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임읍국(林邑國)의 위치와 특성

  • 국가
    임읍국(林邑國)
임읍국(林邑國) 주 001
각주 001)
林邑: 럼업(Linyi, 훗날의 참파Champa). 참(Cham)족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나라로서 언제 세웠는지 알 수 없으나, 본문에 나오는 것처럼 2세기 말 구달이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그 주민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계로 특히 항해술이 뛰어났다고 하며, 베트남인들과는 대조적으로 인도문화를 수용하여 인도식 국가를 건설하고 인도의 종교를 신봉했다고 한다(유인선, 2002: 61). 중국 기록에서 말하는 임읍의 초기 범주는 현재 중부 베트남의 북부 대체로 북위 18도선에서 16도선에 이르는 지역 즉, Quang Binh성, Quang Tri성, Thua Thien성 지역과 일치한다. 그러나 이 지역은 3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서 남진하는 中國, 그 뒤 후계자인 大越과의 항쟁이 지속된 땅이었고, 13세기 이후에는 占城(참파)의 지배를 떠났다. 현재 베트남 중부의 대도시 다낭Dannang의 남쪽 호이안Hoi an 항에 흘러드는 뚜와봉 강의 상류 챠끼에우Tra Kieu 분지를 중심으로 북쪽의 미손Mison, 남쪽의 동종Dong Duong 3대 유적군을 포함하는 지역이 8세기까지의 林邑國, 10세기의 占城國의 거점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중국의 기록자들은 758년 이후 임읍이라는 이름의 사용을 중지하였고, 875년부터 占城(Chanch’eng)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占城은 참파의 도시로 이해되는 Champapura의 음역으로 추정된다고 한다(Nicholas Tarling, 1992: 154∼155; 石井米雄, 1999: 56∼58).
닫기
은 본디 한대(漢代)의 일남군(日南郡) 상림현(象林縣) 주 002
각주 002)
象林縣: 뜨엉 럼(유인선, 2002: 48). 전한대에 설치되었으며 日南郡에 속하였다. 治所는 오늘날의 越南 廣南(Quảng Nam)省 維川(Duy Xuyên)縣 南茶橋에 있었다. 후한대에 폐지되었다. 『後漢書』 「南蠻西南夷傳」에서는 永和 2년(137)에, 日南郡 象林縣 徼外의 蠻夷 區憐 等 數千人이 象林縣을 공격하여 城寺를 사르고, 長史를 죽였다라고 하였다. 西晉 太康 3년(282)에 다시 설치하였으며, 治所는 盧容縣(베트남 平治天Thừa Thiên-Huế省 廣田Quảng Điền縣 東香江과 蒲江의 合流處)에 기치하였다. 東晉 이후로는 그 지경이 林邑國에 편입된 까닭에 폐지되었다.
닫기
으로 옛 월상(越裳) 주 003
각주 003)
越裳: 『後漢書』 「南蠻傳」에는 월상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 “交阯의 남쪽에 越裳國이 있었다. 周公이 섭정하여 6년이 되어 예악을 제정하니 천하가 화평하였는데, 월상국이 코끼리 세 마리를 타고 여러 단계의 통역을 거쳐 흰 꿩을 바치면서 ‘길이 아득히 멀고 산천이 깊어 막혀있기 때문에 말이 통하지 않아 여러 단계 통역을 거쳐 입조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성왕은 이를 주공에게 보내자, 주공은 ‘군자는 덕을 베풀지 않았으면 그 예물을 받을 수 없고, 정치를 제대로 하지 못하였으면 그 사람을 신하로 부리지 않습니다. 제가 어떻게 이 사여품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이에 그 사신이 말하기를 ‘나는 우리나라 黃耈로부터 “오래되었구나! 하늘에 계속된 바람과 뇌우가 없어진지가! 생각컨대 중국에 성인이 있는 모양이다. 있은즉 가서 조공하거라.”라는 명을 받았습니다.’라고 하였다. 주공은 성왕에게 다시 돌려보내, [백치를] 선왕의 영혼이 이른 것이라고 하여 종묘에 공물로 바쳤다. 周의 덕이 쇠미해지자 점차 단절되었다.”(『後漢書 外國傳 譯註』 上, 2009: 71∼72). 월상의 구체적 族源 등에 관하여는 밝혀진 바가 없으며, 아마도 그 위치로 보건대 고대 베트남 지역에 존재하였던 ‘國’의 하나 정도로 이해된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越裳九譯”이 숙어화 되어 남방의 먼 蠻夷가 공헌하는 상황 즉 중국 황제의 성덕을 기리는 표현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닫기
의 지계에 해당한다.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 주 004
각주 004)
馬援(前14∼49): 字는 文淵이며, 扶風 茂陵(陝西省 興平 동북) 사람이다. 후한대 유명한 군사가이다. 戰功으로 인하여 관이 伏波將軍에 이르렀으며, 新息侯에 봉해졌다. 교지의 二徵의 난을 진압한 것과 ‘馬援銅柱’로 유명하다. 본디 그 선조 趙奢는 趙의 장수였는데, 號를 馬服君이라 한 까닭에 자손들이 그 호를 따라 氏를 삼은 것이라 한다. 援의 세 형 況, 餘, 員 모두 재능이 있어서 王莽時에 모두 二千石의 관직에 올랐다고 한다. 『後漢書』에 입전되어 있다.
닫기
이 한의 남쪽 지경을 개척하였을 때 이 현(縣)을 설치하였다. 그 땅은 종횡으로 600리(里)쯤 되고, 현성(縣城)은 바다로부터 120리 떨어져 있고, 일남군 치소의 경계로부터 400여 리 떨어져 있으며, 북으로 구덕군(九德郡) 주 005
각주 005)
九德郡: 꾸득. 孫吳 시기에 설치되었으며, 交州에 속한다. 치소는 손오 天紀 2년(278)에 설치된 九德縣(베트남 義靜Nghệ An省 榮市Vinh)에 있었다. 『水經』 「溫水注」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林邑記』에 이르기를, ‘九德은 九夷가 극성한 까닭에 郡의 이름으로 붙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西晉 시기의 관할 구역은 현재의 베트남 義靜省의 지경에 해당한다. 南朝 宋 때의 치소는 浦陽縣(현재 베트남 義靜省 榮市 동남부)였으며, 南齊 시에는 다시 九德縣으로 치소를 옮겼다. 隋 開皇 10년(590)에 군을 폐하였다.
닫기
과 접하고 있다. 그 남쪽 지경에 물길과 육로로 200여 리 가면 서국이(西國夷)가 있는데, 또한 왕(王)을 칭한다. 마원이 세워 놓은 두 개의 동주(銅柱)주 006
각주 006)
銅柱: 후한대에 마원이 쯩짝[徵側] 쯩니[徵貳] 두 자매의 반란을 진압하고, 交趾 지역을 안정화시키면서 동주를 세웠다는 전설은 유명하다. 그리고 이 전설은 세월이 지나면서 복제되는데, 이는 쇠기둥을 숭배하는 남만 지역 만이들의 습속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南宋의 周去非가 지은 『嶺外代答』에서는 ‘동주’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漢의 馬伏波(복파장군 마원)가 交趾를 평정하고, 銅柱를 세워 漢의 남쪽 끝 경계를 삼았다고 하고, 唐의 馬總이 安南都護가 되자 夷獠가 그를 위해 伏波가 세웠던 곳에 銅柱 2개를 세워 마총이 복파장군의 뒤를 이었음을 밝혔다고 하니, 銅柱는 安南에 있는 것이 맞을 것이다. 또 唐의 何履光이 南詔를 평정한 뒤에 馬援의 銅柱를 다시 세웠다고 한다. 살피건대, 南詔는 지금의 大理國이니, 銅柱는 다시 大理에 있어야 마땅하다. 또 占不勞의 땅은 남쪽에 큰 강[大浦]이 있고, 다섯 개의 銅柱가 있다 하고, (서쪽) 山의 모양이 마치 치우쳐 덮는 것 같이 서쪽으로 낭떠러지가 겹쳐 있고, 동쪽은 벼랑과 바다라고 한다. 살피건대, 점불로는 지금의 점성이다. 그렇다면 동주는 또 점성에 있어야만 한다. 듣자하니, 欽州의 지경에 古森峒이 있어 安南과 경계를 이룬다고 하고, 그곳에 馬援의 銅柱가 있다고 하며, 安南 사람들은 그 아래를 지날 때마다, 사람마다 돌 하나씩 불려서 마침내 丘陵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 說에 말하기를, 伏波가 맹서하여 이르기를, ‘銅柱가 뽑히면, 交趾가 멸망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한다. 돌을 던져 쌓은 것은 동주가 뽑힐까 두려워한 것이다. 또 이르기를, 交址 境內에 銅柱가 여러 개 있다하니, 누가 옳은지 알 수 없다.”(『嶺外代答』 卷10 「古蹟門」: 404).
닫기
한조(漢朝)의 경계를 표시한 곳이다. 그 국(國)에는 금산(金山)이 있는데, 돌이 모두 적색(赤色)이고, 그 중에서 금이 난다. 금(金)은 밤이 되면 [달빛을 받아 날것이]나와 날아다니는 듯이 보이는데, 그 모양이 마치 반딧불이의 빛 같다. 또 [서국에는] 대모(瑇瑁),주 007
각주 007)
瑇瑁: 거북목 바다거북과의 파충류(hawksbill sea turtle). Eretmochelys imbricata.
닫기
패치(貝齒),주 008
각주 008)
貝齒: 개오지과 패류의 중국식 명칭. Erosaria caputserpentis. 배 아래가 깨끗한 하얀 색이고, 물고기의 이빨 같은 모양이 새겨진 조개. 齒貝라고도 함. 晉의 法顯이 지은 『佛國記』에는, “시장에 푸줏간과 술집이 없으며, 물건의 교환은 貝齒를 사용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 개오지과 패류는 원시시대부터 화폐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닫기
길패(吉貝),주 009
각주 009)
吉貝: 梵語 혹은 말레이어의 음역. 옛날에는 면화와 목면을 함께 지칭하였다. 중국 中原 지역에서 면화가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이용된 이후 고적에 기재된 길패는 실제 대부분이 草綿(cotton plant)을 지칭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항상 면화와 목면과의 목면수를 혼용하여 지칭한다.
닫기
침목향(沉木香)주 100
각주 100)
沉香: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상록교목. (Aquilaria agallocha) 높이는 20m, 지름은 2m 이상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긴 타원 모양이고 표면에 윤기가 있으며, 길이가 5∼7cm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傘形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화피는 종 모양이고 끝이 깊게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빽빽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거꾸로 세운 편평한 바소꼴이고 길이가 5cm 정도이며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달걀 모양이고 꼬리 같은 부속체가 있다. 나무를 벌채하여 땅 속에 묻어서 樹脂가 없는 부분을 썩힌 다음 수지가 많이 들어 있는 부분만을 얻거나, 나무의 상처에서 흘러나온 수지를 수집하여 침향을 만든다. 침향은 의복이나 물건에 향기가 스며들게 하고 또 이것을 태우면 향기를 낸다. 침향은 물에 두면 가라앉기 때문에 沈水라는 명칭이 생겼으며 반만 잠기는 것을 棧香, 가라앉지 않는 것을 黃熟香이라고 부른다. 침향의 향기가 용안육(蜜脾라고도 한다)과 같아서 이에 빗대어 蜜香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인도에서는 阿迦嚧香이라고도 한다. 옛날부터 가장 귀한 향 중에 하나로 애용되었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아시아 남부에 같은 속의 식물이 몇 종이 자라고 있으나, 수지가 있는 종은 이 종과 말라켄시스(A. malaccensis)뿐이다.
닫기
이 난다. 길패는 수명(樹名)이다. 그 꽃이 활짝 폈을 때는 마치 거위의 배털 같은데, 거기에서 실마리를 뽑아 자아서 베를 만든다. 깨끗하고 하얀 것이 모시풀로 만든 베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또한 오색으로 물들이기도 하는데, 짜서 반포(斑布)를 만들기도 한다. 침목은 이 지역 사람[土人]들이 그 나무를 베어 자른 뒤 수년간 쌓아두어 썩어 문드러져 [그 나무의] 속 마디만 남게 한 것인데, [이 남은 부분을] 물에 넣으면 가라앉는 까닭에 이름을 붙여 침향(沉香)이라고 한다. 그리고 완전히 가라앉지도 뜨지도 않는 나무를 잔향(香)이라 부른다.

  • 각주 001)
    林邑: 럼업(Linyi, 훗날의 참파Champa). 참(Cham)족이 세웠다고 전해지는 나라로서 언제 세웠는지 알 수 없으나, 본문에 나오는 것처럼 2세기 말 구달이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그 주민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계로 특히 항해술이 뛰어났다고 하며, 베트남인들과는 대조적으로 인도문화를 수용하여 인도식 국가를 건설하고 인도의 종교를 신봉했다고 한다(유인선, 2002: 61). 중국 기록에서 말하는 임읍의 초기 범주는 현재 중부 베트남의 북부 대체로 북위 18도선에서 16도선에 이르는 지역 즉, Quang Binh성, Quang Tri성, Thua Thien성 지역과 일치한다. 그러나 이 지역은 3세기부터 12세기에 걸쳐서 남진하는 中國, 그 뒤 후계자인 大越과의 항쟁이 지속된 땅이었고, 13세기 이후에는 占城(참파)의 지배를 떠났다. 현재 베트남 중부의 대도시 다낭Dannang의 남쪽 호이안Hoi an 항에 흘러드는 뚜와봉 강의 상류 챠끼에우Tra Kieu 분지를 중심으로 북쪽의 미손Mison, 남쪽의 동종Dong Duong 3대 유적군을 포함하는 지역이 8세기까지의 林邑國, 10세기의 占城國의 거점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중국의 기록자들은 758년 이후 임읍이라는 이름의 사용을 중지하였고, 875년부터 占城(Chanch’eng)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占城은 참파의 도시로 이해되는 Champapura의 음역으로 추정된다고 한다(Nicholas Tarling, 1992: 154∼155; 石井米雄, 1999: 56∼58).
     바로가기
  • 각주 002)
    象林縣: 뜨엉 럼(유인선, 2002: 48). 전한대에 설치되었으며 日南郡에 속하였다. 治所는 오늘날의 越南 廣南(Quảng Nam)省 維川(Duy Xuyên)縣 南茶橋에 있었다. 후한대에 폐지되었다. 『後漢書』 「南蠻西南夷傳」에서는 永和 2년(137)에, 日南郡 象林縣 徼外의 蠻夷 區憐 等 數千人이 象林縣을 공격하여 城寺를 사르고, 長史를 죽였다라고 하였다. 西晉 太康 3년(282)에 다시 설치하였으며, 治所는 盧容縣(베트남 平治天Thừa Thiên-Huế省 廣田Quảng Điền縣 東香江과 蒲江의 合流處)에 기치하였다. 東晉 이후로는 그 지경이 林邑國에 편입된 까닭에 폐지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越裳: 『後漢書』 「南蠻傳」에는 월상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기사가 있다. “交阯의 남쪽에 越裳國이 있었다. 周公이 섭정하여 6년이 되어 예악을 제정하니 천하가 화평하였는데, 월상국이 코끼리 세 마리를 타고 여러 단계의 통역을 거쳐 흰 꿩을 바치면서 ‘길이 아득히 멀고 산천이 깊어 막혀있기 때문에 말이 통하지 않아 여러 단계 통역을 거쳐 입조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성왕은 이를 주공에게 보내자, 주공은 ‘군자는 덕을 베풀지 않았으면 그 예물을 받을 수 없고, 정치를 제대로 하지 못하였으면 그 사람을 신하로 부리지 않습니다. 제가 어떻게 이 사여품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이에 그 사신이 말하기를 ‘나는 우리나라 黃耈로부터 “오래되었구나! 하늘에 계속된 바람과 뇌우가 없어진지가! 생각컨대 중국에 성인이 있는 모양이다. 있은즉 가서 조공하거라.”라는 명을 받았습니다.’라고 하였다. 주공은 성왕에게 다시 돌려보내, [백치를] 선왕의 영혼이 이른 것이라고 하여 종묘에 공물로 바쳤다. 周의 덕이 쇠미해지자 점차 단절되었다.”(『後漢書 外國傳 譯註』 上, 2009: 71∼72). 월상의 구체적 族源 등에 관하여는 밝혀진 바가 없으며, 아마도 그 위치로 보건대 고대 베트남 지역에 존재하였던 ‘國’의 하나 정도로 이해된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越裳九譯”이 숙어화 되어 남방의 먼 蠻夷가 공헌하는 상황 즉 중국 황제의 성덕을 기리는 표현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馬援(前14∼49): 字는 文淵이며, 扶風 茂陵(陝西省 興平 동북) 사람이다. 후한대 유명한 군사가이다. 戰功으로 인하여 관이 伏波將軍에 이르렀으며, 新息侯에 봉해졌다. 교지의 二徵의 난을 진압한 것과 ‘馬援銅柱’로 유명하다. 본디 그 선조 趙奢는 趙의 장수였는데, 號를 馬服君이라 한 까닭에 자손들이 그 호를 따라 氏를 삼은 것이라 한다. 援의 세 형 況, 餘, 員 모두 재능이 있어서 王莽時에 모두 二千石의 관직에 올랐다고 한다. 『後漢書』에 입전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九德郡: 꾸득. 孫吳 시기에 설치되었으며, 交州에 속한다. 치소는 손오 天紀 2년(278)에 설치된 九德縣(베트남 義靜Nghệ An省 榮市Vinh)에 있었다. 『水經』 「溫水注」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林邑記』에 이르기를, ‘九德은 九夷가 극성한 까닭에 郡의 이름으로 붙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西晉 시기의 관할 구역은 현재의 베트남 義靜省의 지경에 해당한다. 南朝 宋 때의 치소는 浦陽縣(현재 베트남 義靜省 榮市 동남부)였으며, 南齊 시에는 다시 九德縣으로 치소를 옮겼다. 隋 開皇 10년(590)에 군을 폐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6)
    銅柱: 후한대에 마원이 쯩짝[徵側] 쯩니[徵貳] 두 자매의 반란을 진압하고, 交趾 지역을 안정화시키면서 동주를 세웠다는 전설은 유명하다. 그리고 이 전설은 세월이 지나면서 복제되는데, 이는 쇠기둥을 숭배하는 남만 지역 만이들의 습속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南宋의 周去非가 지은 『嶺外代答』에서는 ‘동주’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漢의 馬伏波(복파장군 마원)가 交趾를 평정하고, 銅柱를 세워 漢의 남쪽 끝 경계를 삼았다고 하고, 唐의 馬總이 安南都護가 되자 夷獠가 그를 위해 伏波가 세웠던 곳에 銅柱 2개를 세워 마총이 복파장군의 뒤를 이었음을 밝혔다고 하니, 銅柱는 安南에 있는 것이 맞을 것이다. 또 唐의 何履光이 南詔를 평정한 뒤에 馬援의 銅柱를 다시 세웠다고 한다. 살피건대, 南詔는 지금의 大理國이니, 銅柱는 다시 大理에 있어야 마땅하다. 또 占不勞의 땅은 남쪽에 큰 강[大浦]이 있고, 다섯 개의 銅柱가 있다 하고, (서쪽) 山의 모양이 마치 치우쳐 덮는 것 같이 서쪽으로 낭떠러지가 겹쳐 있고, 동쪽은 벼랑과 바다라고 한다. 살피건대, 점불로는 지금의 점성이다. 그렇다면 동주는 또 점성에 있어야만 한다. 듣자하니, 欽州의 지경에 古森峒이 있어 安南과 경계를 이룬다고 하고, 그곳에 馬援의 銅柱가 있다고 하며, 安南 사람들은 그 아래를 지날 때마다, 사람마다 돌 하나씩 불려서 마침내 丘陵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 說에 말하기를, 伏波가 맹서하여 이르기를, ‘銅柱가 뽑히면, 交趾가 멸망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한다. 돌을 던져 쌓은 것은 동주가 뽑힐까 두려워한 것이다. 또 이르기를, 交址 境內에 銅柱가 여러 개 있다하니, 누가 옳은지 알 수 없다.”(『嶺外代答』 卷10 「古蹟門」: 404).
     바로가기
  • 각주 007)
    瑇瑁: 거북목 바다거북과의 파충류(hawksbill sea turtle). Eretmochelys imbricata.
     바로가기
  • 각주 008)
    貝齒: 개오지과 패류의 중국식 명칭. Erosaria caputserpentis. 배 아래가 깨끗한 하얀 색이고, 물고기의 이빨 같은 모양이 새겨진 조개. 齒貝라고도 함. 晉의 法顯이 지은 『佛國記』에는, “시장에 푸줏간과 술집이 없으며, 물건의 교환은 貝齒를 사용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 개오지과 패류는 원시시대부터 화폐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吉貝: 梵語 혹은 말레이어의 음역. 옛날에는 면화와 목면을 함께 지칭하였다. 중국 中原 지역에서 면화가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이용된 이후 고적에 기재된 길패는 실제 대부분이 草綿(cotton plant)을 지칭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항상 면화와 목면과의 목면수를 혼용하여 지칭한다.
     바로가기
  • 각주 100)
    沉香: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상록교목. (Aquilaria agallocha) 높이는 20m, 지름은 2m 이상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긴 타원 모양이고 표면에 윤기가 있으며, 길이가 5∼7cm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傘形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화피는 종 모양이고 끝이 깊게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빽빽이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거꾸로 세운 편평한 바소꼴이고 길이가 5cm 정도이며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달걀 모양이고 꼬리 같은 부속체가 있다. 나무를 벌채하여 땅 속에 묻어서 樹脂가 없는 부분을 썩힌 다음 수지가 많이 들어 있는 부분만을 얻거나, 나무의 상처에서 흘러나온 수지를 수집하여 침향을 만든다. 침향은 의복이나 물건에 향기가 스며들게 하고 또 이것을 태우면 향기를 낸다. 침향은 물에 두면 가라앉기 때문에 沈水라는 명칭이 생겼으며 반만 잠기는 것을 棧香, 가라앉지 않는 것을 黃熟香이라고 부른다. 침향의 향기가 용안육(蜜脾라고도 한다)과 같아서 이에 빗대어 蜜香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인도에서는 阿迦嚧香이라고도 한다. 옛날부터 가장 귀한 향 중에 하나로 애용되었다. 인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아시아 남부에 같은 속의 식물이 몇 종이 자라고 있으나, 수지가 있는 종은 이 종과 말라켄시스(A. malaccensis)뿐이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마원(馬援), 마원
지명
임읍국(林邑國), 일남군(日南郡), 상림현(象林縣), 월상(越裳), 일남군, 구덕군(九德郡), 한조(漢朝), 금산(金山)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임읍국(林邑國)의 위치와 특성 자료번호 : jo.k_0008_0054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