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남월이 영토를 확장하고 황제의 의례를 같이 사용함

  • 국가
    남월(南粤)
고후(高后) 주 001
각주 001)
高后 : 漢高祖 劉邦의 부인인 呂雉. 高祖 사후 아들 惠帝가 그 뒤를 잇자 실권을 행사하였다. 惠帝마저 재위 7년만에 사망한 뒤 혜제의 아들 少帝 恭을 세웠다가 자기에게 순종하지 않자 폐위시켜 죽이고 동생인 常山王 弘을 제위에 앉히고 여씨 일파를 중용하는 등 한초 정계를 주름잡았다. 司馬遷은 이 때문에 「呂太后本紀」를 두어 本紀에 넣었고 『漢書』도 「高后紀」를 두어 惠帝 사후 高后가 臨朝稱制한 후부터 高后 元年~8년까지 紀年 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닫기
때 유사(有司)가 월(粤) 주 002
각주 002)
『史記』에는 ‘南越’로 되어 있다.
닫기
과 국경 관문에서 거래하던[關市]주 003
각주 003)
關市 : 원래 關과 市에서 교역하는 것을 말하는데 『國語』 「齊語」에 “關市幾(稽)而不征”이라 하였고, 『周禮』「天官」의 九賦 중에 “關市之賦”가 있으며, 睡虎地秦簡의 秦律에도 ‘關市律’이 있어 關市에서 교역하는 데 일정한 원칙과 법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漢代에는 匈奴와 南越 등과의 교역을 위해 關市를 설치, 운용하였는데, 흉노의 경우 ‘胡市’라고 불렀다. 高后 때 남월과의 교역을 금지한 데에서 알 수 있듯이, 漢은 이민족과 화해 또는 통제하는 방법으로 關市를 하나의 통제책으로 이용했다.
닫기
철기의 교역을 중단할 것을 주청하였다. 조타가 말하기를, “고황제(高皇帝) 주 004
각주 004)
高皇帝 : 『史記』에는 ‘高帝’로 되어 있다.
닫기
가 나를 왕으로 인정해 [과] 사신이 오고가며 물자를 교역해 왔는데, 지금 고후(高后)는 [남월을] 중상하는 신하의 말만 듣고 오랑캐라 차별하며 기물의 교역을 중단하였다. 이는 장사왕(長沙王)주 005
각주 005)
長沙王 : 長沙共王 吳右를 말하며, 기원전 186~기원전 178년까지 재위하였으며, 초대 長沙王 吳芮의 曾孫이다.
닫기
의 음모임이 분명하다. 장사왕은 중국에 기대어 남해(南海)주 006
각주 006)
南海 : 『史記』에는 南越로 되어 있다.
닫기
를 공격해 멸망시키고 이를 병합해 왕이 되어 공업을 이루려고 한다”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조타는 스스로 호를 높여 남무제(南武帝) 주 007
각주 007)
南武帝 : 『史記』에는 ‘南越武帝’로 되어 있다. 『漢書』 「高后紀」에도 ‘南武帝’로 되어 있는데, 顔師古注를 보면, 韋昭는 살아 있을 때 武帝라고 칭한 것은 옛날 제도를 알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했는데, 顔師古는 이에 대해 반박하여, 成湯이 ‘吾 武甚’이라 하며 스스로 武王이라 한 것을 근거로 옛날 제도와는 상관없다고 하고 있다(韋昭曰, “生以武爲號, 不稽古也.” 師古曰, “此說非也. 成湯曰 ‘吾武甚’, 因自號武王. 佗言武帝亦猶是耳, 何謂其不稽古乎?”).
닫기
라고 한 다음 군사를 일으켜 장사국 변방의 읍을 공격하고 여러 현들을 쳐부수었다주 008
각주 008)
『史記』에는 ‘敗數縣’ 다음에 ‘敗數縣而去焉’라고 하여 ‘부수고 돌아가다’로 되어 있다.
닫기
고후가 장군 융려후(隆慮侯) 조(竈) 주 009
각주 009)
隆慮侯 竈 : 『索隱』에 인용된 韋昭에 따르면, 隆慮侯의 隆慮는 縣의 이름이며 河內郡 소속이라고 한다. 『漢書』「高后紀」 注에 인용된 應劭에 따르면, 隆慮는 원래 林慮인데, 殤帝를 휘하여 隆慮로 고쳤다고 한다. 林慮는 현재 河南省 林縣에 있다. 隆慮侯 竈의 姓은 周이다. 顔師古는 周竈라고 하였는데, 周竈는 漢高祖 劉邦을 도와 項羽를 친 공으로 漢 高祖 6년(전 201) 正月에 隆慮侯에 책봉된 인물이다.
닫기
를 파견하여 공격하게 하였다. 때마침 덥고 습한 여름이어서 병사들 사이에 전염병이 돌아 군대는 [양산]령 주 010
각주 010)
『史記』에는 ‘踰嶺’으로 표기되었는데, 『索隱』은 이 영이 陽山嶺(현재 廣東省 陽山縣 경내)으로 추정하고 있다. 顔師古注는 『史記』와 같이 “隃與踰同. 下皆類此”라고 하여 ‘고개를 넘다’로 해석하고 있다.
닫기
을 넘지 못했다. 1년 뒤(전180)에 고후가 죽자 곧바로 군대를 철수하였다. 조타는 이때를 틈타 민월(閩越)주 011
각주 011)
閩越 : 중국 남방의 百越族의 한 지류이다. 주요 근거지는 지금의 福建省 武夷山에서 臺灣海峽에 이르는 일대이다. 先秦시대부터 특유의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벼농사와 어로로 생활을 영위하였다. 閩越의 역사에 대해서는 『史記』 「東越列傳」이 立傳되어 전해지고 있다.
닫기
과 서구(西甌)주 012
각주 012)
西甌 : 『漢書』 「西南夷兩粵」에 따르면, “蠻夷中, 西有西甌, 衆半羸, 南面稱王 ; 東有閩粵, 其衆數千人 ; 亦稱王”이라 하여 동쪽의 閩越과 대칭하여 서쪽의 만이를 西甌라 한 것을 알 수 있다. 顔師古도 西甌는 곧 駱越이며, 西라고 한 것은 東甌와 구별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西甌卽駱越也. 言西者, 以別東甌也.”). 이처럼 사서에는 어떤 때에는 낙월이라 하고, 또 어떤 때는 서구라고 하며 또 어떤 때에는 서구와 낙월이라 병칭할 때에도 있어 매우 혼란스럽다. 그러나 『考證』이 지적하듯이(4652쪽), 閩越, 西甌, 駱은 각각 별개의 나라로 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닫기
, 낙(駱)주 013
각주 013)
駱 : 『集解』는 『漢書音義』를 인용하여 ‘駱越’이라 하였다. 『索隱』 또한 鄒氏의 말을 인용하여 駱越이라 하는 한편, 姚氏의 말을 인용하여, 『廣州記』에 “交趾에는 駱田이 있는데, 潮水가 위 아래로 흘러들어가 그 밭을 일구어 먹고 사는 사람들을 ‘駱人’이라 부른다. 그래서 駱王도 있고 駱侯도 있다. 또 그 밖의 여러 현에서는 자칭 ‘駱將’이라 하며 銅印에 靑綬를 하니 오늘날의 令長에 해당한다. 뒤에 蜀王의 아들이 군대를 이끌고 가서 駱侯를 토벌한 뒤 安陽王이라 자칭하며 치소를 封溪縣에 두었다. 뒤에 南越王 尉他가 安陽王을 쳐서 두 명의 사자로 하여금 交阯와 九眞郡의 사람들을 다스리도록 하였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駱은 바로 甌駱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西甌는 하나의 국명으로 여기의 駱은 『考證』(4652쪽)에 따르면, 아래 문장에 ‘其西甌駱裸國’과 같이 西甌와 駱裸처럼 駱 아래에 裸자가 덧붙여져야 되는 것과는 달리 甌駱을 병칭해서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駱자는 원래 壯族 언어로는 地名을 가리키는데, 산록이나 산기슭을 壯語로는 六(lok)이라고 하며, ‘六’과 ‘駱’은 음이 비슷하다. 壯族은 원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한자로 표기할 때 각양각색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은데, 이를테면 『廣州記』에서 말한 ‘駱田’은 바로 ‘六田’ 즉, 산기슭 사이에 있는 밭을 말한다(黃現璠, 『壯族通史』, 廣西民族出版社, 1988).
닫기
등을 군사로 위협하는 한편, 또 다른 한편에서는 많은 선물을 보내 이들의 환심을 사서 그 밑에 복속시켰다.주 014
각주 014)
『史記』에는 이 구절이 “佗因此以兵威邊, 財物賂遺閩越․西甌․駱, 役屬焉”으로 되어 있어, 漢의 변방을 위협하는 한편 閩越, 西甌, 駱 등에는 선물을 보내 그들을 회유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漢書』에는 군사로 위협하는 대상과 재물로 회유한 대상이 모두 閩越, 西甌, 駱 등이 된다. 이처럼 구절을 이으면 해석에 미묘한 차이가 생기게 된다.
닫기
이로써 남월은 동서로 만여 리나 되었다. 마침내 조타는 황옥(黃屋)주 015
각주 015)
黃屋 : 『史記集解』에 인용된 蔡邕의 말에 따르면, 황색의 비단으로 속을 만든 수레 덮개를 말한다. 좌독과 함께 漢代에는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거마 장식으로 황제의 의례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닫기
과 좌독(左纛)주 016
각주 016)
左纛 : 황제의 마차를 장식하는 기인데, 물소 꼬리털이나 꿩의 꼬리 깃털로 만든다. 『史記』 「項羽本紀」, “紀信乘黃屋車, 傅左纛”의 『集解』注에 인용된 李斐에 따르면, 纛은 깃털로 만든 幢으로 황제의 수레 저울대 왼쪽 위에 꽂는 장식물이라고 하였다. 또 蔡邕은 犛牛, 즉 장모의 털이 검은 소의 꼬리털로 만들며, 곁마 머리에 두거나 혹은 수레 바탕 위에 둔다고 하였다. 秦漢代에는 黃屋과 함께 황제의 거마행렬을 장식하는 상징물로 취급되었다.
닫기
을 갖춘 수레를 타고 칭제(稱制)주 017
각주 017)
稱制 : 秦始皇이 천하를 통일한 뒤 황제라 칭하고 그에 걸맞는 황제 제도를 제정하였는데, 황제의 명령을 ‘制’라 칭하고 그 공문을 ‘詔’라고 하였다. 이로부터 황제가 즉위하여 집정하는 것을 ‘稱制’라고 하였다. 예를 들면, 『史記』 「魏其武安侯列傳」에 “孝景崩, 即日太子立, 稱制, 所鎮撫多有田蚡賓客計筴”라고 하였고, 『後漢書』 「章帝紀」에도 “帝親稱制臨決”이라고 한 것이 그 예이다.
닫기
하는 등 중국과 [황제의 의례를] 같이 하였다[與中國侔].주 018
각주 018)
與中國侔 : 顔師古는 ‘侔’를 ‘等’ 즉 대등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닫기


  • 각주 001)
    高后 : 漢高祖 劉邦의 부인인 呂雉. 高祖 사후 아들 惠帝가 그 뒤를 잇자 실권을 행사하였다. 惠帝마저 재위 7년만에 사망한 뒤 혜제의 아들 少帝 恭을 세웠다가 자기에게 순종하지 않자 폐위시켜 죽이고 동생인 常山王 弘을 제위에 앉히고 여씨 일파를 중용하는 등 한초 정계를 주름잡았다. 司馬遷은 이 때문에 「呂太后本紀」를 두어 本紀에 넣었고 『漢書』도 「高后紀」를 두어 惠帝 사후 高后가 臨朝稱制한 후부터 高后 元年~8년까지 紀年 형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史記』에는 ‘南越’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關市 : 원래 關과 市에서 교역하는 것을 말하는데 『國語』 「齊語」에 “關市幾(稽)而不征”이라 하였고, 『周禮』「天官」의 九賦 중에 “關市之賦”가 있으며, 睡虎地秦簡의 秦律에도 ‘關市律’이 있어 關市에서 교역하는 데 일정한 원칙과 법규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漢代에는 匈奴와 南越 등과의 교역을 위해 關市를 설치, 운용하였는데, 흉노의 경우 ‘胡市’라고 불렀다. 高后 때 남월과의 교역을 금지한 데에서 알 수 있듯이, 漢은 이민족과 화해 또는 통제하는 방법으로 關市를 하나의 통제책으로 이용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高皇帝 : 『史記』에는 ‘高帝’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長沙王 : 長沙共王 吳右를 말하며, 기원전 186~기원전 178년까지 재위하였으며, 초대 長沙王 吳芮의 曾孫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南海 : 『史記』에는 南越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南武帝 : 『史記』에는 ‘南越武帝’로 되어 있다. 『漢書』 「高后紀」에도 ‘南武帝’로 되어 있는데, 顔師古注를 보면, 韋昭는 살아 있을 때 武帝라고 칭한 것은 옛날 제도를 알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했는데, 顔師古는 이에 대해 반박하여, 成湯이 ‘吾 武甚’이라 하며 스스로 武王이라 한 것을 근거로 옛날 제도와는 상관없다고 하고 있다(韋昭曰, “生以武爲號, 不稽古也.” 師古曰, “此說非也. 成湯曰 ‘吾武甚’, 因自號武王. 佗言武帝亦猶是耳, 何謂其不稽古乎?”).
     바로가기
  • 각주 008)
    『史記』에는 ‘敗數縣’ 다음에 ‘敗數縣而去焉’라고 하여 ‘부수고 돌아가다’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9)
    隆慮侯 竈 : 『索隱』에 인용된 韋昭에 따르면, 隆慮侯의 隆慮는 縣의 이름이며 河內郡 소속이라고 한다. 『漢書』「高后紀」 注에 인용된 應劭에 따르면, 隆慮는 원래 林慮인데, 殤帝를 휘하여 隆慮로 고쳤다고 한다. 林慮는 현재 河南省 林縣에 있다. 隆慮侯 竈의 姓은 周이다. 顔師古는 周竈라고 하였는데, 周竈는 漢高祖 劉邦을 도와 項羽를 친 공으로 漢 高祖 6년(전 201) 正月에 隆慮侯에 책봉된 인물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0)
    『史記』에는 ‘踰嶺’으로 표기되었는데, 『索隱』은 이 영이 陽山嶺(현재 廣東省 陽山縣 경내)으로 추정하고 있다. 顔師古注는 『史記』와 같이 “隃與踰同. 下皆類此”라고 하여 ‘고개를 넘다’로 해석하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1)
    閩越 : 중국 남방의 百越族의 한 지류이다. 주요 근거지는 지금의 福建省 武夷山에서 臺灣海峽에 이르는 일대이다. 先秦시대부터 특유의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벼농사와 어로로 생활을 영위하였다. 閩越의 역사에 대해서는 『史記』 「東越列傳」이 立傳되어 전해지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西甌 : 『漢書』 「西南夷兩粵」에 따르면, “蠻夷中, 西有西甌, 衆半羸, 南面稱王 ; 東有閩粵, 其衆數千人 ; 亦稱王”이라 하여 동쪽의 閩越과 대칭하여 서쪽의 만이를 西甌라 한 것을 알 수 있다. 顔師古도 西甌는 곧 駱越이며, 西라고 한 것은 東甌와 구별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西甌卽駱越也. 言西者, 以別東甌也.”). 이처럼 사서에는 어떤 때에는 낙월이라 하고, 또 어떤 때는 서구라고 하며 또 어떤 때에는 서구와 낙월이라 병칭할 때에도 있어 매우 혼란스럽다. 그러나 『考證』이 지적하듯이(4652쪽), 閩越, 西甌, 駱은 각각 별개의 나라로 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13)
    駱 : 『集解』는 『漢書音義』를 인용하여 ‘駱越’이라 하였다. 『索隱』 또한 鄒氏의 말을 인용하여 駱越이라 하는 한편, 姚氏의 말을 인용하여, 『廣州記』에 “交趾에는 駱田이 있는데, 潮水가 위 아래로 흘러들어가 그 밭을 일구어 먹고 사는 사람들을 ‘駱人’이라 부른다. 그래서 駱王도 있고 駱侯도 있다. 또 그 밖의 여러 현에서는 자칭 ‘駱將’이라 하며 銅印에 靑綬를 하니 오늘날의 令長에 해당한다. 뒤에 蜀王의 아들이 군대를 이끌고 가서 駱侯를 토벌한 뒤 安陽王이라 자칭하며 치소를 封溪縣에 두었다. 뒤에 南越王 尉他가 安陽王을 쳐서 두 명의 사자로 하여금 交阯와 九眞郡의 사람들을 다스리도록 하였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駱은 바로 甌駱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西甌는 하나의 국명으로 여기의 駱은 『考證』(4652쪽)에 따르면, 아래 문장에 ‘其西甌駱裸國’과 같이 西甌와 駱裸처럼 駱 아래에 裸자가 덧붙여져야 되는 것과는 달리 甌駱을 병칭해서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駱자는 원래 壯族 언어로는 地名을 가리키는데, 산록이나 산기슭을 壯語로는 六(lok)이라고 하며, ‘六’과 ‘駱’은 음이 비슷하다. 壯族은 원래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한자로 표기할 때 각양각색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은데, 이를테면 『廣州記』에서 말한 ‘駱田’은 바로 ‘六田’ 즉, 산기슭 사이에 있는 밭을 말한다(黃現璠, 『壯族通史』, 廣西民族出版社, 1988).
     바로가기
  • 각주 014)
    『史記』에는 이 구절이 “佗因此以兵威邊, 財物賂遺閩越․西甌․駱, 役屬焉”으로 되어 있어, 漢의 변방을 위협하는 한편 閩越, 西甌, 駱 등에는 선물을 보내 그들을 회유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漢書』에는 군사로 위협하는 대상과 재물로 회유한 대상이 모두 閩越, 西甌, 駱 등이 된다. 이처럼 구절을 이으면 해석에 미묘한 차이가 생기게 된다.
     바로가기
  • 각주 015)
    黃屋 : 『史記集解』에 인용된 蔡邕의 말에 따르면, 황색의 비단으로 속을 만든 수레 덮개를 말한다. 좌독과 함께 漢代에는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는 거마 장식으로 황제의 의례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6)
    左纛 : 황제의 마차를 장식하는 기인데, 물소 꼬리털이나 꿩의 꼬리 깃털로 만든다. 『史記』 「項羽本紀」, “紀信乘黃屋車, 傅左纛”의 『集解』注에 인용된 李斐에 따르면, 纛은 깃털로 만든 幢으로 황제의 수레 저울대 왼쪽 위에 꽂는 장식물이라고 하였다. 또 蔡邕은 犛牛, 즉 장모의 털이 검은 소의 꼬리털로 만들며, 곁마 머리에 두거나 혹은 수레 바탕 위에 둔다고 하였다. 秦漢代에는 黃屋과 함께 황제의 거마행렬을 장식하는 상징물로 취급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7)
    稱制 : 秦始皇이 천하를 통일한 뒤 황제라 칭하고 그에 걸맞는 황제 제도를 제정하였는데, 황제의 명령을 ‘制’라 칭하고 그 공문을 ‘詔’라고 하였다. 이로부터 황제가 즉위하여 집정하는 것을 ‘稱制’라고 하였다. 예를 들면, 『史記』 「魏其武安侯列傳」에 “孝景崩, 即日太子立, 稱制, 所鎮撫多有田蚡賓客計筴”라고 하였고, 『後漢書』 「章帝紀」에도 “帝親稱制臨決”이라고 한 것이 그 예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8)
    與中國侔 : 顔師古는 ‘侔’를 ‘等’ 즉 대등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고후(高后), 조타, 고황제(高皇帝), 고후(高后), 조타, 남무제(南武帝), 고후, 융려후(隆慮侯), 조(竈), 고후, 조타, 조타
지명
월(粤), , 남월, 장사국, [양산]령, 남월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남월이 영토를 확장하고 황제의 의례를 같이 사용함 자료번호 : jo.k_0002_0095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