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당몽(唐蒙)이 파촉(巴蜀)과 함께 야량(夜郞)을 개통하고 군현을 설치함

  • 국가
    서남이(西南夷)
건원(建元) 6년(전135)에 대행(大行)주 001
각주 001)
大行 : 귀순한 蠻夷를 담당하던 典客을 개칭한 것.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 참조.
닫기
왕회(王恢) 주 002
각주 002)
王恢 : 西漢의 將軍이다. 燕나라 사람으로 여러 차례 邊吏를 지낸 까닭에 胡 즉, 흉노의 일에 밝았다. 建元 元年(전140)에 匈奴가 화친을 청하였을 때, 大行의 職에 있으면서 韓安國과 조정에서 논쟁을 벌여 화친에 반대하였다. 元光 元年(전134) 馬邑 사건으로 武帝의 질책을 받자, 자살하였다.
닫기
가 동월(東粤)을 공격하자, 동월은 그 왕 영(郢)을 죽여 [항복의 의사를] 알렸다. 왕회는 군사적 위세를 바탕으로 파양령(番陽令) 당몽(唐蒙)을 보내 남월(南粤)을 넌지시 일러 깨우치게 하였다.주 003
각주 003)
師古가 말하기를, “番의 音은 蒲와 何의 반절이다. 風은 諷으로 읽어야 한다”라고 하였다(師古曰, “番音蒲何反. 風讀曰諷.”). ‘파양(番陽)’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 참조.
닫기
남월당몽에게 에서 나는주 004
각주 004)
枸醬 : 晉代 사람으로 『漢書音義』를 지은 晉灼이 말하기를, “枸의 音은 矩이다”라고 하였다(晉灼曰, “枸音矩,”). 劉德이 말하기를, “枸樹는 뽕나무 같이 생겼는데, 그 오디의 길이가 2,3촌쯤 되며, 맛이 시다. 그 열매를 취하여 醬을 담그면 맛이 있는데, 蜀 지역 사람들이 珍味로 여긴다”라고 하였다(劉德曰, “枸樹如桑, 其椹長二三寸, 味酢. 取其實以爲醬, 美, 蜀人以爲珍味.”). 師古가 말하기를, “劉德이 說은 그르다. 열매의 모양이 뽕나무의 오디처럼 생겼을 뿐이다. 木에서 나므로, 樹가 아니다. 열매 또한 길이가 2,3촌까지 되지 않으며, 맛은 또 맵지 시지는 않다. 오늘날의 宕渠에 가면 얻을 수 있다. 食은 飤로 읽어야 한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劉說非也. 子形如(赤)[桑]椹耳. 緣木而生, 非樹也. 子又不長二三寸, 味尤辛, 不酢. 今宕渠則有之. 食讀曰飤.”).
닫기
구장(枸醬)을 대접하였다. 당몽이 들여온 곳을 물으니, 말하기를, “서북쪽 장가강(牂柯江)을 통하여 오는데,주 005
각주 005)
師古가 말하기를, “道는 由(말미암다)로 해석해야 하는데, 이곳으로부터 온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道, 由也, 由此而來也.”).
닫기
강은 너비가 수 리(里)이며, 번우성(番禺城) 주 006
각주 006)
番禺 : 師古가 말하기를, “番의 音은 普와 安의 반절(번)이다. 禺의 音은 隅(우)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番音普安反. 禺音隅.”). ‘番’은 ‘番陽’의 예에서처럼 ‘파’의 음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사고의 설명을 좇아 ‘번우’로 읽었다. ‘번우’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 참조.
닫기
아래로 나옵니다”라고 하였다. 당몽이 돌아와 장안(長安)에 이르러 촉(蜀)에서 온 상인에게 [그 사정을] 물으니, 오직 지방에서만 구장이 나는데, 대부분 몰래 가지고 나가서 야랑(夜郞)에 판다고 하였다. 야랑장가강 가에 있는데, 그 강의 너비가 100여 보(步)로 족히 배를 띄울 만하다고 하였다. (또) 남월은 재물을 가지고 야랑을 역속(役屬)하여 [그 영향력이] 서쪽으로 동사(桐師)에 이르지만, 신하로 부리지는 못 한다고 하였다. 당몽이 이를 바탕으로 상서(上書)하여 처자를 설득하여 말하기를, “남월왕은 황옥좌독(黃屋左纛)의 제도를 시행하고,주 007
각주 007)
師古가 말하기를, “天子의 車服을 사용하였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言爲天子之車服”).
닫기
[다스리는] 땅은 동서 만여 리(里)라 하니, 이름은 외신(外臣)주 008
각주 008)
外臣 : 漢代의 中國 郡縣 바깥에 존재하며 중국의 황제와 군신관계를 맺은 자를 지칭한다. ‘외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역주 참조.
닫기
이로되, 실은 한 주(州)주 009
각주 009)
州 : 여기에서의 ‘州’는 部刺史의 감찰구역으로서의 ‘州’나 後漢代 13州의 하나로서의 ‘州’와는 그 의미하는 바가 조금 다르다. 여기에서의 주는 오히려 ‘九州’의 州 특히 우임금이 정비하기 이전의 독립적이고 격절된 하나의 구역 내지 자체적 세계로서의 ‘州’라는 의미에 가깝다.
닫기
의 주인(主人)입니다. 지금 장사(長沙) 주 010
각주 010)
長沙 : 長沙國을 가리킨다. 장사국은 前漢시기 湖南에 출현한 제일의 諸侯封國인데, 기원전 202년에 세워지고 7년에 廢封되어 209년간 존속하였다. 漢高祖가 봉건한 이성제후 가운데 한고조 사망 이후에도 존속한 유일한 제후왕이다. 그 강역은 秦代의 長沙郡 영역을 이어받았고, 장사군의 치소인 ‘湘縣’(오늘날의 臨湘縣)을 國都로 삼았다.
닫기
예장(豫章) 주 011
각주 011)
豫章 : 漢代의 郡名. 현재의 江西省 일대에 해당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역주 참조.
닫기
을 통해 가면, 물길이 끊기는 경우가 많아 가기 어렵습니다. 제가 듣건대, 야랑이 보유한 정예 군사가 10여만은 족히 된다고 하니, 장가강에 배를 띄워 불시에 [군대를] 내보내는 것이 월(越)을 제압할 수 있는 하나의 기책(奇策)입니다. 진실로 한(漢)의 강성함과 파촉(巴蜀)의 넉넉함이라면, 야랑(夜郞)에 이르는 길을 개통하여 [군현을 설치하고] 관리를 두는 것(置吏)은 매우 쉬운 일입니다”라고 하니, 천자가 그것을 허락하였다. 그리고 당몽을 낭중장(郞中將)에 제수(除授)하여 천 인의 군사와 보급부대주 012
각주 012)
‘食重’ : 師古가 말하기를, “食糧과 衣重이다. 重의 音은 直과 用의 반절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食糧及衣重也. 重音直用反.”). 衣는 輜와 통한다. 輜는 의복 따위 가벼운 물건(物件), 重은 무기(武器) 따위 무거운 물건을 뜻한다. 따라서 衣重은 말이나 수레 따위에 실은 짐, 그리고 군대(軍隊)의 여러 가지 군수 물품(物品), 탄약(彈藥)·식량(食糧)·장막(帳幕)·피복 따위 물건(物件)을 통칭하는 말이다.
닫기
만여 인을 이끌고 파(巴)의 작관(筰關)[符關]주 013
각주 013)
『史記』에서는 ‘莋關’이라고 하였는데, 『史記』의 기재가 옳다고 생각된다.
닫기
으로부터 들어가게 하니, 마침내 야랑후(夜郞侯) 다동(多同) 주 014
각주 014)
師古가 말하기를, “多同은 그 侯의 이름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多同, 其侯名也.”).
닫기
을 만났다. 당몽이 하사품을 넉넉하게 내리고, 군사적 위협과 외교적 이득으로써 타이르고 훈계하니 [군현을 설치하여] 관리를 두기로 약(約)을 맺고, 야랑후의 아들을 현령(縣令)으로 삼도록 하였다.주 015
각주 015)
관리를 두기로 약속하고 야랑후의 아들을 현령으로 삼기로 한 데 대하여, 師古는 “漢의 縣을 본뜬 것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比之於漢縣也.”).
닫기
야랑 주변의 작은 읍(邑)들이 모두 한(漢)나라의 증백(繒帛)을 탐하였는데, 한(漢)나라에 이르는 길이 험하여 끝내 얻을 수 없으리라 여기고, 결국 오래지 않아 곧 당몽의 약(約)을 받아들였다. 귀환하여 보고하니, 곧 건위군(犍爲郡) 주 016
각주 016)
犍爲郡 : 前漢 建元 6년(전135)에 廣漢郡 남부를 나누어 夜郞國 지역과 함께 설치하여 益州에 속하게 하였다. 治所는 鄨縣(오늘날 貴州 遵義市 서부)에 두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역주 참조.
닫기
으로 삼았다. 의 군사들을 징발하여 길을 닦았는데, 북도(僰道)주 017
각주 017)
僰道 : 전국시대 秦이 설치한 縣으로 현 四川의 宜賓市에 해당한다. 일설에는 宜賓縣 서쪽의 安邊場鎭이라 하기도 한다(史爲樂, 2005 : 2791).
닫기
에서 장가강으로 향하였다. 출신인 사마상여(司馬相如) 주 018
각주 018)
司馬相如(전179? ~ 전117) : 字는 長卿이며, 현재의 四川省 南充 蓬安 출신이다. 辭와 賦로 유명하며, 景帝時에 재물을 바쳐 郞이 되었고 武騎常侍를 맡았으나, 景帝가 사부를 좋아하지 않는데다, 마침 입조한 사부를 좋아하는 양왕을 수종한 枚乘․鄒陽 등과 어울리게 되자 사직하고 양으로 갔다. 枚乘․鄒陽 등과 어울리면서 「子虛賦」를 지었다. 이후 귀향하여 임공에서 거부 卓王孫의 딸과 결혼하여 부자가 되었다. 漢武帝가 卽位 후에 「子虛賦」를 보고 크게 기뻐하자, 狗監 楊得意의 推薦으로 다시 입궐하게 된다. 司馬相如는 漢武帝를 위하여 「上林賦」를 지었다. 이후 본문에 보이는 바와 같이 郎中將(中郞將)으로서 西夷道 개통에 종사하게 된다.
닫기
또한 말하기를, 서이(西夷)의 공(邛)과 작(筰)은 군(郡)을 설치할 만하다고 하였다. 사마상여를 낭중장(郞中將)주 019
각주 019)
郞中將 : 『漢書』 「百官公卿表」에 따르면, “郞은 [궁 안에서는] 門戶를 지키고 [황제의] 외출시에는 車騎를 지키는 일을 맡는다. [그 종류에는] 議郞․中郞․侍郞․郞中이 있고, 모두 定員이 없으며, 많으면 千명에 이른다. 議郞․中郞은 秩이 比六百石이고, 侍郞은 比四百石이며, 郞中은 比三百石이다(『漢書』 卷19上 「百官公卿表」 第7上, 727쪽).” 『考證』에 따르면, 「司馬相如傳」에서는 郞中將을 中郞將이라 적었다(瀧川資言, 1935 : 4696)고 했는데, 낭중장은 ‘郎中의 將’으로, 중랑장은 ‘中郞의 將’으로 푸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듯하다. 『漢書』 「百官公卿表」에 따르면, 平帝 元始 元年(후 1년) 謁者의 명칭을 虎賁郞으로 바꾸고, 中郞將을 두었으며, 秩이 比二千石이라 하였는데(『漢書』 卷19上 「百官公卿表」 第7上, 727쪽), 이 중랑장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닫기
으로 삼아 가서 깨우치게 하니, 모두 남이(南夷)처럼 하였다. 도위(都尉)주 020
각주 020)
都尉 : 여기에서의 都尉는 郡都尉를 지칭하며, 특히 ‘部都尉’의 설치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역주 참조.
닫기
하나와 10여 현(縣)을 설치하여 촉군(蜀郡)에 속(屬)하게 하였다.

  • 각주 001)
    大行 : 귀순한 蠻夷를 담당하던 典客을 개칭한 것.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2)
    王恢 : 西漢의 將軍이다. 燕나라 사람으로 여러 차례 邊吏를 지낸 까닭에 胡 즉, 흉노의 일에 밝았다. 建元 元年(전140)에 匈奴가 화친을 청하였을 때, 大行의 職에 있으면서 韓安國과 조정에서 논쟁을 벌여 화친에 반대하였다. 元光 元年(전134) 馬邑 사건으로 武帝의 질책을 받자, 자살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師古가 말하기를, “番의 音은 蒲와 何의 반절이다. 風은 諷으로 읽어야 한다”라고 하였다(師古曰, “番音蒲何反. 風讀曰諷.”). ‘파양(番陽)’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4)
    枸醬 : 晉代 사람으로 『漢書音義』를 지은 晉灼이 말하기를, “枸의 音은 矩이다”라고 하였다(晉灼曰, “枸音矩,”). 劉德이 말하기를, “枸樹는 뽕나무 같이 생겼는데, 그 오디의 길이가 2,3촌쯤 되며, 맛이 시다. 그 열매를 취하여 醬을 담그면 맛이 있는데, 蜀 지역 사람들이 珍味로 여긴다”라고 하였다(劉德曰, “枸樹如桑, 其椹長二三寸, 味酢. 取其實以爲醬, 美, 蜀人以爲珍味.”). 師古가 말하기를, “劉德이 說은 그르다. 열매의 모양이 뽕나무의 오디처럼 생겼을 뿐이다. 木에서 나므로, 樹가 아니다. 열매 또한 길이가 2,3촌까지 되지 않으며, 맛은 또 맵지 시지는 않다. 오늘날의 宕渠에 가면 얻을 수 있다. 食은 飤로 읽어야 한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劉說非也. 子形如(赤)[桑]椹耳. 緣木而生, 非樹也. 子又不長二三寸, 味尤辛, 不酢. 今宕渠則有之. 食讀曰飤.”).
     바로가기
  • 각주 005)
    師古가 말하기를, “道는 由(말미암다)로 해석해야 하는데, 이곳으로부터 온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道, 由也, 由此而來也.”).
     바로가기
  • 각주 006)
    番禺 : 師古가 말하기를, “番의 音은 普와 安의 반절(번)이다. 禺의 音은 隅(우)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番音普安反. 禺音隅.”). ‘番’은 ‘番陽’의 예에서처럼 ‘파’의 음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사고의 설명을 좇아 ‘번우’로 읽었다. ‘번우’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7)
    師古가 말하기를, “天子의 車服을 사용하였음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言爲天子之車服”).
     바로가기
  • 각주 008)
    外臣 : 漢代의 中國 郡縣 바깥에 존재하며 중국의 황제와 군신관계를 맺은 자를 지칭한다. ‘외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역주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9)
    州 : 여기에서의 ‘州’는 部刺史의 감찰구역으로서의 ‘州’나 後漢代 13州의 하나로서의 ‘州’와는 그 의미하는 바가 조금 다르다. 여기에서의 주는 오히려 ‘九州’의 州 특히 우임금이 정비하기 이전의 독립적이고 격절된 하나의 구역 내지 자체적 세계로서의 ‘州’라는 의미에 가깝다.
     바로가기
  • 각주 010)
    長沙 : 長沙國을 가리킨다. 장사국은 前漢시기 湖南에 출현한 제일의 諸侯封國인데, 기원전 202년에 세워지고 7년에 廢封되어 209년간 존속하였다. 漢高祖가 봉건한 이성제후 가운데 한고조 사망 이후에도 존속한 유일한 제후왕이다. 그 강역은 秦代의 長沙郡 영역을 이어받았고, 장사군의 치소인 ‘湘縣’(오늘날의 臨湘縣)을 國都로 삼았다.
     바로가기
  • 각주 011)
    豫章 : 漢代의 郡名. 현재의 江西省 일대에 해당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역주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12)
    ‘食重’ : 師古가 말하기를, “食糧과 衣重이다. 重의 音은 直과 用의 반절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食糧及衣重也. 重音直用反.”). 衣는 輜와 통한다. 輜는 의복 따위 가벼운 물건(物件), 重은 무기(武器) 따위 무거운 물건을 뜻한다. 따라서 衣重은 말이나 수레 따위에 실은 짐, 그리고 군대(軍隊)의 여러 가지 군수 물품(物品), 탄약(彈藥)·식량(食糧)·장막(帳幕)·피복 따위 물건(物件)을 통칭하는 말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3)
    『史記』에서는 ‘莋關’이라고 하였는데, 『史記』의 기재가 옳다고 생각된다.
     바로가기
  • 각주 014)
    師古가 말하기를, “多同은 그 侯의 이름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多同, 其侯名也.”).
     바로가기
  • 각주 015)
    관리를 두기로 약속하고 야랑후의 아들을 현령으로 삼기로 한 데 대하여, 師古는 “漢의 縣을 본뜬 것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比之於漢縣也.”).
     바로가기
  • 각주 016)
    犍爲郡 : 前漢 建元 6년(전135)에 廣漢郡 남부를 나누어 夜郞國 지역과 함께 설치하여 益州에 속하게 하였다. 治所는 鄨縣(오늘날 貴州 遵義市 서부)에 두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역주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17)
    僰道 : 전국시대 秦이 설치한 縣으로 현 四川의 宜賓市에 해당한다. 일설에는 宜賓縣 서쪽의 安邊場鎭이라 하기도 한다(史爲樂, 2005 : 2791).
     바로가기
  • 각주 018)
    司馬相如(전179? ~ 전117) : 字는 長卿이며, 현재의 四川省 南充 蓬安 출신이다. 辭와 賦로 유명하며, 景帝時에 재물을 바쳐 郞이 되었고 武騎常侍를 맡았으나, 景帝가 사부를 좋아하지 않는데다, 마침 입조한 사부를 좋아하는 양왕을 수종한 枚乘․鄒陽 등과 어울리게 되자 사직하고 양으로 갔다. 枚乘․鄒陽 등과 어울리면서 「子虛賦」를 지었다. 이후 귀향하여 임공에서 거부 卓王孫의 딸과 결혼하여 부자가 되었다. 漢武帝가 卽位 후에 「子虛賦」를 보고 크게 기뻐하자, 狗監 楊得意의 推薦으로 다시 입궐하게 된다. 司馬相如는 漢武帝를 위하여 「上林賦」를 지었다. 이후 본문에 보이는 바와 같이 郎中將(中郞將)으로서 西夷道 개통에 종사하게 된다.
     바로가기
  • 각주 019)
    郞中將 : 『漢書』 「百官公卿表」에 따르면, “郞은 [궁 안에서는] 門戶를 지키고 [황제의] 외출시에는 車騎를 지키는 일을 맡는다. [그 종류에는] 議郞․中郞․侍郞․郞中이 있고, 모두 定員이 없으며, 많으면 千명에 이른다. 議郞․中郞은 秩이 比六百石이고, 侍郞은 比四百石이며, 郞中은 比三百石이다(『漢書』 卷19上 「百官公卿表」 第7上, 727쪽).” 『考證』에 따르면, 「司馬相如傳」에서는 郞中將을 中郞將이라 적었다(瀧川資言, 1935 : 4696)고 했는데, 낭중장은 ‘郎中의 將’으로, 중랑장은 ‘中郞의 將’으로 푸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듯하다. 『漢書』 「百官公卿表」에 따르면, 平帝 元始 元年(후 1년) 謁者의 명칭을 虎賁郞으로 바꾸고, 中郞將을 두었으며, 秩이 比二千石이라 하였는데(『漢書』 卷19上 「百官公卿表」 第7上, 727쪽), 이 중랑장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바로가기
  • 각주 020)
    都尉 : 여기에서의 都尉는 郡都尉를 지칭하며, 특히 ‘部都尉’의 설치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역주 참조.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왕회(王恢), 영(郢), 왕회, 당몽(唐蒙), 당몽, 당몽, 당몽, 당몽, 당몽, 다동(多同), 당몽, 당몽, 사마상여(司馬相如), 사마상여
지명
남월(南粤), 남월, , 장가강(牂柯江), 번우성(番禺城), 장안(長安), 촉(蜀), , 야랑(夜郞), 야랑, 장가강, 남월, 야랑, 동사(桐師), 장사(長沙), 예장(豫章), 야랑, 장가강, 한(漢), 파촉(巴蜀), 야랑(夜郞), 파(巴), 야랑, 한(漢)나라, 한(漢)나라, 건위군(犍爲郡), , , 장가강, , 촉군(蜀郡)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당몽(唐蒙)이 파촉(巴蜀)과 함께 야량(夜郞)을 개통하고 군현을 설치함 자료번호 : jo.k_0002_0095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