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누선장군(양복)과 복파장군(노박덕)이 월을 공격하고 이후 여가와 건덕을 사로잡음

  • 국가
    남월(南粤)
[원정(元鼎)] 6년(전111)주 001
각주 001)
『史記』에는 6년 앞에 元鼎이라 하였다.
닫기
겨울, 누선장군(樓船將軍)이 정예병사를 이끌고 먼저 심협(尋陿)주 002
각주 002)
尋陿 : 『史記』에는 陿이 陜으로 되어 있다(陜, 陿, 峽 모두 같이 쓰인다). 『索隱』은 姚氏의 말을 인용하여 尋陝은 始興 서쪽 300리에 위치하며 連口에 가깝다고 하였다(索隱姚氏云, “尋陝在始興西三百里, 近連口也.”). 『考證』의 丁謙에 따르면, 尋陜은 곧 韶州 英德縣 남쪽에 있는 湞陽峽을 말한다. 또 『方輿紀要』 권101 淸遠縣 ‘峽山’조에 “觀亭山在縣東三十五里. 一名觀峽山. 或云卽峽山之支麓, 或謂之尋陜”이라고 하였다. 현재 위치로는 廣東省 淸遠市 동쪽이다.
닫기
을 함락시키고 석문(石門)주 003
각주 003)
石門 : 『索隱』은 石門에 대해 『廣州記』의 다음 기록을 인용하고 있다. “番禺縣 북쪽 30리에 있다. 옛날 여가가 한에 대항하여 싸울 때 돌을 쌓아 강을 메워서 석문이라 이름을 붙였다. 또 세속에서는 石門水를 ‘탐천(貪泉)’이라 하였는데, 그 물을 마시면 사람이 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吳隱之가 石門에 이르러 그 물을 떠서 마시고 곧바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索隱按 : 廣州記 “在番禺縣北三十里. 昔呂嘉拒漢, 積石鎭江, 名曰石門. 又俗云石門水名曰 『貪泉』, 飮之則令人變. 故吳隱之至石門, 酌水飮, 乃爲之歌云也.”.)” 또 『方輿紀要』 권101 廣州府를 보면 石門山은 “두 산이 서로 대치하고 있는 것이 문과 같다(兩山對峙如門)”라고 하여 石門이라 이름하였다고 전한다. 현재의 廣東省 廣州市 西北 30里에 있다.
닫기
을 격파하였다. 남월 배의 군량미를 노획하고 그 여세를 몰아 전진하여 남월의 선봉을 꺾고, 수만 명의 월(粤) 주 004
각주 004)
『史記』에는 ‘粤’자가 없다.
닫기
의 군사를 거느리고 복파장군(伏波將軍)이 도착하길 기다렸다. 복파장군은 죄수들을 거느린데다 [행군한] 거리가 너무 멀어 약속한 기일에 늦게 되었다. 누선장군과 만났을 때에는 겨우 천여 명 정도의 군사가 있었고 마침내 [합류하여] 함께 행진하였다. 누선장군이 앞장을 서서 번우에 이르렀다. 건덕(建德)여가(呂嘉)는 모두 성을 단단히 지키고 있었다. 누선장군은 자기에게 유리한 쪽을 선택하여 동남쪽에 진을 쳤고 복파장군은 서북쪽에 진을 치게 되었다. 때마침 날이 저물자 누선장군이 월나라를 공격하여 무너뜨리고 성을 불태워버렸다. 남월 사람들은 평소 복파장군의 명성을 익히 들어 알고 있었고 게다가 날이 저물자 그의 병사의 수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가 없었다. 복파장군은 곧바로 영루(營壘)주 005
각주 005)
營壘 : 顔師古에 따르면 영루를 설치하여 항복해 오는 자들을 맞이하기 위한 것(設營壘以待降者)이라고 한다.
닫기
를 세워 사자를 보내 항복해 오는 자들을 불러들여 그들에게 인수(印綬)주 006
각주 006)
印綬 : 『史記』에는 ‘印’으로만 되어 있다. 漢代 관리의 秩祿에 따라 金印, 銀印, 銅印을 하사했고 印을 묶는 綬도 綠綬, 紫綬, 靑綬, 黃綬, 黑綬로 구분하였다. 또 印에는 꼭지 위에 매는 끈 紐가 있는데, 龜紐, 鼻組 등으로 구별하였다. 印綬 제도는 戰國시대부터 있었던 것을 漢代에 계승, 발전시켰다.
닫기
를 하사하고 다시 풀어줘 항복한 자들을 데리고 오도록 하였다.주 007
각주 007)
顔師古는 “항복한 자들에게 후의 인을 내려 풀어주고 돌아가도록 해서 [그들의 무리들을] 회유해서 불러오도록 하다(來降者卽賜以侯印, 而放令還, 更相招諭之也)”라고 풀이하였는데, 이것을 따라 해석하였다.
닫기
그리하여 누선장군이 전력을 다해 적을 공격하고 성을 불태운 것이 오히려 남월 사람들을 복파장군 진영으로 몰아간 꼴이 되었다. 날이 채 밝기도 전[遲旦]주 008
각주 008)
‘遲旦’ : 『史記』에는 ‘犂旦’으로 되어 있다. 『集解』는 徐廣을 인용하여 ‘犂’를 ‘~까지 이어지다, 미치다’는 의미로 풀이하였고 『索隱』은 ‘犂’의 의미를 검다[黑]로 해석, 날이 미처 밝기 전 어두운 때라고 하여 이것을 따라 해석하였다.
닫기
에 성안 사람들이 모두 복파장군에게 항복하고 말았다. 여가(呂嘉)건덕(建德)은 이미 밤을 타서 자신의 일속 백여 명을 데리고 바다로 도망쳤다.주 009
각주 009)
『史記』에는 ‘入海’ 뒤에 ‘以船西去’ 네 글자가 더 있는데, 『漢書』에는 생략되어 있다.
닫기
복파장군은 또 항복해온 자들에게주 010
각주 010)
『史記』에는 투항한 자들 중 貴人에게 呂嘉의 행방을 물었다고 하였는데, 『漢書』는 이 역시 생략하고 있다.
닫기
여가가 도망친 곳이 어디인지를 물어본 다음 사람을 시켜 그 뒤를 추적하게 하였다. 이 때문에 교위(校尉)의 사마(司馬)주 011
각주 011)
『史記』에는 ‘故校尉司馬’로 되어 있는데, 『漢書』는 ‘故其校司馬’라고 하였다. 『考證』은 朱一新의 말을 인용하여 ‘故校尉司馬’를 ‘이 때문에 校尉였다가 이제 軍司馬가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하였지만, 顔師古는 “校의 司馬이다. 지금의 행군총관사마이다(校之司馬, 若今行軍總管司馬也)”라고 해석하였다. 「功臣年表」에 蘇弘은 伏波司馬로 南越王 建德侯를 잡았다고 되어 있어, 이것을 참조하면 顔師古의 해석처럼 伏波將軍 휘하 校尉의 司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닫기
소홍(蘇弘) 주 012
각주 012)
蘇弘 : 『史記』 「建元以來侯子年表」에 의하면, 伏波司馬로 南越王 乾德을 잡은 공으로 侯가 되었고, 元封 6년 7월 乙酉일에 莊侯 蘇弘의 원년이 되었으며, 太初元年에 蘇弘이 사망하고 후사가 없어 國이 폐지되었다. 「高祖功臣侯者年表」의 『索隱』에 의하면, ‘莊侯’는 項籍을 참한 五侯에게 내려진 시호인데, 「建元以來侯子年表」에는 南越王 乾德을 잡은 蘇弘과 東越의 循北將軍을 잡은 轅終古 외에는 莊侯의 시호가 보이지 않는다.
닫기
건덕을 잡은 공로로 해상후(海常侯) 주 013
각주 013)
海常侯 : 『集解』의 徐廣에 따르면 東萊에 있다. 食邑이 東萊郡에 있다는 말인데, 東萊郡의 郡治는 현재의 山東省 掖縣에 있다. 일설에는 그 食邑이 琅邪郡에 있다고도 하는데, 琅邪郡의 郡治는 山東省 諸縣에 있다.
닫기
에 봉해졌고, 의 랑(郎)주 014
각주 014)
越郞 : 顔師古注에 인용된 孟康에 따르면, 월나라에서 자체적으로 임명한 郞을 말한다(越中所自置郎也.) 郞은 본래 王宮을 지키는 衛士였는데, 前漢 때에는 이미 직장이 명문화되어 황제 혹은 왕국의 막료로 충당되었다. 한조정과 마찬가지로 王國의 郎官은 郎中과 中郞, 侍郞이 있었으며, 『漢官儀』에 따르면, 秩祿은 2백 석이었다. 「百官公卿表」에는 “景帝中五年令諸侯王不得復治國, 天子爲置吏, ……郎諸官長丞皆損其員”라고 하여, 景帝 中元5년에 王國의 郎官의 숫자를 감축했다고 전한다(吳榮曾, 앞의 글, 114쪽).
닫기
도계(都稽) 주 015
각주 015)
都稽 : 『漢書』 「景武昭宣元成功臣表」에는 孫都로 되어 있다.
닫기
여가를 잡은 공로로 임채후(臨蔡侯) 주 016
각주 016)
臨蔡侯 : 『史記』 「建元以來侯子年表」에는 실려 있지 않고, 『漢書』 「景武昭宣元成功臣表」에 臨蔡侯는 河內郡 소속이며, 식읍이 千戶로 되어 있다. 河內郡의 治所는 懷縣, 즉 현재의 河南省 武陟縣 서남이다.
닫기
에 봉해졌다.

  • 각주 001)
    『史記』에는 6년 앞에 元鼎이라 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尋陿 : 『史記』에는 陿이 陜으로 되어 있다(陜, 陿, 峽 모두 같이 쓰인다). 『索隱』은 姚氏의 말을 인용하여 尋陝은 始興 서쪽 300리에 위치하며 連口에 가깝다고 하였다(索隱姚氏云, “尋陝在始興西三百里, 近連口也.”). 『考證』의 丁謙에 따르면, 尋陜은 곧 韶州 英德縣 남쪽에 있는 湞陽峽을 말한다. 또 『方輿紀要』 권101 淸遠縣 ‘峽山’조에 “觀亭山在縣東三十五里. 一名觀峽山. 或云卽峽山之支麓, 或謂之尋陜”이라고 하였다. 현재 위치로는 廣東省 淸遠市 동쪽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石門 : 『索隱』은 石門에 대해 『廣州記』의 다음 기록을 인용하고 있다. “番禺縣 북쪽 30리에 있다. 옛날 여가가 한에 대항하여 싸울 때 돌을 쌓아 강을 메워서 석문이라 이름을 붙였다. 또 세속에서는 石門水를 ‘탐천(貪泉)’이라 하였는데, 그 물을 마시면 사람이 변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吳隱之가 石門에 이르러 그 물을 떠서 마시고 곧바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索隱按 : 廣州記 “在番禺縣北三十里. 昔呂嘉拒漢, 積石鎭江, 名曰石門. 又俗云石門水名曰 『貪泉』, 飮之則令人變. 故吳隱之至石門, 酌水飮, 乃爲之歌云也.”.)” 또 『方輿紀要』 권101 廣州府를 보면 石門山은 “두 산이 서로 대치하고 있는 것이 문과 같다(兩山對峙如門)”라고 하여 石門이라 이름하였다고 전한다. 현재의 廣東省 廣州市 西北 30里에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史記』에는 ‘粤’자가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5)
    營壘 : 顔師古에 따르면 영루를 설치하여 항복해 오는 자들을 맞이하기 위한 것(設營壘以待降者)이라고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印綬 : 『史記』에는 ‘印’으로만 되어 있다. 漢代 관리의 秩祿에 따라 金印, 銀印, 銅印을 하사했고 印을 묶는 綬도 綠綬, 紫綬, 靑綬, 黃綬, 黑綬로 구분하였다. 또 印에는 꼭지 위에 매는 끈 紐가 있는데, 龜紐, 鼻組 등으로 구별하였다. 印綬 제도는 戰國시대부터 있었던 것을 漢代에 계승, 발전시켰다.
     바로가기
  • 각주 007)
    顔師古는 “항복한 자들에게 후의 인을 내려 풀어주고 돌아가도록 해서 [그들의 무리들을] 회유해서 불러오도록 하다(來降者卽賜以侯印, 而放令還, 更相招諭之也)”라고 풀이하였는데, 이것을 따라 해석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8)
    ‘遲旦’ : 『史記』에는 ‘犂旦’으로 되어 있다. 『集解』는 徐廣을 인용하여 ‘犂’를 ‘~까지 이어지다, 미치다’는 의미로 풀이하였고 『索隱』은 ‘犂’의 의미를 검다[黑]로 해석, 날이 미처 밝기 전 어두운 때라고 하여 이것을 따라 해석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9)
    『史記』에는 ‘入海’ 뒤에 ‘以船西去’ 네 글자가 더 있는데, 『漢書』에는 생략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0)
    『史記』에는 투항한 자들 중 貴人에게 呂嘉의 행방을 물었다고 하였는데, 『漢書』는 이 역시 생략하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史記』에는 ‘故校尉司馬’로 되어 있는데, 『漢書』는 ‘故其校司馬’라고 하였다. 『考證』은 朱一新의 말을 인용하여 ‘故校尉司馬’를 ‘이 때문에 校尉였다가 이제 軍司馬가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하였지만, 顔師古는 “校의 司馬이다. 지금의 행군총관사마이다(校之司馬, 若今行軍總管司馬也)”라고 해석하였다. 「功臣年表」에 蘇弘은 伏波司馬로 南越王 建德侯를 잡았다고 되어 있어, 이것을 참조하면 顔師古의 해석처럼 伏波將軍 휘하 校尉의 司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바로가기
  • 각주 012)
    蘇弘 : 『史記』 「建元以來侯子年表」에 의하면, 伏波司馬로 南越王 乾德을 잡은 공으로 侯가 되었고, 元封 6년 7월 乙酉일에 莊侯 蘇弘의 원년이 되었으며, 太初元年에 蘇弘이 사망하고 후사가 없어 國이 폐지되었다. 「高祖功臣侯者年表」의 『索隱』에 의하면, ‘莊侯’는 項籍을 참한 五侯에게 내려진 시호인데, 「建元以來侯子年表」에는 南越王 乾德을 잡은 蘇弘과 東越의 循北將軍을 잡은 轅終古 외에는 莊侯의 시호가 보이지 않는다.
     바로가기
  • 각주 013)
    海常侯 : 『集解』의 徐廣에 따르면 東萊에 있다. 食邑이 東萊郡에 있다는 말인데, 東萊郡의 郡治는 현재의 山東省 掖縣에 있다. 일설에는 그 食邑이 琅邪郡에 있다고도 하는데, 琅邪郡의 郡治는 山東省 諸縣에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4)
    越郞 : 顔師古注에 인용된 孟康에 따르면, 월나라에서 자체적으로 임명한 郞을 말한다(越中所自置郎也.) 郞은 본래 王宮을 지키는 衛士였는데, 前漢 때에는 이미 직장이 명문화되어 황제 혹은 왕국의 막료로 충당되었다. 한조정과 마찬가지로 王國의 郎官은 郎中과 中郞, 侍郞이 있었으며, 『漢官儀』에 따르면, 秩祿은 2백 석이었다. 「百官公卿表」에는 “景帝中五年令諸侯王不得復治國, 天子爲置吏, ……郎諸官長丞皆損其員”라고 하여, 景帝 中元5년에 王國의 郎官의 숫자를 감축했다고 전한다(吳榮曾, 앞의 글, 114쪽).
     바로가기
  • 각주 015)
    都稽 : 『漢書』 「景武昭宣元成功臣表」에는 孫都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6)
    臨蔡侯 : 『史記』 「建元以來侯子年表」에는 실려 있지 않고, 『漢書』 「景武昭宣元成功臣表」에 臨蔡侯는 河內郡 소속이며, 식읍이 千戶로 되어 있다. 河內郡의 治所는 懷縣, 즉 현재의 河南省 武陟縣 서남이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건덕(建德), 여가(呂嘉), 여가(呂嘉), 건덕(建德), 여가, 소홍(蘇弘), 건덕, 해상후(海常侯), 도계(都稽), 여가, 임채후(臨蔡侯)
지명
남월, 남월, 월(粤), 번우, 월나라, 남월, 남월,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누선장군(양복)과 복파장군(노박덕)이 월을 공격하고 이후 여가와 건덕을 사로잡음 자료번호 : jo.k_0002_0095_0020_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