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중도(中道)에서 서쪽으로 가는 길에 나오는 나라에 대한 소개

  • 국가
    서융(西戎)
중도(中道)에서 서쪽으로 가면 위리국(尉梨國), 주 001
각주 001)
尉梨國: 『漢書』 「西域傳」의 尉犁. 尉黎로도 표기. 19~20세기 漢書註釋家들은 이것을 Bugur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다. Wylie는 『西域同文志』를 추종하여 尉犁를 Kalgan-aman으로 보았으나, Chavannes는 이를 비판하면서 尉犁와 危須를 Bagrash 호수 혹은 Bostang 호수 부근으로 보았다. 한편 黃文弼은 쿠를라 동북쪽 그리고 四十里城 남쪽에 있는 넓은 유적지가 尉犁의 수도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嶋崎昌은 尉犁를 여전히 Kalgan-aman으로 보고 있다. Hulsewé 1979: 177 참조. 『中國歷史大辭典』(2802쪽)에는 尉犁가 新疆 焉耆縣 西南 紫泥泉 일대로 기록.
닫기
위수국(危須國), 주 002
각주 002)
危須國: 『水經注』에 의하면 敦薨河의 동쪽 지류가 동남방으로 흐르다가 두 갈래로 나뉘는데, 焉耆 쪽에서 흘러오는 것은 危須 서쪽으로 흐르다가 동남쪽으로 흘러 敦薨澤에서 끝났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이 물줄기는 율두즈河이고, 연못은 보스탕湖 혹은 바그라시湖로 비정된다(Hulsewé 1979: 177). 余太山(2005: 191)은 曲惠古城일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危須가 山國의 서쪽이니 마땅히 焉耆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닫기
산왕국(山王國) 주 003
각주 003)
山王國: Chavannes는 이것이 山國王의 誤謬로 보았다. 余太山(2005: 80)은 山國을 西域北道 상에 위치한 오아시스 도시들로 보았으나, 다수의 학자들은 墨山國의 略稱으로 보고 있다. Grenard나 Chavannes와 같은 학자들은 墨山이 쿠를라 남방 130km 지점에 있는 Kizil Sanghir라고 하였다. Hulsewé 1979: 85, 182 참조.
닫기
등이 있는데 모두 언기(焉耆)에 복속해 있고, 고묵국(姑墨國), 주 004
각주 004)
姑墨國: 악수(Aqsu, 阿克蘇)로 비정.
닫기
온숙국(溫宿國), 주 005
각주 005)
溫宿國: 악수 부근의 우쉬(Ush, Uch)로 비정.
닫기
위두국(尉頭國) 주 006
각주 006)
尉頭國: 보통 악수 북방에 있는 Ush(烏什)로 추정되지만, Chavannes는 Ush 부근의 Safyr bay로 비정하였다.
닫기
등은 모두 구자에 복속해 있으며, 정중국(楨中國), 주 007
각주 007)
楨中國: 『後漢書』 「西域傳」의 楨中城, 『冊府元龜』의 禎中. 한편 『後漢書』 「班超傳」에는 ‘損中’, 또한 이에 대한 唐代의 注에는 ‘頓中’으로도 표기되어 있다.
닫기
사차국(莎車國), 주 008
각주 008)
莎車國: 현재 莎車縣 즉 Yarkand 부근으로 추정된다.
닫기
갈석국(竭石國), 주 009
각주 009)
竭石國: 法顯의 『佛國記』에 보이는 竭叉와 동일한 지명이며, 현재 카쉬가르라는 도시명의 Kash라는 단어와 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닫기
거사국(渠沙國), 주 010
각주 010)
渠沙國: 『北史』는 渠莎國 왕의 거처가 과거의 莎車城이라고 기록. 莎車는 현재의 莎車縣 즉 Yarkand 부근으로 추정.
닫기
서야국(西夜國), 주 011
각주 011)
西夜國: 『漢書』는 西夜國의 왕이 子合王이라 불리웠다고 하였고, 『後漢書』는 西夜와 子合을 별개의 국가로 기록했지만, 양자는 사실 동일한 音價를 옮긴 것을 가능성이 있다. 子合은 南北朝시대에 朱合半, 朱俱波, 朱駒波 등으로 표기되었으며, 현재의 Kargalik에 해당된다. Chavannes는 야르칸드 남쪽의 Yul-arik로 비정하였다.
닫기
의내국(依耐國), 주 012
각주 012)
依耐國: 신강 서남부의 Tashkurgan으로 비정된다. 『新唐書』 卷221上 「西域上」에는 “朱俱波는 朱俱槃이라고도 하며, 漢代의 子合國이다. 西夜·蒲犂·依耐·得若 등 모두 四種의 지방이 있다. 于闐까지 西쪽으로 곧바로 千里, 葱嶺까지 北으로 三百里이고, 西로는 喝盤陀에 이르고, 北으로 九百里가면 疏勒에 이어지며, 南으로 三千里가면 女國이다. 병사의 숫자는 2, 000명인데, 浮屠의 法道를 숭상하고, 文字는 婆羅門과 동일하다.”는 기록이 보인다.
닫기
만리국(滿犂國), 주 013
각주 013)
滿犂國: 滿犂는 蒲犁의 誤字. Chavannes는 蒲犁와 依耐를 모두 Tashkurgan 지역에 비정했고, 『清史稿』 卷448은 蒲犁를 Sarikol(色勒庫爾)로 비정하였다.
닫기
덕약국(億若國), 주 014
각주 014)
億若國: 『後漢書』에는 德若國, 『新唐書』에는 得若으로 기록. 이 역시 Tashkurgan 부근으로 추정된다.
닫기
유령국(榆令國), 주 015
각주 015)
榆令國: 다른 史書에는 보이지 않는 지명이다.
닫기
연독국(損毒國), 주 016
각주 016)
損毒國: Irkeshtam 부근으로 추정.
닫기
휴수국(休脩國), 주 017
각주 017)
休脩國: 『後漢紀』에는 休修로 표기. 『水經注』에는 西水라는 강이 捐毒에서 시작되어 休循을 지나 남쪽으로 내려가 難兜로 흘러간다는 기록이 보인다. Chavannes는 이곳을 카쉬가르와 오쉬(Osh) 사이에 있는 Irkeshtam으로 보았다. 반면 松田壽男은 捐毒을 Irkeshtam으로 보고, 休循은 Alai 산지 안에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Hulsewé 1979: 138.
닫기
금국(琴國) 주 018
각주 018)
琴國: 다른 史書에는 보이지 않는 지명이다.
닫기
등은 모두 소륵(疏勒) 주 019
각주 019)
疏勒: 현재의 카쉬가르.
닫기
에 복속해 있다. 여기서부터 서쪽으로 대완(大宛) 주 020
각주 020)
大宛: 파미르 고원 서쪽, 오늘날 우즈베키스탄 동북쪽의 Fergana 지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닫기
·안식(安息) 주 021
각주 021)
安息: Parthia를 지칭하며, 安息이라는 단어는 파르티아의 건국자 Arsak을 옮긴 말이다.
닫기
·조지(條支) 주 022
각주 022)
條支: 여러 설이 있지만 흔히 시리아 지방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大宛, 安息, 條支 등에 대해서는 『史記』 「大宛列傳」의 주석을 참조하시오.
닫기
·오익(烏弋) 주 023
각주 023)
烏弋: 『漢書』의 烏弋山離. 이것이 Alexadria의 音寫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구체적으로 어느 도시를 지칭하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다. 자세한 내용은 『漢書』 「西域傳」 烏弋山離條를 참조.
닫기
등이 있다. 오익은 일명 배특(排特) 주 024
각주 024)
排特: 排持, 拜特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닫기
이라고도 한다. 이 네 나라는 서쪽에 차례대로 있으며 커지거나 줄어들지 않은 상태로 본디부터 있던 나라이다. 과거에는 조지대진의 서쪽에 있는 것으로 착각했는데 이제는 그것이 사실상 [대진의] 동쪽에 있음을 알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조지가] 안식보다 더 강력한 것으로 착각했지만, 지금은 그것이 [안식에게] 복속하고 있으며 안식의 서쪽 경계로 불린다는 것을 알고 있다. 과거에는 또한 약수(弱水) 주 025
각주 025)
弱水: 西王母가 사는 崑崙山에서 발원하는 강의 이름으로 알려졌고, “天下에서 가장 약한 것이 있는데 그것은 崑崙의 弱水이며, 기러기의 털(鴻毛)조차 띄우지 못할 정도이다.”라고 해서 弱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史記』 「大宛列傳」의 주석을 참조.
닫기
조지의 서쪽에 있다고 착각했지만 지금은 약수대진의 서쪽에 있음을 알고 있다. 과거에는 또한 조지에서 서쪽으로 200여일 가면 해가 지는 곳에 가깝게 된다고 착각했으나, 자금은 대진에서 서쪽으로 가야 해가 지는 곳에 가깝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 각주 001)
    尉梨國: 『漢書』 「西域傳」의 尉犁. 尉黎로도 표기. 19~20세기 漢書註釋家들은 이것을 Bugur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다. Wylie는 『西域同文志』를 추종하여 尉犁를 Kalgan-aman으로 보았으나, Chavannes는 이를 비판하면서 尉犁와 危須를 Bagrash 호수 혹은 Bostang 호수 부근으로 보았다. 한편 黃文弼은 쿠를라 동북쪽 그리고 四十里城 남쪽에 있는 넓은 유적지가 尉犁의 수도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嶋崎昌은 尉犁를 여전히 Kalgan-aman으로 보고 있다. Hulsewé 1979: 177 참조. 『中國歷史大辭典』(2802쪽)에는 尉犁가 新疆 焉耆縣 西南 紫泥泉 일대로 기록.
     바로가기
  • 각주 002)
    危須國: 『水經注』에 의하면 敦薨河의 동쪽 지류가 동남방으로 흐르다가 두 갈래로 나뉘는데, 焉耆 쪽에서 흘러오는 것은 危須 서쪽으로 흐르다가 동남쪽으로 흘러 敦薨澤에서 끝났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이 물줄기는 율두즈河이고, 연못은 보스탕湖 혹은 바그라시湖로 비정된다(Hulsewé 1979: 177). 余太山(2005: 191)은 曲惠古城일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危須가 山國의 서쪽이니 마땅히 焉耆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山王國: Chavannes는 이것이 山國王의 誤謬로 보았다. 余太山(2005: 80)은 山國을 西域北道 상에 위치한 오아시스 도시들로 보았으나, 다수의 학자들은 墨山國의 略稱으로 보고 있다. Grenard나 Chavannes와 같은 학자들은 墨山이 쿠를라 남방 130km 지점에 있는 Kizil Sanghir라고 하였다. Hulsewé 1979: 85, 182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4)
    姑墨國: 악수(Aqsu, 阿克蘇)로 비정.
     바로가기
  • 각주 005)
    溫宿國: 악수 부근의 우쉬(Ush, Uch)로 비정.
     바로가기
  • 각주 006)
    尉頭國: 보통 악수 북방에 있는 Ush(烏什)로 추정되지만, Chavannes는 Ush 부근의 Safyr bay로 비정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7)
    楨中國: 『後漢書』 「西域傳」의 楨中城, 『冊府元龜』의 禎中. 한편 『後漢書』 「班超傳」에는 ‘損中’, 또한 이에 대한 唐代의 注에는 ‘頓中’으로도 표기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莎車國: 현재 莎車縣 즉 Yarkand 부근으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9)
    竭石國: 法顯의 『佛國記』에 보이는 竭叉와 동일한 지명이며, 현재 카쉬가르라는 도시명의 Kash라는 단어와 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10)
    渠沙國: 『北史』는 渠莎國 왕의 거처가 과거의 莎車城이라고 기록. 莎車는 현재의 莎車縣 즉 Yarkand 부근으로 추정.
     바로가기
  • 각주 011)
    西夜國: 『漢書』는 西夜國의 왕이 子合王이라 불리웠다고 하였고, 『後漢書』는 西夜와 子合을 별개의 국가로 기록했지만, 양자는 사실 동일한 音價를 옮긴 것을 가능성이 있다. 子合은 南北朝시대에 朱合半, 朱俱波, 朱駒波 등으로 표기되었으며, 현재의 Kargalik에 해당된다. Chavannes는 야르칸드 남쪽의 Yul-arik로 비정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2)
    依耐國: 신강 서남부의 Tashkurgan으로 비정된다. 『新唐書』 卷221上 「西域上」에는 “朱俱波는 朱俱槃이라고도 하며, 漢代의 子合國이다. 西夜·蒲犂·依耐·得若 등 모두 四種의 지방이 있다. 于闐까지 西쪽으로 곧바로 千里, 葱嶺까지 北으로 三百里이고, 西로는 喝盤陀에 이르고, 北으로 九百里가면 疏勒에 이어지며, 南으로 三千里가면 女國이다. 병사의 숫자는 2, 000명인데, 浮屠의 法道를 숭상하고, 文字는 婆羅門과 동일하다.”는 기록이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13)
    滿犂國: 滿犂는 蒲犁의 誤字. Chavannes는 蒲犁와 依耐를 모두 Tashkurgan 지역에 비정했고, 『清史稿』 卷448은 蒲犁를 Sarikol(色勒庫爾)로 비정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4)
    億若國: 『後漢書』에는 德若國, 『新唐書』에는 得若으로 기록. 이 역시 Tashkurgan 부근으로 추정된다.
     바로가기
  • 각주 015)
    榆令國: 다른 史書에는 보이지 않는 지명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6)
    損毒國: Irkeshtam 부근으로 추정.
     바로가기
  • 각주 017)
    休脩國: 『後漢紀』에는 休修로 표기. 『水經注』에는 西水라는 강이 捐毒에서 시작되어 休循을 지나 남쪽으로 내려가 難兜로 흘러간다는 기록이 보인다. Chavannes는 이곳을 카쉬가르와 오쉬(Osh) 사이에 있는 Irkeshtam으로 보았다. 반면 松田壽男은 捐毒을 Irkeshtam으로 보고, 休循은 Alai 산지 안에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Hulsewé 1979: 138.
     바로가기
  • 각주 018)
    琴國: 다른 史書에는 보이지 않는 지명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9)
    疏勒: 현재의 카쉬가르.
     바로가기
  • 각주 020)
    大宛: 파미르 고원 서쪽, 오늘날 우즈베키스탄 동북쪽의 Fergana 지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21)
    安息: Parthia를 지칭하며, 安息이라는 단어는 파르티아의 건국자 Arsak을 옮긴 말이다.
     바로가기
  • 각주 022)
    條支: 여러 설이 있지만 흔히 시리아 지방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大宛, 安息, 條支 등에 대해서는 『史記』 「大宛列傳」의 주석을 참조하시오.
     바로가기
  • 각주 023)
    烏弋: 『漢書』의 烏弋山離. 이것이 Alexadria의 音寫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구체적으로 어느 도시를 지칭하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다. 자세한 내용은 『漢書』 「西域傳」 烏弋山離條를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24)
    排特: 排持, 拜特으로 표기되기도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25)
    弱水: 西王母가 사는 崑崙山에서 발원하는 강의 이름으로 알려졌고, “天下에서 가장 약한 것이 있는데 그것은 崑崙의 弱水이며, 기러기의 털(鴻毛)조차 띄우지 못할 정도이다.”라고 해서 弱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史記』 「大宛列傳」의 주석을 참조.
     바로가기

색인어
지명
위리국(尉梨國), 위수국(危須國), 산왕국(山王國), 언기(焉耆), 고묵국(姑墨國), 온숙국(溫宿國), 위두국(尉頭國), 구자, 정중국(楨中國), 사차국(莎車國), 갈석국(竭石國), 거사국(渠沙國), 서야국(西夜國), 의내국(依耐國), 만리국(滿犂國), 덕약국(億若國), 유령국(榆令國), 연독국(損毒國), 휴수국(休脩國), 금국(琴國), 소륵(疏勒), 대완(大宛), 안식(安息), 조지(條支), 오익(烏弋), 오익, 배특(排特), 조지, 대진, 대진, 조지, 안식, 안식, 안식, 약수(弱水), 조지, 약수, 대진, 조지, 대진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도(中道)에서 서쪽으로 가는 길에 나오는 나라에 대한 소개 자료번호 : jo.k_0004_0030_005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