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아육왕사(阿育王寺)의 탑에서 사리를 꺼냄

  • 국가
    제박국(諸薄國)
이에 앞서 대동(大同) 3년(537) 8월에 고조(高祖) [양무제(梁武帝)]가 아육왕사(阿育王寺)주 001
각주 001)
阿育王寺: 金陵[南京]의 長干寺를 지칭한다(주경미, 2009: 384).
닫기
의 탑(塔)주 002
각주 002)
스투파(塔): 나까무라 하지메는 스투파(탑)와 그 숭배에 관하여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스투파란 원래 ‘포개어 쌓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묘이며, 따라서 이것은 화장 의식과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체를 화장하는 관습은 물론 불교 이전의 것이지만, 화장한 유골을 스투파 속에 모시고 예배의 대상으로 삼은 관습이 불교 이전의 것이라는 확증은 없다. 그러나 석존이 입멸하여 화장된 다음, 그 유골(사리라: 사리, 舍利)이 스투파에 모셔져 숭배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마하파리닙바나 숫탄타」(대반열반경)에 나오는 이른바 불사리 여덟 등분의 전승은 역사적 사실로 믿어도 좋을 것이다. 이 경전에서는 석존의 입멸 직전에 시자인 아난다가 사리의 숭배에 관하여 묻는 장면이 있다. 이에 대하여 석존은 불탑 숭배는 재가 신자가 해야할 일이지 수행자(비구)가 관여할 일이 아니라고 가르치고 있다. 이 전승의 사실성 여부는 확실치 않다. 그러나 적어도 이 전승이 만들어져서 「마하파리닙바나 숫탄타」로 집성되었을 시점에는 탑 숭배가 재가 신자의 신앙양식으로서 비구가 관여할 문제가 아니라는 사고 방식이 교단의 지도자들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불타의 입멸 후 아쇼카왕이 여덟 개의 불사리탑에서 불사리를 모아서 이것들을 다시 나누어 8만 4천개의 탑을 세웠다는 전승도 불탑 숭배가 불교도 사이에 정착되었음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나까무라 하지메, 1984: 356).
닫기
을 고쳐 세우면서, 구탑(舊塔) 아래에서 사리(舍利) 및 부처의 손톱과 머리카락을 꺼내었다. 머리카락은 청감색(靑紺色)이었다. 많은 승려들이 [제각기] 손으로 머리카락을 펴보았는데, 손의 힘에 따라 늘어나기도 하고 줄기도 하였으며, 놓으면 돌돌 말려서 나선형이 되었다. 살피건대, 『승가경(僧伽經)』에 이르기를, “부처의 머리카락은 푸르고 가늘어 마치 연(蓮)의 줄기로 만든 실[藕莖絲]과 같다.”라고 하였다. 『불삼매경(佛三昧經)주 003
각주 003)
佛三昧經: 『佛說觀佛三昧海經』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佛說觀佛三昧海經』 東晉天竺三藏佛陀跋陀羅譯 六譬品第一에는 “昔我在宮乳母爲我沐頭 …… 今當量髮知其尺度. 卽敕我申髮. 母以尺量. 長一丈二尺五寸. 放已右旋還成蠡文”이라는 문장이 있다(T15n0643_p0649a21 ∼T15n0643_p0649a24, http://w3.cbeta.org/cgi-bin/goto.pl).
닫기
에 이르기를, “내가 옛날에 궁에서 머리를 감으면서 자로 머리카락의 길이를 잰 적이 있는데, 길이가 1장 2척이었으며 [잡았다가] 놓으면 오른쪽으로 돌면서 나선형 모양으로 돌아갔다.”라고 하였으니, 고조가 얻은 것과 같다.

  • 각주 001)
    阿育王寺: 金陵[南京]의 長干寺를 지칭한다(주경미, 2009: 384).
     바로가기
  • 각주 002)
    스투파(塔): 나까무라 하지메는 스투파(탑)와 그 숭배에 관하여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스투파란 원래 ‘포개어 쌓은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묘이며, 따라서 이것은 화장 의식과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체를 화장하는 관습은 물론 불교 이전의 것이지만, 화장한 유골을 스투파 속에 모시고 예배의 대상으로 삼은 관습이 불교 이전의 것이라는 확증은 없다. 그러나 석존이 입멸하여 화장된 다음, 그 유골(사리라: 사리, 舍利)이 스투파에 모셔져 숭배된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마하파리닙바나 숫탄타」(대반열반경)에 나오는 이른바 불사리 여덟 등분의 전승은 역사적 사실로 믿어도 좋을 것이다. 이 경전에서는 석존의 입멸 직전에 시자인 아난다가 사리의 숭배에 관하여 묻는 장면이 있다. 이에 대하여 석존은 불탑 숭배는 재가 신자가 해야할 일이지 수행자(비구)가 관여할 일이 아니라고 가르치고 있다. 이 전승의 사실성 여부는 확실치 않다. 그러나 적어도 이 전승이 만들어져서 「마하파리닙바나 숫탄타」로 집성되었을 시점에는 탑 숭배가 재가 신자의 신앙양식으로서 비구가 관여할 문제가 아니라는 사고 방식이 교단의 지도자들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불타의 입멸 후 아쇼카왕이 여덟 개의 불사리탑에서 불사리를 모아서 이것들을 다시 나누어 8만 4천개의 탑을 세웠다는 전승도 불탑 숭배가 불교도 사이에 정착되었음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나까무라 하지메, 1984: 356).
     바로가기
  • 각주 003)
    佛三昧經: 『佛說觀佛三昧海經』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佛說觀佛三昧海經』 東晉天竺三藏佛陀跋陀羅譯 六譬品第一에는 “昔我在宮乳母爲我沐頭 …… 今當量髮知其尺度. 卽敕我申髮. 母以尺量. 長一丈二尺五寸. 放已右旋還成蠡文”이라는 문장이 있다(T15n0643_p0649a21 ∼T15n0643_p0649a24, http://w3.cbeta.org/cgi-bin/goto.pl).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고조(高祖), 양무제(梁武帝), 고조
서명
승가경(僧伽經), 불삼매경(佛三昧經)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육왕사(阿育王寺)의 탑에서 사리를 꺼냄 자료번호 : jo.k_0008_0054_006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