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왜(倭)의 위치 및 풍속을 설명

  • 국가
    왜(倭)
-夫餘·挹婁·高句麗·東沃沮·濊·三韓에 관한 기록이 왜전 앞에 있으나 국사편찬위원회, 『中國正史朝鮮傳譯註』 1, 신서원, 2004(1990 초판)에 이미 역주되었으므로 생략한다. -
왜(倭) 주 001
각주 001)
倭: 唐代(618~907) 이전에 중국인이 일본인 및 그 국가를 일컬은 呼稱이다. 『漢書』 권28下, 「地理志 下」 〈燕地條〉에는 “樂浪海中有倭人, 分爲百餘國, 以歲時來獻見云.”이라 기재되어 있고, 이 기사에 顔師古는 “『魏略』云倭在帶方東南大海中, 依山島爲國, 度海千里, 復有國, 皆倭種.”이라 注記하였다. 『三國志』에서는 “倭人在帶方東南大海之中, 依山島爲國邑. 舊百餘國, 漢時有朝見者, 今使譯所通三十國.”라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에 입각하여 『後漢書』는 “倭在韓東南大海中, 依山㠀爲居, 凡百餘國. 自武帝滅朝鮮, 使驛通於漢者三十許國.”라고 한 것이다. 『後漢書』「倭傳」의 내용은 대체로 『三國志』의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하고, 후한시대의 외교관계 기사를 더한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石原道博, 1975: 12). 한편, “나라에 여자가 많다.”거나, “會稽의 바다 바깥에 東鯷人이 있다.”고 한 것 등은 『後漢書』에만 보이는 내용이다.
닫기
한(韓) 주 002
각주 002)
韓: 고대에 韓半島 南部에 있던 三韓을 가리키는데, 여기에서는 주로 馬韓(지금의 京畿道, 忠淸道 그리고 全羅道 지역)을 가리킨다.
닫기
의 동남쪽 큰 바다 가운데 있고, [이들은] 산이 많은 섬에 의지하여 살아가고 있는데, 무릇 100여 나라[國]이다. 무제(武帝) 주 003
각주 003)
武帝: 前漢의 제7대 皇帝(재위 전147~전81).
닫기
조선(朝鮮)을 멸망시킨주 004
각주 004)
기원전 108년, 즉 衛滿朝鮮의 右渠王 治世(?~전108)로서 前漢 武帝 元封 3년의 일이다. 그 결과 전한은 이해에 예전 朝鮮의 版圖 안에 樂浪郡, 眞番郡, 臨屯郡을 설치하고, 이듬해(전107)에는 濊의 땅에 玄菟郡을 설치함으로써 이른바 ‘漢四郡’이 完置된다.
닫기
후에 사역(使驛)주 005
각주 005)
使驛: ‘使者와 通譯’ 혹은 ‘通譯’을 가리킨다. ‘驛’은 ‘譯’의 誤字이다(石原道博, 2005: 55).
닫기
을 이용하여 한(漢)과 통한 것이 30여 개 나라[國]이다.주 006
각주 006)
이 總序의 記事가 『三國志』(권30 「東夷傳」 〈倭傳〉: 854)에 의거한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帶方[郡]”을 “韓”으로 고쳤으며, 또한 『漢書』 「地理志」를 參照하여 三國時代의 기록을 後漢時代의 상황처럼 “使驛을 이용하여 漢과 通한 것……”으로 쓴 것은 范曄의 造作 결과라고 보기도 한다(石原道博, 2005: 55).
닫기
[이] 나라들의 [수장(首長)]은 모두 왕(王)을 칭하였는데, 대대로 왕통(王統)이 이어졌다. 그 대왜왕(大倭王)주 007
각주 007)
30여 개 나라[國]들의 首長[王]들 중의 大首長을 ‘大倭王’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닫기
야마대국(邪馬臺國) 주 008
각주 008)
邪馬臺國: 3세기 전반 일본열도에 있었던 伊都國 등의 여러 소국들을 통솔하였던 나라. 여왕 卑彌呼가 주재하였던 나라이며 大和政權의 前身으로 보고 있다. 『三國志』에는 ‘邪馬壹國’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邪馬壹은 邪馬臺의 誤字란 것이 定說이었으나, 근래에 邪馬壹(야마이)라고 보는 說도 있다. 邪馬臺國이 九州(규슈)에 있었다고 보는 입장과 大和(야마토)에 있었다는 설로 나누어지는데, 九州說에서도 日向이나 大隅의 一角에 해당된다는 견해와 薩摩나 豊前이라고 하는 견해가 있으며, 大和說에서도 瀨戶內海 航行說과 東海(日本海) 航行說이 있다(石原道博, 2005: 55). 한편 『三國志』에는 “南至邪馬壹國, 女王之所都, 水行十日, 陸行一月, 官有伊支馬, 次曰彌馬升, 次曰彌馬獲支, 次曰奴佳鞮, 可七萬餘戶. ([投馬國에서] 남쪽으로 가면 邪馬壹國에 이르는데, 女王이 都邑한 곳으로 바닷길로 20일 동안 가고 [다시] 육상으로 1개월 동안 간다. [그 大]官으로 伊支馬가 있고, 그 다음은 彌馬升이라 부르며, 그 다음은 彌馬獲支라 부르고, 그 다음은 奴佳鞮라 부른다. 7만여 호 정도가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처럼 『三國志』에서는 거리와 경로, 관직명, 호수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였으나, 『後漢書』에서는 大倭王이 있는 곳이며, 낙랑군과 구야한국으로부터 거리가 얼마라는 내용만 실려 있다. 女王이라고 하지 않고 大倭王이라고 한 것은 『後漢書』의 성립시기가 『三國志』보다 늦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새로운 정보에 의거했다기보다는 卑彌呼가 재위한 시기를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고친 것으로 보인다.
닫기
에 있다. 낙랑군(樂浪郡) 주 009
각주 009)
樂浪郡: 漢四郡의 하나로서 보통 지금 北韓의 平壤을 중심으로 한 平安南·北道와 黃海道에 걸쳐 있었다고 한다. 그 후에 대체로 黃海道 지역에 帶方郡이 설치되었다. 樂浪郡은 기원전 108년에 설치된 후 약 400여 년 동안 韓半島 北西部 지역을 통치하다가 313년에 高句麗 美川王에 의해 축출되어 사라졌다.
닫기
의 변경에서 그 나라는 만 2천 리주 100
각주 100)
里: 『春秋穀梁傳』을 위시한 고대 문헌에는 300步라고 하지만, 후대에는 360步를 1里로 적은 기록이 많다. 기본 단위인 尺의 길이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기는 하지만 개략적으로는 前漢의 1尺이 23cm, 後漢의 1尺이 23.5cm, 魏의 1尺이 24.2cm, 晉의 1尺이 24.5cm라고 한다(山尾幸久, 1972: 62~68). 5尺 1步, 360步 1里로 하면 後漢의 1里는 423m 정도인 셈이다. 그러나 『後漢書』 「倭傳」의 기록은 『三國志』의 기록을 거의 그대로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魏의 1里인 435m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닫기
떨어져 있고,주 011
각주 011)
『三國志』에는 이 부분이 “自郡至女王國萬二千餘里”로 되어 있다.
닫기
그 나라의 서북방주 012
각주 012)
『三國志』에서는 “其北岸”이라고 하였다. ‘北岸’은 왜 영역 내의 ‘북쪽 기슭’이 아니고 왜 영역의 ‘북쪽 대안’이라는 뜻으로 쓰인 것이지만(森浩一, 1985: 108), “西北界”라고 한 것은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없다. 北岸은 對岸이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西北界라고 하면 구야한국이 倭의 영역 속에 포함된다고 볼 수도 있다. 방향이 북쪽에서 서북쪽으로 바뀐 점도 지리적인 정보가 증가한 결과일 수 있다.
닫기
에 있는 구야한국(拘邪韓國) 주 013
각주 013)
『三國志』에는 “拘”가 “狗”로 되어 있다. 狗(拘)邪韓國은 弁辰(韓) 12國의 하나인 加羅(지금의 慶尙道 남부의 金海)를 가리킨다(石原道博, 2005: 55).
닫기
에서는 7천여 리 떨어져 있다. 그 땅은 대략 회계[군](會稽) 주 014
각주 014)
會稽: 會稽郡은 지금의 浙江省과 江蘇省에 걸쳐 있었다. 이것은 秦代에 처음 설치되었고, 치소는 吳縣(지금의 江蘇省 蘇州市)이었다. 後漢 順帝 永建 4年(129)에 치소를 山陰縣, 즉 지금의 浙江省 紹興市로 옮겼다. 雒陽에서 동으로 3,800리 떨어져 있으며, 14개의 城과 123,090호, 인구 481,196명이었다고 한다(『後漢書』 志22 「郡國4」: 3489). 후한 말기에 王郞이 회계 태수로 임명되었으나, 세력을 키운 孫策이 그를 몰아내고 대신 회계 태수를 자처하였다.
닫기
동야[현](東冶縣) 주 015
각주 015)
東冶: 會稽郡의 屬縣으로 秦代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治所를 冶縣으로 보고 지금의 福建省 福州市라고 하는 주장과 福建省 閩侯縣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전한 초기에는 東冶라고 하였으나, 武帝 때 會稽 東部都尉의 치소를 두었으며, 후에 치소가 回浦로 옮겨지면서, 東冶縣에는 都尉의 속관인 候官의 치소가 있었다. 후한에 들어서 이곳을 東部候官이라고 하였으나, 후한 때부터 삼국시대의 사람들도 이곳을 과거의 이름인 동야라고 불렀다(森浩一, 1985: 118~119).
닫기
의 동쪽에 있고,주 016
각주 016)
『三國志』에는 “計其道里, 當在會稽·東冶之東”으로 되어 있다.
닫기
주애[군](朱崖郡) 주 017
각주 017)
朱崖: 朱崖郡으로서, 지금의 海南省 海口市 일원에 해당한다.
닫기
담이[군](儋耳郡) 주 018
각주 018)
儋耳: 儋耳郡으로서, 지금의 海南省 儋州市 일원에 해당한다.
닫기
과 서로 가깝다. 따라서 그들의 법속(法俗)은 같은 것이 많다.

  • 각주 001)
    倭: 唐代(618~907) 이전에 중국인이 일본인 및 그 국가를 일컬은 呼稱이다. 『漢書』 권28下, 「地理志 下」 〈燕地條〉에는 “樂浪海中有倭人, 分爲百餘國, 以歲時來獻見云.”이라 기재되어 있고, 이 기사에 顔師古는 “『魏略』云倭在帶方東南大海中, 依山島爲國, 度海千里, 復有國, 皆倭種.”이라 注記하였다. 『三國志』에서는 “倭人在帶方東南大海之中, 依山島爲國邑. 舊百餘國, 漢時有朝見者, 今使譯所通三十國.”라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에 입각하여 『後漢書』는 “倭在韓東南大海中, 依山㠀爲居, 凡百餘國. 自武帝滅朝鮮, 使驛通於漢者三十許國.”라고 한 것이다. 『後漢書』「倭傳」의 내용은 대체로 『三國志』의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하고, 후한시대의 외교관계 기사를 더한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石原道博, 1975: 12). 한편, “나라에 여자가 많다.”거나, “會稽의 바다 바깥에 東鯷人이 있다.”고 한 것 등은 『後漢書』에만 보이는 내용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韓: 고대에 韓半島 南部에 있던 三韓을 가리키는데, 여기에서는 주로 馬韓(지금의 京畿道, 忠淸道 그리고 全羅道 지역)을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3)
    武帝: 前漢의 제7대 皇帝(재위 전147~전81).
     바로가기
  • 각주 004)
    기원전 108년, 즉 衛滿朝鮮의 右渠王 治世(?~전108)로서 前漢 武帝 元封 3년의 일이다. 그 결과 전한은 이해에 예전 朝鮮의 版圖 안에 樂浪郡, 眞番郡, 臨屯郡을 설치하고, 이듬해(전107)에는 濊의 땅에 玄菟郡을 설치함으로써 이른바 ‘漢四郡’이 完置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5)
    使驛: ‘使者와 通譯’ 혹은 ‘通譯’을 가리킨다. ‘驛’은 ‘譯’의 誤字이다(石原道博, 2005: 55).
     바로가기
  • 각주 006)
    이 總序의 記事가 『三國志』(권30 「東夷傳」 〈倭傳〉: 854)에 의거한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帶方[郡]”을 “韓”으로 고쳤으며, 또한 『漢書』 「地理志」를 參照하여 三國時代의 기록을 後漢時代의 상황처럼 “使驛을 이용하여 漢과 通한 것……”으로 쓴 것은 范曄의 造作 결과라고 보기도 한다(石原道博, 2005: 55).
     바로가기
  • 각주 007)
    30여 개 나라[國]들의 首長[王]들 중의 大首長을 ‘大倭王’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8)
    邪馬臺國: 3세기 전반 일본열도에 있었던 伊都國 등의 여러 소국들을 통솔하였던 나라. 여왕 卑彌呼가 주재하였던 나라이며 大和政權의 前身으로 보고 있다. 『三國志』에는 ‘邪馬壹國’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邪馬壹은 邪馬臺의 誤字란 것이 定說이었으나, 근래에 邪馬壹(야마이)라고 보는 說도 있다. 邪馬臺國이 九州(규슈)에 있었다고 보는 입장과 大和(야마토)에 있었다는 설로 나누어지는데, 九州說에서도 日向이나 大隅의 一角에 해당된다는 견해와 薩摩나 豊前이라고 하는 견해가 있으며, 大和說에서도 瀨戶內海 航行說과 東海(日本海) 航行說이 있다(石原道博, 2005: 55). 한편 『三國志』에는 “南至邪馬壹國, 女王之所都, 水行十日, 陸行一月, 官有伊支馬, 次曰彌馬升, 次曰彌馬獲支, 次曰奴佳鞮, 可七萬餘戶. ([投馬國에서] 남쪽으로 가면 邪馬壹國에 이르는데, 女王이 都邑한 곳으로 바닷길로 20일 동안 가고 [다시] 육상으로 1개월 동안 간다. [그 大]官으로 伊支馬가 있고, 그 다음은 彌馬升이라 부르며, 그 다음은 彌馬獲支라 부르고, 그 다음은 奴佳鞮라 부른다. 7만여 호 정도가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처럼 『三國志』에서는 거리와 경로, 관직명, 호수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였으나, 『後漢書』에서는 大倭王이 있는 곳이며, 낙랑군과 구야한국으로부터 거리가 얼마라는 내용만 실려 있다. 女王이라고 하지 않고 大倭王이라고 한 것은 『後漢書』의 성립시기가 『三國志』보다 늦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새로운 정보에 의거했다기보다는 卑彌呼가 재위한 시기를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고친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9)
    樂浪郡: 漢四郡의 하나로서 보통 지금 北韓의 平壤을 중심으로 한 平安南·北道와 黃海道에 걸쳐 있었다고 한다. 그 후에 대체로 黃海道 지역에 帶方郡이 설치되었다. 樂浪郡은 기원전 108년에 설치된 후 약 400여 년 동안 韓半島 北西部 지역을 통치하다가 313년에 高句麗 美川王에 의해 축출되어 사라졌다.
     바로가기
  • 각주 100)
    里: 『春秋穀梁傳』을 위시한 고대 문헌에는 300步라고 하지만, 후대에는 360步를 1里로 적은 기록이 많다. 기본 단위인 尺의 길이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기는 하지만 개략적으로는 前漢의 1尺이 23cm, 後漢의 1尺이 23.5cm, 魏의 1尺이 24.2cm, 晉의 1尺이 24.5cm라고 한다(山尾幸久, 1972: 62~68). 5尺 1步, 360步 1里로 하면 後漢의 1里는 423m 정도인 셈이다. 그러나 『後漢書』 「倭傳」의 기록은 『三國志』의 기록을 거의 그대로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魏의 1里인 435m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三國志』에는 이 부분이 “自郡至女王國萬二千餘里”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三國志』에서는 “其北岸”이라고 하였다. ‘北岸’은 왜 영역 내의 ‘북쪽 기슭’이 아니고 왜 영역의 ‘북쪽 대안’이라는 뜻으로 쓰인 것이지만(森浩一, 1985: 108), “西北界”라고 한 것은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없다. 北岸은 對岸이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西北界라고 하면 구야한국이 倭의 영역 속에 포함된다고 볼 수도 있다. 방향이 북쪽에서 서북쪽으로 바뀐 점도 지리적인 정보가 증가한 결과일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3)
    『三國志』에는 “拘”가 “狗”로 되어 있다. 狗(拘)邪韓國은 弁辰(韓) 12國의 하나인 加羅(지금의 慶尙道 남부의 金海)를 가리킨다(石原道博, 2005: 55).
     바로가기
  • 각주 014)
    會稽: 會稽郡은 지금의 浙江省과 江蘇省에 걸쳐 있었다. 이것은 秦代에 처음 설치되었고, 치소는 吳縣(지금의 江蘇省 蘇州市)이었다. 後漢 順帝 永建 4年(129)에 치소를 山陰縣, 즉 지금의 浙江省 紹興市로 옮겼다. 雒陽에서 동으로 3,800리 떨어져 있으며, 14개의 城과 123,090호, 인구 481,196명이었다고 한다(『後漢書』 志22 「郡國4」: 3489). 후한 말기에 王郞이 회계 태수로 임명되었으나, 세력을 키운 孫策이 그를 몰아내고 대신 회계 태수를 자처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5)
    東冶: 會稽郡의 屬縣으로 秦代에 처음 설치되었다. 그 治所를 冶縣으로 보고 지금의 福建省 福州市라고 하는 주장과 福建省 閩侯縣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전한 초기에는 東冶라고 하였으나, 武帝 때 會稽 東部都尉의 치소를 두었으며, 후에 치소가 回浦로 옮겨지면서, 東冶縣에는 都尉의 속관인 候官의 치소가 있었다. 후한에 들어서 이곳을 東部候官이라고 하였으나, 후한 때부터 삼국시대의 사람들도 이곳을 과거의 이름인 동야라고 불렀다(森浩一, 1985: 118~119).
     바로가기
  • 각주 016)
    『三國志』에는 “計其道里, 當在會稽·東冶之東”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7)
    朱崖: 朱崖郡으로서, 지금의 海南省 海口市 일원에 해당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8)
    儋耳: 儋耳郡으로서, 지금의 海南省 儋州市 일원에 해당한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무제(武帝)
지명
왜(倭), 한(韓), 조선(朝鮮), 한(漢), 야마대국(邪馬臺國), 낙랑군(樂浪郡), 구야한국(拘邪韓國), 회계[군](會稽), 동야[현](東冶縣), 주애[군](朱崖郡), 담이[군](儋耳郡)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왜(倭)의 위치 및 풍속을 설명 자료번호 : jo.k_0003_0115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