 와중에 방화와 노략질하여 공주성의 군수물자는 모두 이들 패잔병들의 손에 의해 없어지고 말았다. 남조군이 공주에 당도했을 때 성은 이미 텅 비어있었고 군대가 움직이는데 전혀 지장이 없을 정도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6)
    導江: 오늘날 四川 중부의 岷江이다. 또는 導江縣을 말하기도 한다.『元和郡縣圖志』卷31 「劒南道」上 彭州조에 따르면 도강현은 팽주 소속의 현이다. 원래의 명칭은 灌寧縣이었는데 무덕 2년(619) 도강현으로 고쳤다. ‘導江’이란 명칭은『尙書』「禹貢」의 ‘岷山으로 강물을 통하게 하다(岷山導江)’라는 뜻에서 그 이름을 취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볼 때, 도강은 도강현을 지나는 하천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두방이 도강에 방벽을 쳤다’라고 한 본문의 언급으로 볼 때, 도강현의 縣城에 또 방벽은 쌓았다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아마도 도강의 江岸을 배경으로 하여 방벽을 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문에서 말한 도강은 도강현이 아닌 하천 도강으로 보는 것이 옳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추룡, 두방(竇滂), 추룡, 두재영(杜再榮), 양민(楊忞), 안경사(顔慶師), 양민, 두재영, 두방, 추룡, 두방, 두방, 묘전서(苗全緖), 두방, 전서, 두방
지명
청계관(靑溪關), 목원(沐源), 가주(嘉州), 목원, 연해(兗海), 수주, 청계관, 대도하(大度河), 여주(黎州), 건위(犍爲), 능주(陵州), 영주(榮州), 가주(嘉州), 남조, 가주, 여주, 남조, 공래관(邛崍關), 아주(雅州), 공주(邛州), 도강(導江)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남조의 추룡이 사자의 일로 침입함 자료번호 : jo.k_0017_0222_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