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오양(吳陽), 오(敖), 요왕(繇王) 거고(居股)가 여선을 죽이고 횡해장군 한열(韓說)에게 항복하였으며 전투성과에 따라 책봉을 받음

  • 국가
    민월(閩粤)
이전 월연후(粵衍侯) 주 001
각주 001)
粤衍侯 : 東越에서 봉한 衍侯이겠지만 편의상 粤衍侯라 번역하였다.
닫기
오양(吳陽)은 전에 한나라에 머문 적이 있었기 때문에 조정에서는 그를 보내 여선을 회유하였으나 여선은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다가 횡해장군이 당도하자 월연후 오양은 자신의 읍인(邑人) 700여 명과 함께 여선에게 반기를 들고 한양(漢陽) 주 002
각주 002)
漢陽 : 秦이 천하를 통일한 뒤 貴州 일대에 黔中郡을 설치하였고 아울러 西南지구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는데, 淸代 考證學者에 따르면 이때 설치된 縣은 刹成(현재의 黎平), 毋劍(현재의 獨山), 且蘭(현재의 福泉), 夜郎(현재 石阡), 漢陽(현재 赫章) 등이었다고 한다.
닫기
에서 월나라 군대를 공격하였다. 이전 건성후(建成侯) 오(敖) 주 003
각주 003)
建成侯 敖 : 『集解』에 인용된 徐廣에 따르면, 建成侯 敖 역시 東越의 신하이다.
닫기
와 요왕(繇王) 거고(居股)가 모의하여 함께 여선을 죽이고, 그 무리를 이끌고 횡해군(橫海軍)주 004
각주 004)
橫海軍 : 『史記』에는 橫海將軍으로 되어 있다.
닫기
에 항복하였다. 거고(居股)동성후(東成侯) 주 005
각주 005)
東成侯 : 『索隱』에 인용된 韋昭에 따르면, 東成은 九江에 있다고 했는데, 東城이라고도 하며, 縣名으로 그 治所는 현재의 安徽省 定遠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닫기
로 식읍 만호에 봉해졌으며, 오(敖)개릉후(開陵侯) 주 006
각주 006)
開陵侯 : 『索隱』에 인용된 韋昭에 따르면, 開陵은 臨淮郡 소속이다. 현재의 江蘇省 長江 이북 또는 이웃한 安徽省 경내로 추정된다. 新 王莽 때 폐국되었다. 開陵侯에 대해 顔師古는 “功臣年表에 開陵侯 建成이라 하였고, 이전 東粤 建成侯가 餘善侯를 참하여 二千戶의 식읍을 받다고 하였는데, 이 열전에는 이름이 敖로 되어 있다. 아마도 표가 잘못된 것 같다(功臣表云開陵侯建成以故東粵建成侯斬餘善侯, 二千戶. 而此傳云名敖, 疑表誤)”고 하였다.
닫기
에, 오양(吳陽)묘석후(卯石侯) 주 007
각주 007)
卯石侯 : 顔師古는 “功臣年表에는 外石으로 되어 있는데, 이 사람이 아니다. 아마도 表가 잘못된 것 같다(功臣表作外石, 與此不同, 疑表誤)”고 하였다. 『史記』에는 北石으로 되어 있다.
닫기
에, 횡해장군(橫海將軍) 한열(韓說)안도후(按道侯)에, 횡해교위(橫海校尉) 유복(劉福)요영후(繚嫈侯) 주 008
각주 008)
繚嫈侯 : 『索隱』에 인용된 服虔에 따르면, 嫈의 음은 영(榮)이고 縣의 이름이다.
닫기
에 봉해졌다. 은 성양왕(城陽王)주 009
각주 009)
城陽王 : 『史記』에는 成陽共王으로 되어 있다. 제2대 城陽王 劉喜이다. 文帝 4년(전176) 城陽王에 즉위, 재위 33년, 中元 6년(전144)에 사망, 시호는 共王. 사서에는 城陽共王이라 칭한다.
닫기
의 아들인데, 이전에 해상후(海常侯) 주 010
각주 010)
海常侯 : 海常은 일설에 東萊郡(治所는 현재의 山東省 掖縣)이라고도 하고 琅琊郡(治所는 현재의 山東省 諸城縣)이라고도 한다(『漢書』 「王者侯年表」).
닫기
였다가 위법하여 후작을 잃었었다. 종군하여 공을 세우지 못했으나 종실인 까닭에 후가 되었다. 그리고 동월의 장수인 다군(多軍) 주 011
각주 011)
多軍 : 『集解』에 인용된 『漢書音義』에 따르면, 多軍은 이름이라 하였는데, 『索隱』에 인용된 李奇 역시 이름이라 하였다. 다만 韋昭는 多는 성이고, 軍이 이름이라고 하였다.
닫기
한나라 군대가 도착하자 자신의 군대를 버리고 항복해서 무석후(無錫侯) 주 012
각주 012)
無錫侯 : 無錫은 현재의 江蘇省 無錫市이다.
닫기
에 봉해졌다. 이전 구락(甌駱)의 장수 좌황동(左黃同) 주 013
각주 013)
左黃同 : 『漢書』 「功臣表」에는 “左將黃同”으로 되어 있고 『史記』 「建元以來侯者年表」에는 “左將軍黃同”으로 되어 있어, ‘左將’의 잘못으로 보인다(『漢書新注』 注).
닫기
은 서우왕(西于王)주 014
각주 014)
西于王 :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 西越王이다. 箋文에는 于가 亏 혹은 雩로 표기되는데, 『漢書』는 古字를 대부분 사용하여 모두 雩로 표기, 隷書와 楷書로는 粤로 표기하였다. 3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交阯外域記』에 安陽王이 甌駱지역을 정복한 뒤 交阯의 西于縣에 도읍을 세웠는데, 이 西于縣은 西于王의 옛 왕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西于王은 安陽王에게 쫓겨나 북쪽 桂林의 甌駱지역으로 옮겨 살다가 武帝의 남월 정복 때 甌駱의 장수 左黃同에게 살해되었다(徐仲舒, 「交阯外域記蜀王子安陽王史適箋證」, 『四川大學學報』 叢刊第5輯, 2004-5). 둘째, 西甌王이다. 조타는 남월국을 세운 뒤 진대 설치된 상군에 교지와 구진군을 설치하고, 또 교지를 나눠 ‘西于王’에 분봉, 西于는 곧 西甌라고 한다(黃淼章, 『南越國』, 廣東人民出版社, 2004).
닫기
을 참하여 하부후(下鄜侯) 주 015
각주 015)
下鄜侯 : 顔師古는 “鄜의 음은 부(郛)”라고 하였다. 이 下鄜의 鄜가 上古에는 甌駱의 甌와 함께 모두 ‘侯’로 발음되고, 粳語 중에 ‘KAO(谷)’와 동음이라고 하여 같은 의미로 보는 설이 있다(林河, 「一個被中國歷史遺忘了的偉大民族 : 論中國“粳民”(荊蠻)在中華民族史上的重要地位」, 『長江文化論叢』 第1輯, 2007-5). 만약 이 설이 타당성이 있다면, 의미는 ‘甌를 정복시킨 侯’가 되어 문맥상 어긋나지 않는다.
닫기
에 봉해졌다.주 016
각주 016)
이 구절은 『史記』에는 보이지 않는다.
닫기


  • 각주 001)
    粤衍侯 : 東越에서 봉한 衍侯이겠지만 편의상 粤衍侯라 번역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漢陽 : 秦이 천하를 통일한 뒤 貴州 일대에 黔中郡을 설치하였고 아울러 西南지구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는데, 淸代 考證學者에 따르면 이때 설치된 縣은 刹成(현재의 黎平), 毋劍(현재의 獨山), 且蘭(현재의 福泉), 夜郎(현재 石阡), 漢陽(현재 赫章) 등이었다고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建成侯 敖 : 『集解』에 인용된 徐廣에 따르면, 建成侯 敖 역시 東越의 신하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橫海軍 : 『史記』에는 橫海將軍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東成侯 : 『索隱』에 인용된 韋昭에 따르면, 東成은 九江에 있다고 했는데, 東城이라고도 하며, 縣名으로 그 治所는 현재의 安徽省 定遠 동남쪽에 위치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開陵侯 : 『索隱』에 인용된 韋昭에 따르면, 開陵은 臨淮郡 소속이다. 현재의 江蘇省 長江 이북 또는 이웃한 安徽省 경내로 추정된다. 新 王莽 때 폐국되었다. 開陵侯에 대해 顔師古는 “功臣年表에 開陵侯 建成이라 하였고, 이전 東粤 建成侯가 餘善侯를 참하여 二千戶의 식읍을 받다고 하였는데, 이 열전에는 이름이 敖로 되어 있다. 아마도 표가 잘못된 것 같다(功臣表云開陵侯建成以故東粵建成侯斬餘善侯, 二千戶. 而此傳云名敖, 疑表誤)”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7)
    卯石侯 : 顔師古는 “功臣年表에는 外石으로 되어 있는데, 이 사람이 아니다. 아마도 表가 잘못된 것 같다(功臣表作外石, 與此不同, 疑表誤)”고 하였다. 『史記』에는 北石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繚嫈侯 : 『索隱』에 인용된 服虔에 따르면, 嫈의 음은 영(榮)이고 縣의 이름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9)
    城陽王 : 『史記』에는 成陽共王으로 되어 있다. 제2대 城陽王 劉喜이다. 文帝 4년(전176) 城陽王에 즉위, 재위 33년, 中元 6년(전144)에 사망, 시호는 共王. 사서에는 城陽共王이라 칭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0)
    海常侯 : 海常은 일설에 東萊郡(治所는 현재의 山東省 掖縣)이라고도 하고 琅琊郡(治所는 현재의 山東省 諸城縣)이라고도 한다(『漢書』 「王者侯年表」).
     바로가기
  • 각주 011)
    多軍 : 『集解』에 인용된 『漢書音義』에 따르면, 多軍은 이름이라 하였는데, 『索隱』에 인용된 李奇 역시 이름이라 하였다. 다만 韋昭는 多는 성이고, 軍이 이름이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2)
    無錫侯 : 無錫은 현재의 江蘇省 無錫市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3)
    左黃同 : 『漢書』 「功臣表」에는 “左將黃同”으로 되어 있고 『史記』 「建元以來侯者年表」에는 “左將軍黃同”으로 되어 있어, ‘左將’의 잘못으로 보인다(『漢書新注』 注).
     바로가기
  • 각주 014)
    西于王 :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 西越王이다. 箋文에는 于가 亏 혹은 雩로 표기되는데, 『漢書』는 古字를 대부분 사용하여 모두 雩로 표기, 隷書와 楷書로는 粤로 표기하였다. 3세기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交阯外域記』에 安陽王이 甌駱지역을 정복한 뒤 交阯의 西于縣에 도읍을 세웠는데, 이 西于縣은 西于王의 옛 왕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西于王은 安陽王에게 쫓겨나 북쪽 桂林의 甌駱지역으로 옮겨 살다가 武帝의 남월 정복 때 甌駱의 장수 左黃同에게 살해되었다(徐仲舒, 「交阯外域記蜀王子安陽王史適箋證」, 『四川大學學報』 叢刊第5輯, 2004-5). 둘째, 西甌王이다. 조타는 남월국을 세운 뒤 진대 설치된 상군에 교지와 구진군을 설치하고, 또 교지를 나눠 ‘西于王’에 분봉, 西于는 곧 西甌라고 한다(黃淼章, 『南越國』, 廣東人民出版社, 2004).
     바로가기
  • 각주 015)
    下鄜侯 : 顔師古는 “鄜의 음은 부(郛)”라고 하였다. 이 下鄜의 鄜가 上古에는 甌駱의 甌와 함께 모두 ‘侯’로 발음되고, 粳語 중에 ‘KAO(谷)’와 동음이라고 하여 같은 의미로 보는 설이 있다(林河, 「一個被中國歷史遺忘了的偉大民族 : 論中國“粳民”(荊蠻)在中華民族史上的重要地位」, 『長江文化論叢』 第1輯, 2007-5). 만약 이 설이 타당성이 있다면, 의미는 ‘甌를 정복시킨 侯’가 되어 문맥상 어긋나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16)
    이 구절은 『史記』에는 보이지 않는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월연후(粵衍侯), 오양(吳陽), 여선, 여선, 월연후, 오양, 여선, 건성후(建成侯), 오(敖), 거고(居股), 여선, 거고(居股), 동성후(東成侯), 오(敖), 개릉후(開陵侯), 오양(吳陽), 묘석후(卯石侯), 한열(韓說), 안도후(按道侯), 유복(劉福), 요영후(繚嫈侯), , 해상후(海常侯), 다군(多軍), 무석후(無錫侯), 좌황동(左黃同), 하부후(下鄜侯)
지명
한나라, , 한양(漢陽), 월나라, ,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오양(吳陽), 오(敖), 요왕(繇王) 거고(居股)가 여선을 죽이고 횡해장군 한열(韓說)에게 항복하였으며 전투성과에 따라 책봉을 받음 자료번호 : jo.k_0002_0095_003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