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남월이 평정된 뒤 구군(九郡)을 설치함

  • 국가
    남월(南粤)
창오왕(蒼梧王) 조광(趙光)은 월왕과 동성(同姓)이다. 한나라 군대가 이르렀다는 소식을 듣고 항복하여 수도후(隋桃侯) 주 001
각주 001)
隋桃侯 : 『漢書』 「功臣年表」에는 隋桃의 소재에 대해 적혀 있지 않지만, 『史記』 「建元以來侯者年表」의 『索隱』에 隋桃, 安道, 膫가 모두 南陽郡(前漢 때 관할지역의 범위는 현재의 河南省 桐柏縣 以西, 湖北省 丹江口市 以東, 河南省 魯山縣 以南, 河南省 鄭州市와 湖北省 廣水市 以北에 해당) 소속으로 되어 있다. 「功臣年表」에 趙光은 元鼎 6년(전111) 4월에 隋桃侯에 책봉되었고 식읍 三千戶였다. 그가 죽은 뒤에는 그의 아들 趙昌樂이 위를 계승하였고, 宣帝 本始 元年(전73)에 趙昌樂이 죽은 뒤 그 아들이 죄가 있어 뒤를 잇지 못했다가 平帝 元始 5년(5), 趙光의 玄孫인 趙放紹가 桃侯에 책봉되었고, 식읍 千戶였다. 趙光이 隋桃侯에 책봉되었다는 기사는 『史記』 「南越列傳」에는 보이지 않는다.
닫기
가 되었다. 또 의 게양령(揭陽令)주 002
각주 002)
揭陽令 : 顔師古注에 인용된 蘇林에 따르면, “揭의 음은 갈(羯)이다. 남해현이다(揭音羯. 南海縣)”라고 하였다. 그런데 『史記集解』의 韋昭에 따르면, 揭의 음은 기(其)와 서(逝)의 반절, 즉 ‘게’이다. 『索隱』은 또한 「地理志」를 인용하여 揭陽縣이 南海郡에 속해 있다고 하였고 揭의 음은 걸(桀)이라 하여 ‘揭’는 게, 갈, 걸로 음이 각각 다르다. 어느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 揭陽縣은 秦代 설치되었고 揭陽嶺 남쪽에 있었기 때문에 揭陽이라 불렀다. 治所는 현재의 廣東省 揭陽市 서북이다.
닫기
사정(史定) 주 003
각주 003)
史定 : 揭陽令의 이름이다. 『史記』에는 ‘揭陽令 定’으로 되어 있다.
닫기
에 항복하여 안도후(安道侯) 주 004
각주 004)
安道侯 : 安道는 『史記』 「建元以來侯者年表」의 『索隱』에 南陽郡 소속이라 하였다.
닫기
가 되었다. 의 장수 필취(畢取)는 군대를 이끌고 항복하여 요후(膫侯)가 되었다.주 005
각주 005)
이 구절은 『史記』에는 보이지 않는다. 顔師古는 이에 대해 “월의 장수이며 성이 필이고 이름이 취이다. 「공신년표」에 요는 남양군 소속이다(越將姓畢名取也. 功臣表膫屬南陽)”라고 하였다.
닫기
의 계림감(桂林監)주 006
각주 006)
桂林監 : 顔師古注에 인용된 服虔에 따르면, 桂林部監이라고 하였는데, 『集解』에 인용된 『漢書音義』에 따르면 桂林郡의 中監이다.
닫기
거옹(居翁) 주 007
각주 007)
居翁 : 顔師古注에 인용된 服虔에 따르면, 姓이 居이고 이름이 翁이다.
닫기
은 구락(甌駱)에게 한나라에 복속하도록 종용하여 그 40여만 구를 이끌고 항복하여 상성후(湘城侯) 주 008
각주 008)
湘城侯 : 『史記』 「建元以來侯者年表」의 『索隱』에 堵陽縣 소속이라 하였는데, 堵陽縣은 원래 秦代 陽城縣을 前漢代 개칭한 것으로, 현재의 河南省 方成縣 동쪽 6리에 있다.
닫기
가 되었다. 과선장군(戈船將軍)과 하뢰장군(下瀨將軍)의 군대 및 치의후(馳義侯)가 징발한 야랑국 병사가 미처 당도하기도 전에 남월은 평정되었다. 마침내 이곳에 담이(儋耳) 주 009
각주 009)
儋耳 : 治所는 儋耳縣, 즉 현재의 海南省 儋州市 西北 남단이다. 관할 지역은 현재 海南省 海南島 서부지구에 해당한다. ‘儋耳’라는 지명은 이 지역의 원주민들이 문신과 큰 귀걸이를 하였기 때문에 붙여졌다. 儋耳郡에는 3개의 현, 九龍縣(현재의 東方縣), 玉來縣(현재의 昌江縣), 儋耳縣(현재의 儋縣)이 설치되었다. 漢昭帝 始元 5년(전82)에 儋耳縣을 珠崖郡에 병합되었다.
닫기
, 주애(珠崖) 주 010
각주 010)
珠崖 : 治所는 瞻都縣, 즉 현재의 海南省 琼山市 동남 30리이다. 儋耳郡과 함께 交州刺史의 관할하에 있었다. 고증에 따르면, 珠崖郡에는 5개 현, 潭都縣, 玳瑁縣(두 현이 대략 현재의 琼山市), 苟中縣(현재의 澄邁縣), 紫貝縣(현재의 文昌市), 臨振縣(현재의 三亞市)이 설치되었다. 珠崖라는 명칭은 『漢書』에 “郡在大海岸之邊, 出珍珠, 故曰珠崖”라고 하여 이 지역이 진주가 많이 나는 곳이어서 붙여졌다. 元帝 初元 3년(전46) 珠崖郡을 폐지하고 朱盧縣(혹은 朱崖縣)으로 고쳐 合浦郡에 병합시켰다.
닫기
, 남해(南海) 주 011
각주 011)
南海 : 南海郡 앞의 주 참조.
닫기
, 창오(蒼梧) 주 012
각주 012)
蒼梧 : 蒼梧郡 앞의 주 참조.
닫기
, 울림(鬱林) 주 013
각주 013)
鬱林 : 鬱林郡은 桂林郡을 개명한 것이다. 桂林郡은 秦始皇 33년(전214)에 설치, 현재의 廣西省 대부분 지역을 포괄한다. 郡의 治所는 布山縣(현재 廣西省 貴港市) 혹은 현재의 廣西省 桂平市 西南이라고 하여 불분명하다. 『漢書』 「地理志」에는 桂林郡이 武帝 때 鬱林郡으로 개명되었다고 전한다.
닫기
, 합포(合浦) 주 014
각주 014)
合浦 : 武帝 元鼎 6년(전111)에 처음 설치하였고, 治所는 徐聞縣(현재의 廣東省 徐聞縣 남쪽)이다. 관할지역은 현재의 廣東省 新興縣, 開平縣 以西, 廣西省 容縣, 玉林, 橫縣 以南에 해당한다. 後漢 때 郡治를 合浦縣(현재의 廣西省 浦北縣 南舊州村)으로 이전하였다.
닫기
, 교지(交阯) 주 015
각주 015)
交阯 : 前漢 때 治所는 羸䧪縣(현재의 越南 河內市 서북)이다. 관할지역은 현재의 越南 북부 지구에 해당한다. 後漢 때 治所를 龍編縣(현재의 越南 河北省 仙游 東쪽)으로 옮기면서 관할영역이 축소, 紅河 삼각주 일대로 제한되었다.
닫기
, 구진(九眞) 주 016
각주 016)
九眞 : 治所는 胥浦縣(현재의 越南 淸化省 東山縣 楊舍村)이다. 관할영역은 현재 越南 淸化省, 河靜省과 義安省 동부지구에 해당한다. 後漢 때에는 交州에 속하였다.
닫기
, 일남(日南) 주 017
각주 017)
日南 : 治所는 西捲縣(현재 越南 平治天省廣治西北의 廣治河와 甘露河의 합류지점)이다. 『漢書』 「地理志」에 따르면, 秦代 설치된 象郡을 前漢 武帝 때 改名한 것이라고 한다. 顔師古는 그 지명에 대해 “해의 남쪽에 있음을 말한다. 소위 북쪽으로 문을 내어 해를 향하는 곳이다(言其在日之南, 所謂開北戶以向日者)”라고 하였고 『水經注』 「溫水注」에 “區粟에서는 팔 척의 表를 세워 해 그림자를 남쪽 팔 촌을 기준으로 하고 그 이남을 해의 남쪽에 있다 하여 군명으로 삼았다(區粟建八尺表, 日影度南八寸, 自此影以南, 在日之南, 故以名郡)”라고 전하고 있다.
닫기
구군(九郡)을 설치하였다. 복파장군은 봉을 더하였고 누선장군은 선봉에서 견고한 적의 군대를 함몰시킨 공로로 장량후(將梁侯) 주 018
각주 018)
將梁侯 : 『史記』 「建元以來侯子年表」의 『索隱』에 따르면, 『漢書』 「景武昭宣元成功臣表」와 「地理志」에 기록이 없다.
닫기
에 봉해졌다.

  • 각주 001)
    隋桃侯 : 『漢書』 「功臣年表」에는 隋桃의 소재에 대해 적혀 있지 않지만, 『史記』 「建元以來侯者年表」의 『索隱』에 隋桃, 安道, 膫가 모두 南陽郡(前漢 때 관할지역의 범위는 현재의 河南省 桐柏縣 以西, 湖北省 丹江口市 以東, 河南省 魯山縣 以南, 河南省 鄭州市와 湖北省 廣水市 以北에 해당) 소속으로 되어 있다. 「功臣年表」에 趙光은 元鼎 6년(전111) 4월에 隋桃侯에 책봉되었고 식읍 三千戶였다. 그가 죽은 뒤에는 그의 아들 趙昌樂이 위를 계승하였고, 宣帝 本始 元年(전73)에 趙昌樂이 죽은 뒤 그 아들이 죄가 있어 뒤를 잇지 못했다가 平帝 元始 5년(5), 趙光의 玄孫인 趙放紹가 桃侯에 책봉되었고, 식읍 千戶였다. 趙光이 隋桃侯에 책봉되었다는 기사는 『史記』 「南越列傳」에는 보이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揭陽令 : 顔師古注에 인용된 蘇林에 따르면, “揭의 음은 갈(羯)이다. 남해현이다(揭音羯. 南海縣)”라고 하였다. 그런데 『史記集解』의 韋昭에 따르면, 揭의 음은 기(其)와 서(逝)의 반절, 즉 ‘게’이다. 『索隱』은 또한 「地理志」를 인용하여 揭陽縣이 南海郡에 속해 있다고 하였고 揭의 음은 걸(桀)이라 하여 ‘揭’는 게, 갈, 걸로 음이 각각 다르다. 어느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 揭陽縣은 秦代 설치되었고 揭陽嶺 남쪽에 있었기 때문에 揭陽이라 불렀다. 治所는 현재의 廣東省 揭陽市 서북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史定 : 揭陽令의 이름이다. 『史記』에는 ‘揭陽令 定’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安道侯 : 安道는 『史記』 「建元以來侯者年表」의 『索隱』에 南陽郡 소속이라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5)
    이 구절은 『史記』에는 보이지 않는다. 顔師古는 이에 대해 “월의 장수이며 성이 필이고 이름이 취이다. 「공신년표」에 요는 남양군 소속이다(越將姓畢名取也. 功臣表膫屬南陽)”라고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6)
    桂林監 : 顔師古注에 인용된 服虔에 따르면, 桂林部監이라고 하였는데, 『集解』에 인용된 『漢書音義』에 따르면 桂林郡의 中監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7)
    居翁 : 顔師古注에 인용된 服虔에 따르면, 姓이 居이고 이름이 翁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8)
    湘城侯 : 『史記』 「建元以來侯者年表」의 『索隱』에 堵陽縣 소속이라 하였는데, 堵陽縣은 원래 秦代 陽城縣을 前漢代 개칭한 것으로, 현재의 河南省 方成縣 동쪽 6리에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儋耳 : 治所는 儋耳縣, 즉 현재의 海南省 儋州市 西北 남단이다. 관할 지역은 현재 海南省 海南島 서부지구에 해당한다. ‘儋耳’라는 지명은 이 지역의 원주민들이 문신과 큰 귀걸이를 하였기 때문에 붙여졌다. 儋耳郡에는 3개의 현, 九龍縣(현재의 東方縣), 玉來縣(현재의 昌江縣), 儋耳縣(현재의 儋縣)이 설치되었다. 漢昭帝 始元 5년(전82)에 儋耳縣을 珠崖郡에 병합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0)
    珠崖 : 治所는 瞻都縣, 즉 현재의 海南省 琼山市 동남 30리이다. 儋耳郡과 함께 交州刺史의 관할하에 있었다. 고증에 따르면, 珠崖郡에는 5개 현, 潭都縣, 玳瑁縣(두 현이 대략 현재의 琼山市), 苟中縣(현재의 澄邁縣), 紫貝縣(현재의 文昌市), 臨振縣(현재의 三亞市)이 설치되었다. 珠崖라는 명칭은 『漢書』에 “郡在大海岸之邊, 出珍珠, 故曰珠崖”라고 하여 이 지역이 진주가 많이 나는 곳이어서 붙여졌다. 元帝 初元 3년(전46) 珠崖郡을 폐지하고 朱盧縣(혹은 朱崖縣)으로 고쳐 合浦郡에 병합시켰다.
     바로가기
  • 각주 011)
    南海 : 南海郡 앞의 주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12)
    蒼梧 : 蒼梧郡 앞의 주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13)
    鬱林 : 鬱林郡은 桂林郡을 개명한 것이다. 桂林郡은 秦始皇 33년(전214)에 설치, 현재의 廣西省 대부분 지역을 포괄한다. 郡의 治所는 布山縣(현재 廣西省 貴港市) 혹은 현재의 廣西省 桂平市 西南이라고 하여 불분명하다. 『漢書』 「地理志」에는 桂林郡이 武帝 때 鬱林郡으로 개명되었다고 전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4)
    合浦 : 武帝 元鼎 6년(전111)에 처음 설치하였고, 治所는 徐聞縣(현재의 廣東省 徐聞縣 남쪽)이다. 관할지역은 현재의 廣東省 新興縣, 開平縣 以西, 廣西省 容縣, 玉林, 橫縣 以南에 해당한다. 後漢 때 郡治를 合浦縣(현재의 廣西省 浦北縣 南舊州村)으로 이전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5)
    交阯 : 前漢 때 治所는 羸䧪縣(현재의 越南 河內市 서북)이다. 관할지역은 현재의 越南 북부 지구에 해당한다. 後漢 때 治所를 龍編縣(현재의 越南 河北省 仙游 東쪽)으로 옮기면서 관할영역이 축소, 紅河 삼각주 일대로 제한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6)
    九眞 : 治所는 胥浦縣(현재의 越南 淸化省 東山縣 楊舍村)이다. 관할영역은 현재 越南 淸化省, 河靜省과 義安省 동부지구에 해당한다. 後漢 때에는 交州에 속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17)
    日南 : 治所는 西捲縣(현재 越南 平治天省廣治西北의 廣治河와 甘露河의 합류지점)이다. 『漢書』 「地理志」에 따르면, 秦代 설치된 象郡을 前漢 武帝 때 改名한 것이라고 한다. 顔師古는 그 지명에 대해 “해의 남쪽에 있음을 말한다. 소위 북쪽으로 문을 내어 해를 향하는 곳이다(言其在日之南, 所謂開北戶以向日者)”라고 하였고 『水經注』 「溫水注」에 “區粟에서는 팔 척의 表를 세워 해 그림자를 남쪽 팔 촌을 기준으로 하고 그 이남을 해의 남쪽에 있다 하여 군명으로 삼았다(區粟建八尺表, 日影度南八寸, 自此影以南, 在日之南, 故以名郡)”라고 전하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8)
    將梁侯 : 『史記』 「建元以來侯子年表」의 『索隱』에 따르면, 『漢書』 「景武昭宣元成功臣表」와 「地理志」에 기록이 없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조광(趙光), 수도후(隋桃侯), 사정(史定), 안도후(安道侯), 필취(畢取), 요후(膫侯), 거옹(居翁), 상성후(湘城侯), 치의후(馳義侯), 장량후(將梁侯)
지명
한나라, , , , , 한나라, 야랑국, 남월, 담이(儋耳), 주애(珠崖), 남해(南海), 창오(蒼梧), 울림(鬱林), 합포(合浦), 교지(交阯), 구진(九眞), 일남(日南)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남월이 평정된 뒤 구군(九郡)을 설치함 자료번호 : jo.k_0002_0095_002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