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민월이 남월을 공격한 뒤 한나라가 군대를 일으켰으나 민월왕 영(郢)의 동생인 여선(餘善)이 영을 죽이자 군대를 해산함

  • 국가
    민월(閩粤)
[건원] 6년(전135)에 민월(閩粵)이 남월(南粵)을 공격하였다. 남월은 천자와의 약조를 지키기 위해 마음대로 군사를 일으켜 공격하지 않고 이 사실을 [에] 알렸다. 천자는 대행(大行)주 001
각주 001)
大行 : 『漢書』 「百官公卿表」에 의하면, “전객이며 진관이다. 귀의해 오는 만이를 담당한다. 승이 있다. 경제 중원 6년에 대행령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무제 태초 원년에 다시 대홍려로 바꾸었다(典客, 秦官, 掌諸歸義蠻夷, 有丞. 景帝中六年更名大行令, 武帝太初元年更名大鴻臚).” 秩은 中二千石이며 丞의 秩은 千石이다. 제후왕과 열후 그리고 귀의한 이민족의 책봉, 조빙, 연회에서의 의례를 담당하였다. 또한 지방에서 올라오는 上計吏들의 접대도 담당하였다. 속관에는 行人令, 丞, 譯官令, 丞, 別火(獄官)令, 丞과 郡邸長丞이 있다.
닫기
왕회(王恢) 주 002
각주 002)
王恢 : 燕나라 사람이며 武帝시기 흉노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흉노가 화친을 청하자 韓安國과는 반대로 정벌을 주장하여 武帝시기 흉노 원정의 시발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제안한 馬邑 매복전이 실패로 끝난 뒤 그 追罪로 자살하고 말았다. 그와 韓安國과의 흉노 전쟁에 관한 논의는 『史記』 「韓長孺傳」에 상세히 실려 있다.
닫기
예장(豫章) 주 003
각주 003)
預章 : 漢 高帝 초년(전 202)에 설치. 郡治는 南昌이었고 18개 縣을 관할하였다. 분포 지역은 赣江, 盱江, 信江, 修水, 袁水 연안이다.
닫기
에서 출병하도록 하고 대사농(大司農)주 004
각주 004)
大司農 : 『史記』 「景帝本紀」에 景帝 中元 6년(전145) “치속내사를 대농으로 고치다(治粟內史爲大農)”라고 하였는데, 정확한 명칭은 大農令이다. 『集解』에 인용된 『漢書』 「百官公卿表」에 따르면, “치속내사는 진관으로 곡물과 재화를 담당(治粟內史, 秦官, 掌穀貨也)”한다고 하였으니 국가재정을 담당하는 관직이다. 武帝 太初 원년(전104)에 大司農으로 개칭되었다. 『史記』에는 ‘大農’으로 되어 있는데, 太初 元年 이전이니 大農이라는 표현이 사실 정확하다.
닫기
한안국(韓安國) 주 005
각주 005)
韓安國(?~전127) : 梁縣 成安(현재의 汝州 小屯村 北쪽) 사람이다. 建元 초에 太尉 田蚡의 추천으로 北地都尉에 임명되었고 얼마 안 있어 大農, 즉 大司農으로 영전하였다. 뒤에 閩越의 원정 뒤에는 御史大夫가 되었으며, 이때 匈奴 원정을 둘러싸고 王恢와 갑론을박을 전개하였다.
닫기
회계(會稽)에서 출병하도록 하였는데, 모두 장군에 임명하였다. 군대가 미처 영을 넘지 못했을 때 민월왕(閩粵王) 영(郢)은 군사를 징발하고 험한 지세에 의지하여 저항하였다. 그러자 의 동생인 여선(餘善)이 [민월의] 상(相) 및 종친들과 모의하길, “왕이 함부로 군사를 일으켜주 006
각주 006)
『史記』에는 뒤에 “남월을 공격하다(擊南越)”라는 구절이 더 있으나 『漢書』에는 생략되었다.
닫기
천자에게 주청하지 않으니 천자의 군대가 징벌하러 오고 있소. 지금 한나라의 군대는 수가 많고 강하오. 지금 운좋아 이긴다 해도 뒤에 오는 군사는 더 많을 테니주 007
각주 007)
顔師古는 이 구절을 “한의 땅은 광대하고 군사는 막강하면서도 많아 지금 당장 그들을 이긴다 해도 뒤에 반드시 다시 올 것이다(言漢地廣大, 兵衆盛强, 今雖勝之, 後必更來也)”라고 해석하였는데, 이를 따라 번역하였다.
닫기
나라가 망해야 끝날 것이오. 지금 왕을 죽여 천자에게 사죄합시다. 천자가 이를 받아들여 군사를 물리면 온전히 나라를 보전할 수 있을 것이요, 만약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힘을 다해 싸웁시다. 이기지 못하면 도망하여 바다로 나갑시다”라고 하였다. 모두들, “좋습니다”라고 찬성하였다. 그리하여 왕을 쳐서 죽이고[鏦殺]주 008
각주 008)
鏦殺 : 顔師古는 “鏦의 음은 초와 강의 반절(鏦音初江反)” 즉 창이라 하였다. 『索隱』에 인용된 劉氏에 따르면, 그 뜻은 치다[撞]는 의미이다.
닫기
그 머리를 사신에게 들려보내 대행(大行)에게 바치도록 하였다. 대행이 말하기를, “우리가 여기에 온 것은 왕을 벌하기 위해서이다. 지금 왕의 머리가 내 앞에 있으니 이는 싸우지 않고도 적을 제거한 것이다[不戰而殞].주 009
각주 009)
『史記』에는 ‘不戰而耘’이라 되어 있는데, 글자 그대로 ‘풀을 베어 없애다’는 뜻으로 제거한다는 의미이다.
닫기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임의로 군대를 멈추고 대사농(大司農)의 군대에게 연락을 취하는 한편 사신에게 왕의 머리를 가지고 말을 달려 천자에게 이 사실을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천자는 두 장군의 군대를 해산하도록 조서를 내려 말하기를, “영(郢) 등이 원흉이지, 저 무제(無諸)의 손자인 요군(繇君) 축(丑) 주 010
각주 010)
繇君 丑 : 『索隱』에 따르면, 繇의 음은 요(搖)이고 읍명이며, 丑은 사람 이름이다.
닫기
은 홀로 모의에 가담하지 않았다”라고 하여 낭중장(郎中將)주 011
각주 011)
郎中將 : 郎中을 총괄하는 관이다. 궁중의 문을 수비하는 직책으로 郎中令 소속이다. 일의 계통에 따라 車將, 戶將, 騎將으로 불리기도 한다. 秩은 比千石이다.
닫기
을 보내 을 세워 월요왕(粵繇王)으로 삼고 민월(閩粤)의 선조 제사를 받들도록 하였다.

  • 각주 001)
    大行 : 『漢書』 「百官公卿表」에 의하면, “전객이며 진관이다. 귀의해 오는 만이를 담당한다. 승이 있다. 경제 중원 6년에 대행령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무제 태초 원년에 다시 대홍려로 바꾸었다(典客, 秦官, 掌諸歸義蠻夷, 有丞. 景帝中六年更名大行令, 武帝太初元年更名大鴻臚).” 秩은 中二千石이며 丞의 秩은 千石이다. 제후왕과 열후 그리고 귀의한 이민족의 책봉, 조빙, 연회에서의 의례를 담당하였다. 또한 지방에서 올라오는 上計吏들의 접대도 담당하였다. 속관에는 行人令, 丞, 譯官令, 丞, 別火(獄官)令, 丞과 郡邸長丞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王恢 : 燕나라 사람이며 武帝시기 흉노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흉노가 화친을 청하자 韓安國과는 반대로 정벌을 주장하여 武帝시기 흉노 원정의 시발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제안한 馬邑 매복전이 실패로 끝난 뒤 그 追罪로 자살하고 말았다. 그와 韓安國과의 흉노 전쟁에 관한 논의는 『史記』 「韓長孺傳」에 상세히 실려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預章 : 漢 高帝 초년(전 202)에 설치. 郡治는 南昌이었고 18개 縣을 관할하였다. 분포 지역은 赣江, 盱江, 信江, 修水, 袁水 연안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大司農 : 『史記』 「景帝本紀」에 景帝 中元 6년(전145) “치속내사를 대농으로 고치다(治粟內史爲大農)”라고 하였는데, 정확한 명칭은 大農令이다. 『集解』에 인용된 『漢書』 「百官公卿表」에 따르면, “치속내사는 진관으로 곡물과 재화를 담당(治粟內史, 秦官, 掌穀貨也)”한다고 하였으니 국가재정을 담당하는 관직이다. 武帝 太初 원년(전104)에 大司農으로 개칭되었다. 『史記』에는 ‘大農’으로 되어 있는데, 太初 元年 이전이니 大農이라는 표현이 사실 정확하다.
     바로가기
  • 각주 005)
    韓安國(?~전127) : 梁縣 成安(현재의 汝州 小屯村 北쪽) 사람이다. 建元 초에 太尉 田蚡의 추천으로 北地都尉에 임명되었고 얼마 안 있어 大農, 즉 大司農으로 영전하였다. 뒤에 閩越의 원정 뒤에는 御史大夫가 되었으며, 이때 匈奴 원정을 둘러싸고 王恢와 갑론을박을 전개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史記』에는 뒤에 “남월을 공격하다(擊南越)”라는 구절이 더 있으나 『漢書』에는 생략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顔師古는 이 구절을 “한의 땅은 광대하고 군사는 막강하면서도 많아 지금 당장 그들을 이긴다 해도 뒤에 반드시 다시 올 것이다(言漢地廣大, 兵衆盛强, 今雖勝之, 後必更來也)”라고 해석하였는데, 이를 따라 번역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8)
    鏦殺 : 顔師古는 “鏦의 음은 초와 강의 반절(鏦音初江反)” 즉 창이라 하였다. 『索隱』에 인용된 劉氏에 따르면, 그 뜻은 치다[撞]는 의미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9)
    『史記』에는 ‘不戰而耘’이라 되어 있는데, 글자 그대로 ‘풀을 베어 없애다’는 뜻으로 제거한다는 의미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0)
    繇君 丑 : 『索隱』에 따르면, 繇의 음은 요(搖)이고 읍명이며, 丑은 사람 이름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1)
    郎中將 : 郎中을 총괄하는 관이다. 궁중의 문을 수비하는 직책으로 郎中令 소속이다. 일의 계통에 따라 車將, 戶將, 騎將으로 불리기도 한다. 秩은 比千石이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왕회(王恢), 한안국(韓安國), 영(郢), , 여선(餘善), 영(郢), 무제(無諸), 축(丑),
지명
남월(南粵), 남월, , 예장(豫章), 회계(會稽),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민월이 남월을 공격한 뒤 한나라가 군대를 일으켰으나 민월왕 영(郢)의 동생인 여선(餘善)이 영을 죽이자 군대를 해산함 자료번호 : jo.k_0002_0095_003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