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서남이(西南夷)의 군장(君長)을 종족과 생활양식, 풍속,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

  • 국가
    서남이(西南夷)
남이(南夷) 군장(君長)은 열을 헤아리는데, [그중에] 야랑(夜郞) 주 001
각주 001)
夜郞 : 顔師古(581~645)가 말하기를, “나중에 縣이 되어 牂柯郡에 속하게 된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後爲縣, 屬牂柯郡.” 이하 인용된 주석에서의 ‘師古’는 ‘顔師古’이다.). 야랑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列傳」 譯註를 참조할 것.
닫기
이 가장 크다. 그 서쪽에 미막(靡莫)의 족속이 열을 헤아리는데, 전(滇) 주 002
각주 002)
滇 : 師古가 말하기를, “그 지역에 滇池가 있는 까닭에, 이를 좇아 이름을 붙인 것이다. 滇의 音은 顚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地有滇池, 因爲名也. 滇音顚.”). ‘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列傳」 譯註를 참조할 것.
닫기
이 가장 크다. 의 이북에도 군장이 열을 헤아리는데, 공도(邛都)주 003
각주 003)
邛都 : 師古가 말하기를, “오늘날의 邛州는 본디 그들의 땅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今之邛州本其地.”). ‘공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列傳」 譯註를 참조할 것.
닫기
가 가장 크다. 이들은 모두 추계(魋結)주 004
각주 004)
魋結 : 師古가 말하기를, “椎의 音은 直과 追의 반절이다. 結은 髻라고 읽는다. 상투를 트는데, 몽치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陸賈傳」과 「貨殖傳」에서는 모두 魋字로 적었다. 音과 뜻이 같다. 이 아래 〈朝鮮傳〉 또한 마찬가지다”이라고 하였다(師古曰, “椎音直追反. 結讀曰髻. 爲髻如椎之形也. 陸賈傳及貨殖傳皆作魋字, 音義同耳. 此下朝鮮傳亦同”).
닫기
하고, 밭을 갈며, 읍취(邑聚)의 주거지를 이루고 산다. 그 바깥에 서쪽으로 동사(桐師) 이동(以東)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북쪽으로 엽유(葉楡)주 005
각주 005)
葉楡 : 師古가 말하기를, “葉楡는 澤의 이름이며, 이로 인하여 호칭을 만들었다. 나중에 縣을 설치하여 益州郡에 속하게 하였다”라고 했다(師古曰, “葉楡, 澤名, 因以立號, 後爲縣, 屬益州郡.”). ‘엽유’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를 참조할 것.
닫기
에 이르는 지역에 이름하여 수(嶲)와 곤명(昆明)주 006
각주 006)
昆明 : 師古가 말하기를, “雟는 곧 지금의 雟州이다. 昆明은 또 그 西南쪽에 있으며, 곧 지금의 南寧州인데, 諸爨이 거주하는 그 땅이다. 雟의 音은 髓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雟卽之今雟州也. 昆明又在其西南, 卽今之南寧州, 諸爨所居, 是其地也. 雟音髓.”).
닫기
이라 하는 족속이 있다. 변발(編髮)주 007
각주 007)
編髮 : 師古가 말하기를, “編의 音은 步와 典의 반절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編音步典反”).
닫기
에 가축을 따라 옮겨 다니며, 일정한 거처가 없고 군장도 없는데, 땅이 사방 수천 리(里)이다. 수로부터 동북쪽으로 군장이 열을 헤아리는데, 사(徙)와 작도(筰都)주 008
각주 008)
徙와 筰都 : 師古가 말하기를, “徙와 莋都 두 國이다. 徙는 나중에 徙縣이 되었으며, 蜀郡에 속하였다. 莋都는 나중에 沈黎郡이 되었다. 徙의 音은 斯이다. 莋의 音은 材와 各의 반절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徙及莋都, 二國也. 徙後爲徙縣, 屬蜀郡. 莋都後爲沈黎郡. 徙音斯. 莋音材各反.”). ‘사와 작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를 참조할 것.
닫기
가 가장 크다. 작으로부터 동북쪽에도 군장이 열을 헤아리는데, 염방(冉駹)주 009
각주 009)
冉駹 : 師古는 말하기를, “지금의 夔州와 開州의 首領 중에는 姓이 冉인 자들이 많은데, 본디 모두 冉種이다. 駹의 音은 尨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今夔州․開州首領多姓冉者, 本皆冉種也. 駹音尨.”). 『史記』 「西南夷列傳」에서는 ‘冄駹’으로 표기하였다. ‘염방’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列傳」 譯註를 참조할 것.
닫기
이 가장 크다. 그 풍속은 어떤 이들은 정착하여 사나,주 010
각주 010)
師古가 말하기를, “土著은 거처가 일정하여 토지에 붙어 사는 것을 말한다. 著의 音은 直과 略의 반절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土著, 謂有常處著於土地也. 著音直略反”).
닫기
어떤 부류는 옮겨 다닌다. 촉(蜀)의 서편에 있다. 방으로부터 동북쪽으로도 군장이 열을 헤아리는데, 백마(白馬)가 가장 크며, 모두 저(氐)의 부류이다. 이들은 모두 파촉(巴蜀)의 서남 바깥에 있는 만이(蠻夷)이다.

  • 각주 001)
    夜郞 : 顔師古(581~645)가 말하기를, “나중에 縣이 되어 牂柯郡에 속하게 된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後爲縣, 屬牂柯郡.” 이하 인용된 주석에서의 ‘師古’는 ‘顔師古’이다.). 야랑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列傳」 譯註를 참조할 것.
     바로가기
  • 각주 002)
    滇 : 師古가 말하기를, “그 지역에 滇池가 있는 까닭에, 이를 좇아 이름을 붙인 것이다. 滇의 音은 顚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地有滇池, 因爲名也. 滇音顚.”). ‘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列傳」 譯註를 참조할 것.
     바로가기
  • 각주 003)
    邛都 : 師古가 말하기를, “오늘날의 邛州는 본디 그들의 땅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今之邛州本其地.”). ‘공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列傳」 譯註를 참조할 것.
     바로가기
  • 각주 004)
    魋結 : 師古가 말하기를, “椎의 音은 直과 追의 반절이다. 結은 髻라고 읽는다. 상투를 트는데, 몽치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陸賈傳」과 「貨殖傳」에서는 모두 魋字로 적었다. 音과 뜻이 같다. 이 아래 〈朝鮮傳〉 또한 마찬가지다”이라고 하였다(師古曰, “椎音直追反. 結讀曰髻. 爲髻如椎之形也. 陸賈傳及貨殖傳皆作魋字, 音義同耳. 此下朝鮮傳亦同”).
     바로가기
  • 각주 005)
    葉楡 : 師古가 말하기를, “葉楡는 澤의 이름이며, 이로 인하여 호칭을 만들었다. 나중에 縣을 설치하여 益州郡에 속하게 하였다”라고 했다(師古曰, “葉楡, 澤名, 因以立號, 後爲縣, 屬益州郡.”). ‘엽유’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를 참조할 것.
     바로가기
  • 각주 006)
    昆明 : 師古가 말하기를, “雟는 곧 지금의 雟州이다. 昆明은 또 그 西南쪽에 있으며, 곧 지금의 南寧州인데, 諸爨이 거주하는 그 땅이다. 雟의 音은 髓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雟卽之今雟州也. 昆明又在其西南, 卽今之南寧州, 諸爨所居, 是其地也. 雟音髓.”).
     바로가기
  • 각주 007)
    編髮 : 師古가 말하기를, “編의 音은 步와 典의 반절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編音步典反”).
     바로가기
  • 각주 008)
    徙와 筰都 : 師古가 말하기를, “徙와 莋都 두 國이다. 徙는 나중에 徙縣이 되었으며, 蜀郡에 속하였다. 莋都는 나중에 沈黎郡이 되었다. 徙의 音은 斯이다. 莋의 音은 材와 各의 반절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徙及莋都, 二國也. 徙後爲徙縣, 屬蜀郡. 莋都後爲沈黎郡. 徙音斯. 莋音材各反.”). ‘사와 작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傳」 譯註를 참조할 것.
     바로가기
  • 각주 009)
    冉駹 : 師古는 말하기를, “지금의 夔州와 開州의 首領 중에는 姓이 冉인 자들이 많은데, 본디 모두 冉種이다. 駹의 音은 尨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今夔州․開州首領多姓冉者, 本皆冉種也. 駹音尨.”). 『史記』 「西南夷列傳」에서는 ‘冄駹’으로 표기하였다. ‘염방’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史記』 「西南夷列傳」 譯註를 참조할 것.
     바로가기
  • 각주 010)
    師古가 말하기를, “土著은 거처가 일정하여 토지에 붙어 사는 것을 말한다. 著의 音은 直과 略의 반절이다”라고 하였다(師古曰, “土著, 謂有常處著於土地也. 著音直略反”).
     바로가기

색인어
지명
야랑(夜郞), 전(滇), , 동사(桐師), 촉(蜀), 파촉(巴蜀)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남이(西南夷)의 군장(君長)을 종족과 생활양식, 풍속,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 자료번호 : jo.k_0002_0095_001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