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애뢰왕 유뢰(類牢)가 반란을 일으키자 숙종이 월수(越嶲), 익주(益州) 등의 이인과 한인을 모병하여 토벌함

  • 국가
    애뢰이(哀牢夷)
이전에 서부도위 광한인(廣漢人) 정순(鄭純)이 정치를 행함이 깨끗하였다. 오랑캐[夷貊]에게 교화를 행하니, 군장들이 감동하며 숭모하여 모두 진귀한 토산품을 헌상하고 그 덕을 칭송하였다. 천자가 가상히 여겨 그를 영창태수로 삼았다. 정순은 애뢰인과 약조하였는데, 읍호(邑豪)는 매년 포관두의(布貫頭衣)주 001
각주 001)
布貫頭衣: 천 가운데의 구멍에 머리를 끼어서 입는 옷으로 여밈이 없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중국에서는 어린애들이 입는 것인데, 夷狄들은 이와 같은 옷을 입는다고 묘사하였다. 이렇게 되는 것의 가장 큰 차이는 夷狄들은 冠을 쓰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생겨난 관념이었다. 『說文解字』에서는 ‘冃’란 글자로 표현되고 있다 (『說文解字』 「冃部」 “冃, 小兒及蠻夷頭衣也. 从冂, 二其飾也.” 段玉裁注: “謂此二種人之頭衣也. 小兒未冠, 夷狄未能言冠. 故不冠而冃.)
닫기
2령(領),주 002
각주 002)
領: 문맥상 수량의 단위를 표시하는 것이 분명한데, 일반적으로 자리나 깔개에 대한 수량 단위였다. ‘布貫頭衣’ 역시 펴보면 길게 늘어진 옷감의 형태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수량 단위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大漢語辭典』 참조).
닫기
소금 1곡(斛)을 내도록 하였다. 이를 상설적인 부(賦)로 하니, 이인(夷人)들의 사회가 안심하였다. 정순은 도위와 태수로 10년을 지내고 관에서 물러났다. 건초(建初) 원년(76, 章帝) 애뢰왕 유뢰(類牢)가 수령(守令)과 분쟁이 벌어져 마침내 수령을 죽이고 반란을 일으켰는데, 수당성(雟唐城)을 공격하니, 태수 왕심(王尋)엽유(楪楡)로 도망하였다. 애뢰인 3,000여 명이 박남(博南)을 공격하여 민가를 불질렀다. 숙종(肅宗)월수(越雟)익주, 영창의 이인(夷人)과 한인(漢人) 9천 명을 모병하고 징발하여 토벌하였다. 이듬해 봄 사룡현(邪龍縣) 주 003
각주 003)
邪龍: 前漢에서는 益州郡, 後漢代는 永昌郡의 屬縣.
닫기
곤명이(昆明夷), 노승(鹵承) 등이 모병에 응하여 종족 사람들을 이끌고 군병(郡兵)과 함께 박남에 있는 유뢰를 공격하여 대파하고 그를 참수하였다. (유뢰의) 머리가 낙양으로 전해지자, 노승에게 비단 1만 필을 하사하고 파로방읍후(破虜傍邑侯)로 봉하였다.

  • 각주 001)
    布貫頭衣: 천 가운데의 구멍에 머리를 끼어서 입는 옷으로 여밈이 없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중국에서는 어린애들이 입는 것인데, 夷狄들은 이와 같은 옷을 입는다고 묘사하였다. 이렇게 되는 것의 가장 큰 차이는 夷狄들은 冠을 쓰지 않는다는 전제에서 생겨난 관념이었다. 『說文解字』에서는 ‘冃’란 글자로 표현되고 있다 (『說文解字』 「冃部」 “冃, 小兒及蠻夷頭衣也. 从冂, 二其飾也.” 段玉裁注: “謂此二種人之頭衣也. 小兒未冠, 夷狄未能言冠. 故不冠而冃.)
     바로가기
  • 각주 002)
    領: 문맥상 수량의 단위를 표시하는 것이 분명한데, 일반적으로 자리나 깔개에 대한 수량 단위였다. ‘布貫頭衣’ 역시 펴보면 길게 늘어진 옷감의 형태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수량 단위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大漢語辭典』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3)
    邪龍: 前漢에서는 益州郡, 後漢代는 永昌郡의 屬縣.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정순(鄭純), 정순, 정순, 유뢰(類牢), 왕심(王尋), 숙종(肅宗), 노승(鹵承), 유뢰, 유뢰, 노승, 파로방읍후(破虜傍邑侯)
지명
광한, 수당성(雟唐城), 엽유(楪楡), 박남(博南), 월수(越雟), 익주, 영창, 사룡현(邪龍縣), 박남, 낙양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애뢰왕 유뢰(類牢)가 반란을 일으키자 숙종이 월수(越嶲), 익주(益州) 등의 이인과 한인을 모병하여 토벌함 자료번호 : jo.k_0003_0116_008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