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한나라가 흉노를 고립시킨 뒤 양신(楊信)을 사신으로 보내 태자를 볼모로 보낼 것을 요구했으나 흉노가 과거에 한 약속과 다르다면서 거절함

  • 국가
    흉노(匈奴)
한나라양신(楊信)을 흉노에 사신으로 보냈다.주 001
각주 001)
楊信을 匈奴에 보낸 것은 元封 4년(전109) 가을이어야 한다. 『漢書』의 기록(권6 「武帝紀」 元封 4年 秋條 “以匈奴弱, 可遂臣服, 乃遣使說之” : 196)에도 전109년으로 되어 있다.
닫기
이 무렵 한나라는 동쪽으로 예맥(穢貉)주 002
각주 002)
“濊”는 ‘穢’와 같은데, ‘薉’라고도 한다. 또한 貉도 貊과 같다(주223) 참조).
닫기
, 조선(朝鮮)을 정복해 군(郡)으로 삼고주 003
각주 003)
당시 漢나라는 元朔 元年(전128) 가을에 穢貉王 南閭가 朝鮮王 右渠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다음에 內屬하자 그곳에 蒼海郡을 두었다. 元封 3년(전108)에 朝鮮을 멸하고 그곳에 樂浪, 玄菟, 眞番, 臨屯의 네 개 군을 설치하였다(주224) 참조).
닫기
서쪽으로는 주천군(酒泉郡) 주 004
각주 004)
酒泉郡 : 군의 명칭으로 지금의 甘肅省 疏勒河 동쪽과 高臺縣 서쪽에 있었다. 漢나라에서는 元狩 2년(전121) 秋에 匈奴 昆邪王이 休屠王을 죽이고 투항했기 때문에 河西가 비게 되자 元鼎 2년(전115)에 張騫을 烏孫에 사신으로 보내 이곳으로 다시 돌아오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이 말을 듣지 않자 그 땅에 酒泉郡을 두었다. 酒泉郡의 治所는 祿福에 있었는데, 지금의 甘肅省 酒泉縣이다.
닫기
을 설치해 흉노와 강(羌)이 통하는 길을 막으며주 005
각주 005)
匈奴와 羌이 통하는 길을 끊는 것은 漢나라의 匈奴를 견제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전략 중 하나로서 그들을 포위하는 방식의 일환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鹽鐵論』(「西域篇」, “胡西役大宛․康居之屬, 南與群羌通.” : 321)에서도 동일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닫기
[한나라는]주 006
각주 006)
『史記』에는 “漢”이 있는데 저본에는 없다.
닫기
또한 서쪽으로 [대]월지주 007
각주 007)
전117년 이후 수년에 걸쳐 月氏는 匈奴의 공격을 받아 대부분 서쪽으로 옮겨갔다. 그들은 먼저 지금의 新疆維吾爾自治區 일리하 유역과 그 서쪽에 자리잡고 大月氏를 형성했다. 그리고 서쪽으로 옮겨가지 않고 祁蓮山으로 들어가 羌人과 雜居한 소수의 세력이 小月氏을 형성했다. 여기서는 大月氏를 가리킨다(주185) 참조).
닫기
, 대하(大夏) 주 008
각주 008)
大夏(전246∼전138) : 나라 명칭으로 박트리아(Bactria 또는 Bactriana)를 말한다. 힌두쿠시산맥과 아무다리아 사이, 즉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고대 그리스인이 세운 나라이다. 페르시아어에서는 Bākhtar, 아랍어와 인도어에서는 Bhalika로 표기한다. 전126년 張騫이 방문하였을 당시에는 大月氏의 침입을 받아 왕국이 망한 뒤였다고 한다. 「大宛列傳』에서는 大宛의 서남쪽으로 2천여 리 떨어진 곳에서 정착생활을 하여 성곽과 가옥을 가지고 있으며 大宛과 풍속이 같다고 하였다. 또 大君長은 없지만 때때로 성읍에 小長이 세워지고, 그 군대는 약하고 싸우기를 두려워하지만, 사람들은 장사는 잘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大月氏가 흉노의 압박으로 서쪽으로 도망쳐 와서 그들을 점령하고 모두 臣屬시켰다고 하였다. 대략 100여만 명이 되고, 도읍은 藍市城인데, 시장이 있어 각종 물건들을 판매하며, 그 동남쪽에는 身毒國이 있다고 하였다(『史記』 권123 「大宛列傳」 : 3164). 또한 『漢書』 「西域傳」에 따르면 大月氏가 본래 敦煌과 祁連 사이에 있다가 묵특선우에게 공격을 당해 그 왕의 두개골을 匈奴의 老上單于가 술잔을 만들었고, 대월지는 멀리 도망가 大宛의 서쪽으로 지나 大夏를 공격하여 복속시키고 嬀水 북쪽에 도읍을 삼고 王庭으로 삼았다고 되어 있다. 大夏의 일부는 月氏 공격을 받은 다음에 그 일부가 인도로 밀려들어가 명맥을 유지했다고 한다(『漢書』 권96上 「西域傳」 〈大宛國〉 : 3894~5).
닫기
와 [우호관계를 맺어] 교통하고 [한나라의] 옹주를 오손왕(烏孫王)에게 시집보냄으로써주 009
각주 009)
烏孫으로 시집간 공주는 漢 景帝의 손자 江都王 劉建의 딸 劉細君이다. 元封 6년(전105)에 烏孫王에게 출가하였다. 烏孫의 왕 昆莫은 그를 右夫人으로 삼았다. 武帝는 두 번에 걸쳐 宗室의 딸을 공주로 속여 烏孫王에게 출가시켰다(『漢書』 권96下 「西域傳」 〈烏孫國〉 : 3903).
닫기
흉노의 서쪽에서 [그를] 지원하던 여러 나라주 010
각주 010)
月氏와 大夏 등의 나라를 말한다.
닫기
를 [그로부터] 떼어 놓았다. 또한 북쪽으로 농경지를 더욱 확장해 현뢰(眩雷)주 011
각주 011)
眩雷 :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烏孫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지금의 新疆維吾爾自治區 塔城縣 부근에 살았다. 혹 그 위치를 西河郡 西北邊 또는 內蒙古自治區 鄂托克旗地域이라고도 하나 정확하게 알 수 없다. 『史記』에는 “胘靁”로 되어 있다.
닫기
까지 나아가 요새를 구축해도 흉노는 끝내 감히 한마디[의 항의]도 하지 못하였다. 이해에 흡후 [조]신이 죽으니주 012
각주 012)
前將軍 翕侯 趙信은 元朔 6년(전126) 夏에 匈奴에 투항하여 元封 4년(전107) 그곳에서 죽었다.
닫기
한나라의 집권자들은 흉노가 이미 쇠약해져 신하로서 따르게 만들 수 있다고 판단했다. 양신은 사람됨이 강직하고 굽힐 줄 몰랐으며 평소에 [그가] 높은 신하가 아니라고 하여 선우가 [그를] 친절하게 대하지 않았다. [선우가]주 013
각주 013)
『史記』에는 “單于”가 있는데 저본에는 없다.
닫기
[그를] 불러들이려고 해도 [양신이] 끝내 절(節)을 버리지 않자 선우가 이에 천막 밖에다 자리를 마련하고 양신을 만났다. [양]신이 선우에게 설명하여 말했다.주 014
각주 014)
『史記』에는 “信旣見單于, 說曰”로 되어 있다.
닫기
“만약 [한나라와] 화친하기를 원하신다면 선우의 태자를 한나라에 볼모로 보내십시오.” 선우가 말하였다. “그것은 과거의 약속주 015
각주 015)
故約, 즉 과거의 약속은 漢 高祖가 使臣 劉敬을 보내 匈奴 冒頓單于와 맺은 和親之約을 말한다. 이것은 양국이 화친을 할 때 기본적인 원칙이었다. 그리고 文帝 前元 4년(전176)에 다시 冒頓單于와 漢 文帝가 편지를 통해 과거의 약속을 재확인했다. 또한 文帝 6년(전174)에는 漢나라에서 匈奴의 冒頓單于에게 편지를 보내 약속을 어기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런 양국의 화친 약속은 武帝시대 계속된 전쟁으로 인해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닫기
과 다르오. 과거의 약속은 한나라에서 늘 옹주를 보내면서 비단, 명주솜, 식품 등을 등급 차이에 따라 주어 화친을 하면 흉노도 [한나라의] 변경을 시끄럽게 하지 않는 것이오. 지금 본래의 약속과 달리 나의 태자를 볼모로 달라 하니 [오히려 과거의 약속과 다른 이런 일은] 바라지도 마시오.”주 016
각주 016)
“無幾”는 “과거의 약속과 다르므로 볼모를 보내는 일은 결코 바랄 수 없다”는 의미이다.
닫기
흉노의 습속에 따르면 한나라 사자가 중귀인(中貴人)주 017
각주 017)
中貴人 : ‘中貴’라고도 하는데, 皇帝의 寵愛를 받는 宦官을 말한다.
닫기
이 아닐 경우 [그 사람이] 유생이면 설득하러 온 줄 알고 그의 변설을 꺾으려 하고,주 018
각주 018)
『史記』에는 “折其辯”으로 되어 있다.
닫기
[사람이] 나이가 젊으면주 019
각주 019)
『史記』에는 “其少年”으로 되어 있다.
닫기
자객이라 여겨 그의 기세를 꺾으려 했다. 매번 한나라의 군대가주 020
각주 020)
『史記』에는 “使”로 되어 있다.
닫기
흉노로 들어올 때면 흉노 역시 바로 보복을 했다. 한나라에서 흉노의 사자를 잡아두면 흉노 역시 한나라의 사자를 잡아두는 등 반드시 대등한 수단을 취하지 않고서는 그만두려고 하지 않았다.주 021
각주 021)
『史記』에는 “必得當乃肯止”로 되어 있다.
닫기


  • 각주 001)
    楊信을 匈奴에 보낸 것은 元封 4년(전109) 가을이어야 한다. 『漢書』의 기록(권6 「武帝紀」 元封 4年 秋條 “以匈奴弱, 可遂臣服, 乃遣使說之” : 196)에도 전109년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濊”는 ‘穢’와 같은데, ‘薉’라고도 한다. 또한 貉도 貊과 같다(주223)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3)
    당시 漢나라는 元朔 元年(전128) 가을에 穢貉王 南閭가 朝鮮王 右渠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다음에 內屬하자 그곳에 蒼海郡을 두었다. 元封 3년(전108)에 朝鮮을 멸하고 그곳에 樂浪, 玄菟, 眞番, 臨屯의 네 개 군을 설치하였다(주224)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4)
    酒泉郡 : 군의 명칭으로 지금의 甘肅省 疏勒河 동쪽과 高臺縣 서쪽에 있었다. 漢나라에서는 元狩 2년(전121) 秋에 匈奴 昆邪王이 休屠王을 죽이고 투항했기 때문에 河西가 비게 되자 元鼎 2년(전115)에 張騫을 烏孫에 사신으로 보내 이곳으로 다시 돌아오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이 말을 듣지 않자 그 땅에 酒泉郡을 두었다. 酒泉郡의 治所는 祿福에 있었는데, 지금의 甘肅省 酒泉縣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5)
    匈奴와 羌이 통하는 길을 끊는 것은 漢나라의 匈奴를 견제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전략 중 하나로서 그들을 포위하는 방식의 일환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鹽鐵論』(「西域篇」, “胡西役大宛․康居之屬, 南與群羌通.” : 321)에서도 동일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史記』에는 “漢”이 있는데 저본에는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07)
    전117년 이후 수년에 걸쳐 月氏는 匈奴의 공격을 받아 대부분 서쪽으로 옮겨갔다. 그들은 먼저 지금의 新疆維吾爾自治區 일리하 유역과 그 서쪽에 자리잡고 大月氏를 형성했다. 그리고 서쪽으로 옮겨가지 않고 祁蓮山으로 들어가 羌人과 雜居한 소수의 세력이 小月氏을 형성했다. 여기서는 大月氏를 가리킨다(주185)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8)
    大夏(전246∼전138) : 나라 명칭으로 박트리아(Bactria 또는 Bactriana)를 말한다. 힌두쿠시산맥과 아무다리아 사이, 즉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 북부에 고대 그리스인이 세운 나라이다. 페르시아어에서는 Bākhtar, 아랍어와 인도어에서는 Bhalika로 표기한다. 전126년 張騫이 방문하였을 당시에는 大月氏의 침입을 받아 왕국이 망한 뒤였다고 한다. 「大宛列傳』에서는 大宛의 서남쪽으로 2천여 리 떨어진 곳에서 정착생활을 하여 성곽과 가옥을 가지고 있으며 大宛과 풍속이 같다고 하였다. 또 大君長은 없지만 때때로 성읍에 小長이 세워지고, 그 군대는 약하고 싸우기를 두려워하지만, 사람들은 장사는 잘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大月氏가 흉노의 압박으로 서쪽으로 도망쳐 와서 그들을 점령하고 모두 臣屬시켰다고 하였다. 대략 100여만 명이 되고, 도읍은 藍市城인데, 시장이 있어 각종 물건들을 판매하며, 그 동남쪽에는 身毒國이 있다고 하였다(『史記』 권123 「大宛列傳」 : 3164). 또한 『漢書』 「西域傳」에 따르면 大月氏가 본래 敦煌과 祁連 사이에 있다가 묵특선우에게 공격을 당해 그 왕의 두개골을 匈奴의 老上單于가 술잔을 만들었고, 대월지는 멀리 도망가 大宛의 서쪽으로 지나 大夏를 공격하여 복속시키고 嬀水 북쪽에 도읍을 삼고 王庭으로 삼았다고 되어 있다. 大夏의 일부는 月氏 공격을 받은 다음에 그 일부가 인도로 밀려들어가 명맥을 유지했다고 한다(『漢書』 권96上 「西域傳」 〈大宛國〉 : 3894~5).
     바로가기
  • 각주 009)
    烏孫으로 시집간 공주는 漢 景帝의 손자 江都王 劉建의 딸 劉細君이다. 元封 6년(전105)에 烏孫王에게 출가하였다. 烏孫의 왕 昆莫은 그를 右夫人으로 삼았다. 武帝는 두 번에 걸쳐 宗室의 딸을 공주로 속여 烏孫王에게 출가시켰다(『漢書』 권96下 「西域傳」 〈烏孫國〉 : 3903).
     바로가기
  • 각주 010)
    月氏와 大夏 등의 나라를 말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1)
    眩雷 :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烏孫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지금의 新疆維吾爾自治區 塔城縣 부근에 살았다. 혹 그 위치를 西河郡 西北邊 또는 內蒙古自治區 鄂托克旗地域이라고도 하나 정확하게 알 수 없다. 『史記』에는 “胘靁”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前將軍 翕侯 趙信은 元朔 6년(전126) 夏에 匈奴에 투항하여 元封 4년(전107) 그곳에서 죽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3)
    『史記』에는 “單于”가 있는데 저본에는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14)
    『史記』에는 “信旣見單于, 說曰”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5)
    故約, 즉 과거의 약속은 漢 高祖가 使臣 劉敬을 보내 匈奴 冒頓單于와 맺은 和親之約을 말한다. 이것은 양국이 화친을 할 때 기본적인 원칙이었다. 그리고 文帝 前元 4년(전176)에 다시 冒頓單于와 漢 文帝가 편지를 통해 과거의 약속을 재확인했다. 또한 文帝 6년(전174)에는 漢나라에서 匈奴의 冒頓單于에게 편지를 보내 약속을 어기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런 양국의 화친 약속은 武帝시대 계속된 전쟁으로 인해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16)
    “無幾”는 “과거의 약속과 다르므로 볼모를 보내는 일은 결코 바랄 수 없다”는 의미이다.
     바로가기
  • 각주 017)
    中貴人 : ‘中貴’라고도 하는데, 皇帝의 寵愛를 받는 宦官을 말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8)
    『史記』에는 “折其辯”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9)
    『史記』에는 “其少年”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20)
    『史記』에는 “使”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21)
    『史記』에는 “必得當乃肯止”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양신(楊信), [조]신, 양신, 양신, 양신, [양]신
지명
한나라, 한나라, 조선(朝鮮), 주천군(酒泉郡), 한나라, 대하(大夏),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나라가 흉노를 고립시킨 뒤 양신(楊信)을 사신으로 보내 태자를 볼모로 보낼 것을 요구했으나 흉노가 과거에 한 약속과 다르다면서 거절함 자료번호 : jo.k_0002_0094_0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