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대진도(大秦道)에 대한 설명

  • 국가
    서융(西戎)
대진도(大秦道)는 바다 북쪽으로 육지와 통해 있지만, 뿐만 아니라 바다를 따라서 남쪽으로 가면 교지(交趾) 7군주 001
각주 001)
交趾七郡: 日南, 九真, 交趾, 合浦, 南海, 蒼梧, 鬱林 등의 郡을 칭한다. 현재 하노이 근처에 두어진 交趾가 이들을 총괄하였다.
닫기
의 외이(外夷)들과 연결된다. 그리고 수도(水道)로는 익주(益州) 주 002
각주 002)
益州: 전109년 한무제에 의해서 두어진 郡으로서, 治所는 滇池였다. 오늘날 雲南 晉寧 동쪽에 위치
닫기
영창(永昌)과 통해 있어, 그런 연유로 영창에서는 기이한 물자들이 나오는 것이다. 과거에는 오직 수도(水道)만 있는 것처럼 말했고 육도(陸道)가 있는 것은 몰랐다. 이제 그 대략은 이와 같지만, 그 백성과 호구 등에 대해서는 갖추어서 상세히 기록할 수 없다. 총령의 서쪽에서는 이 나라가 가장 크고, 여러 소왕들을 둔 것도 심히 많아서, 그런 까닭에 큰 규모에 속하는 것들만 기록하겠다. 택산왕(澤散王)주 003
각주 003)
澤散王: Hirth는 이곳이 티그리스강이 페르시아만으로 들어가는 곳 부근에 위치한 Charax Spasinu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닫기
대진에 복속해 있는데 그 치소는 바다 중앙에 있다. 북쪽으로는 여분(驢分) 주 004
각주 004)
驢分: 驢分에 대해서 Hirth는 메소포타미아 북부 Edessa 부근에 위치한 Nicephorium이라고 보았으나, 白鳥庫吉은 Edessa로 추정하였다.
닫기
에 이르는데 물길로 반년을 가면 되고, 바람이 빠르면 한 달이면 도달한다. 안식안곡성과 가장 가깝고, 서남쪽으로 가면 대진에 도달하는데 몇 리나 되는지는 모른다. 여분왕(驢分王)은 대진에 복속해 있는데 그 치소는 대진의 수도에서 2천리 떨어져 있다. 여분성에서 서쪽으로 가면 대진에 이르게 되는데, 바다를 건너는 비교(飛橋)주 005
각주 005)
飛橋: 셀레우코스 왕조가 유프라테스강 양쪽에 있는 Apamea와 Zeugma 두 도시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한 교량이라고 추정하였다. 따라서 飛橋가 놓여진 곳은 사실상 ‘바다’가 아니라 ‘강’이었다.
닫기
의 길이가 230리이다. 바다를 건너면 서남행이 되고, 바다를 돌아가면 직서행이 된다. 차란왕(且蘭王)주 006
각주 006)
且蘭王: Hirth는 Palmyra로 추정했고, 白鳥庫吉도 동의하였다.
닫기
대진에 복속하는데 사도국(思陶國) 주 007
각주 007)
思陶國: Hirth에 의하면 티그리스강 右岸에 있던 Sittake.
닫기
에서 정남쪽으로 강을 건너고 이어서 곧바로 서쪽으로 3천리 가면 차란에 도달한다. 길은 강 남쪽에서 나와 이어 서쪽으로 가는데, 차란에서 다시 정서쪽으로 600리 가면 사복국(汜復國) 주 008
각주 008)
汜復國: Hirth는 Orontes강가에 위치한 Emesa에 비정했으나, 白鳥庫吉은 Damascus로 보았다. 한편 Pelliot는 ‘汜復’은 ‘氾復’의 誤字이며, ‘氾復’은 Hieropolis의 토착명칭인 Bambyke의 音寫라고 주장했다.
닫기
에 도착한다. 남도는 사복에서 만나는데, 거기서 서남쪽으로 가면 현독국(賢督國) 주 009
각주 009)
賢督國: Hirth는 Damascus로 비정했으나, 白鳥庫吉은 Jerusalem으로, Pelliot는 Antioch로 보았다.
닫기
이다. 차란사복의 정남쪽에 적석(積石) 주 010
각주 010)
積石: 현재 요르단 영내의 Petra(‘石’을 의미)를 가리킨다.
닫기
이 있고, 적석의 남쪽에 곧 대해(大海) 주 011
각주 011)
大海: 紅海를 지칭한다.
닫기
가 있으며 산호와 진주가 나온다. 차란·사복·사빈(斯賓) 주 012
각주 012)
斯賓: Ctesiphon 혹은 Susa
닫기
·아만(阿蠻) 주 013
각주 013)
阿蠻: Hamadan 혹은 Ariana
닫기
의 북쪽에 산맥이 하나 있는데 동서로 뻗어있다.주 014
각주 014)
이것은 Taurus산맥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닫기
대진과 해서(海西)주 015
각주 015)
海西: 여기서 海西는 이집트를 지칭한다.
닫기
의 동쪽에는 각기 산이 하나 있는데 모두 남북으로 뻗어있다. 현독왕은 대진에 복속해 있고 그 치소에서 동북으로 600리 되는 곳에 사복이 있다. 사복왕은 대진에 복속해 있고, 그 치소에서 동북으로 340리 바다를 건너면 우라(于羅) 주 016
각주 016)
于羅: Hirth는 Nedjef湖 北岸에 위치한 Hira로 비정했다.
닫기
이다. 우라대진에 복속해 있고 그 치소는 사복의 동북쪽에 있으며 강을 건너야 한다. 우라에서 동북쪽으로 다시 강을 건너고, 사라(斯羅) 주 017
각주 017)
斯羅: Hirth는 Seleucia로 비정했다.
닫기
의 동북쪽에서 또 다시 강을 건넌다. 사라국은 안식에 복속해 있고 대진과 접해 있다. 대진의 서쪽에 해수(海水)가 있고 해수의 서쪽에 하수(河水)가 있으며, 하수의 서쪽에 남북으로 뻗어 있는 큰 산맥이 있다. 그 서쪽에 적수(赤水)가 있고, 적수의 서쪽에 백옥산(白玉山)이 있다. 백옥산에 서왕모가 있고, 서왕모의 서쪽에 긴 유사(流沙)가 있다. 유사의 서쪽에 대하국, 견사국(堅沙國), 주 018
각주 018)
堅沙國: 未詳.
닫기
속요국(屬繇國), 주 019
각주 019)
屬繇: Sogdia를 옮긴 말로 추정된다.
닫기
월지국이 있다. 이 네 나라의 서쪽에 흑수(黑水)가 있는데 전해지는 말에 의하면 그곳이 서쪽의 끝이라고 한다.

  • 각주 001)
    交趾七郡: 日南, 九真, 交趾, 合浦, 南海, 蒼梧, 鬱林 등의 郡을 칭한다. 현재 하노이 근처에 두어진 交趾가 이들을 총괄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2)
    益州: 전109년 한무제에 의해서 두어진 郡으로서, 治所는 滇池였다. 오늘날 雲南 晉寧 동쪽에 위치
     바로가기
  • 각주 003)
    澤散王: Hirth는 이곳이 티그리스강이 페르시아만으로 들어가는 곳 부근에 위치한 Charax Spasinu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驢分: 驢分에 대해서 Hirth는 메소포타미아 북부 Edessa 부근에 위치한 Nicephorium이라고 보았으나, 白鳥庫吉은 Edessa로 추정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5)
    飛橋: 셀레우코스 왕조가 유프라테스강 양쪽에 있는 Apamea와 Zeugma 두 도시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한 교량이라고 추정하였다. 따라서 飛橋가 놓여진 곳은 사실상 ‘바다’가 아니라 ‘강’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且蘭王: Hirth는 Palmyra로 추정했고, 白鳥庫吉도 동의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7)
    思陶國: Hirth에 의하면 티그리스강 右岸에 있던 Sittake.
     바로가기
  • 각주 008)
    汜復國: Hirth는 Orontes강가에 위치한 Emesa에 비정했으나, 白鳥庫吉은 Damascus로 보았다. 한편 Pelliot는 ‘汜復’은 ‘氾復’의 誤字이며, ‘氾復’은 Hieropolis의 토착명칭인 Bambyke의 音寫라고 주장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賢督國: Hirth는 Damascus로 비정했으나, 白鳥庫吉은 Jerusalem으로, Pelliot는 Antioch로 보았다.
     바로가기
  • 각주 010)
    積石: 현재 요르단 영내의 Petra(‘石’을 의미)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11)
    大海: 紅海를 지칭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2)
    斯賓: Ctesiphon 혹은 Susa
     바로가기
  • 각주 013)
    阿蠻: Hamadan 혹은 Ariana
     바로가기
  • 각주 014)
    이것은 Taurus산맥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5)
    海西: 여기서 海西는 이집트를 지칭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6)
    于羅: Hirth는 Nedjef湖 北岸에 위치한 Hira로 비정했다.
     바로가기
  • 각주 017)
    斯羅: Hirth는 Seleucia로 비정했다.
     바로가기
  • 각주 018)
    堅沙國: 未詳.
     바로가기
  • 각주 019)
    屬繇: Sogdia를 옮긴 말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색인어
지명
교지(交趾), 익주(益州), 영창(永昌), 영창, 총령, 택산, 대진, 여분(驢分), 안식, 안곡성, 대진, 여분, 대진, 대진, 여분, 대진, 차란, 대진, 사도국(思陶國), 차란, 차란, 사복국(汜復國), 사복, 현독국(賢督國), 차란, 사복, 적석(積石), 적석, 대해(大海), 차란, 사복, 사빈(斯賓), 아만(阿蠻), 대진, 현독, 대진, 사복, 사복, 대진, 우라(于羅), 우라, 대진, 사복, 우라, 사라(斯羅), 사라, 안식, 대진, 대진, 적수(赤水), 적수, 백옥산(白玉山), 백옥산, 대하국, 견사국(堅沙國), 속요국(屬繇國), 월지국, 흑수(黑水)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대진도(大秦道)에 대한 설명 자료번호 : jo.k_0004_0030_0050_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