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이모심이 위고와 토번을 치고자 함

  • 국가
    남조(南詔)
[정원(貞元)] 15년(799)에 이모심토번을 칠 것을 모의하였다. 등천(邆川) 주 001
각주 001)
邆川城: 德源城이라고도 칭하는데, 南詔 邆川賧의 治所였다. 지금의 雲南 洱源縣 남 36里 鄧川鎭 동북 德源城遺址에 있다.
닫기
영북(寧北) 주 002
각주 002)
寧北: 지금의 雲南 洱源縣 동남 22里에 있는 寧北城으로 南詔에서 節度를 설치하였다.
닫기
등의 성들이 공격로에 해당하였으므로, 가파른 산에 깊은 해자를 만들어 싸울 준비를 하였다. 황제는 출병하여 조력할 것을 허락하였다. 또 [이모심은] 위고(韋皐)에게 대신 자제를 볼모로 보내겠다고 청하였다. 위고가 사양하였으나 굳이 청하므로 모두 성도(成都)에 살면서 취학하도록 하였다. 또 “곤명수주(雟州)토번과 접하여 있으니 먼저 군대를 늘리지 않으면, 적에게 위협을 받아 도리어 우리의 걱정거리가 될 것입니다”라고 말하면서, 위고에게 대책을 세울 것을 청하였다. 당시 의 군대는 해마다 경서(京西)삭방(朔方) 지역에 주둔하였데, 군량을 잔뜩 쌓아놓고 남북으로 동시에 공격하여 고지를 취하려 하고 있었다. 그러나 남방의 경우에는 군량 수송 기한이 늦추어지고, 병사는 모두 모이지 않았다. 이해 여름 적에 흉년이 들고 돌림병이 창궐한 데다, 찬보(贊普)주 003
각주 003)
贊普: 吐蕃에서 王에 대한 호칭으로, ‘贊’은 ‘雄強’의 뜻이고, ‘普’는 남자를 의미한다.
닫기
가 죽고 새로운 군주가 즉위하였다. 위고는 적이 감히 움직이지 못할 것이라 짐작하고, 이모심에게 “천천히 거행하여 만전을 기하는 것이 서두르다 공이 없는 것보다 낫습니다. 지금 국경 지역에는 전보다 열 배는 많은 군대가 있고 또 행영(行營)이 모두 수주에 있으니, 서로(西瀘)에서 토번의 길을 장악하면 곤명과 농동은 걱정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권하였다. 이모심은 다른 해에 기약하기를 청하였다.

  • 각주 001)
    邆川城: 德源城이라고도 칭하는데, 南詔 邆川賧의 治所였다. 지금의 雲南 洱源縣 남 36里 鄧川鎭 동북 德源城遺址에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寧北: 지금의 雲南 洱源縣 동남 22里에 있는 寧北城으로 南詔에서 節度를 설치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3)
    贊普: 吐蕃에서 王에 대한 호칭으로, ‘贊’은 ‘雄強’의 뜻이고, ‘普’는 남자를 의미한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이모심, 이모심, 위고(韋皐), 위고, 위고, 이모심, 이모심
지명
토번, 등천(邆川), 영북(寧北), 성도(成都), 곤명, 수주(雟州), 토번, 위고, , 경서(京西), 삭방(朔方), 수주, 토번, 곤명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모심이 위고와 토번을 치고자 함 자료번호 : jo.k_0017_0222_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