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중항열(中行說)이 문서작성과 재정제도를 정비함

  • 국가
    흉노(匈奴)
이전에 흉노가 한나라의 견직물과 명주솜, 그리고 식품 등을 좋아했는데, 중항열이 [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흉노의 인구는 한나라의 일개 군(郡)만도 못합니다.주 001
각주 001)
匈奴의 인구가 漢나라의 1개 군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中行說의 말은 『鹽鐵論』 「論功篇」에서의 지적과도 일치한다는 점에서 정확하다. 실제 匈奴의 인구를 「匈奴列傳」의 기록(“自左右賢王以下至當戶, 大者萬騎, 小者數千, 凡二十四長, 立號曰萬騎.” : 3751)을 근거로 계산해 보면, 匈奴의 丁壯이 24만이 되지 않는다. 그것을 다시 戶口數로 계산해도 아무리 많아야 144만 정도 된다. 이것은 漢代에 汝南이 가장 번성했을 때 46만戶에 인구가 260만 정도 되는 것과 비교된다.
닫기
그런데도 강한주 002
각주 002)
『史記』에는 “强”이 모두 “彊”으로 되어 있다.
닫기
까닭은 입는 것과 먹는 것이 달라 한나라에 의존하지주 003
각주 003)
『史記』에는 “仰”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卬’은 ‘仰’과 통용되기 때문이다.
닫기
않기 때문입니다. 지금 선우께서 풍속을 바꾸어 한나라 물자를 좋아하게 되면 한나라 물자가 십분의 이를 넘지 않아도 흉노는 한나라에 모두 귀속되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얻은 한나라의 견직물과 명주솜을 가지고 [선우께서 그것을 입고 나가] 풀과 가시덤불 속으로 말을 달려 나가 옷과 바지가 모조리 찢어져 못쓰게주 004
각주 004)
『史記』에는 “敝”로 되어 있다.
닫기
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주 005
각주 005)
『史記』에는 “示”로 되어 있다.
닫기
[견직물과 명주솜이 흉노의] 털이나 가죽[으로 만든 의복]만큼 튼튼하고 좋은주 006
각주 006)
『史記』에는 “完善”으로 되어 있다.
닫기
것만 못하다는 점을 보여주 007
각주 007)
‘視’는 ‘示’로 읽을 수 있는데, 아래에서 모두 이와 유사하다
닫기
줄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한나라 식품을 얻은 다음 [그것을] 모두 버려 젖이나 유제품(重酪)주 008
각주 008)
『史記』에는 “湩酪”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정확하다. 顔師古에 따르면, ‘重’은 젖으로서 본래 글자가 ‘동’으로 읽는 ‘湩’이라고 한다(주37) 참조).
닫기
의 편리함과 맛보다 못하다는 점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중항]열은 선우를 보좌하는 [관리들에게] 분류하여 기록하는 것을 가르침으로써 그 백성과 가축의 [숫자를] 세어서 기록[하여 과세]하도록 했다.주 009
각주 009)
『史記』에는 “識”이 “課”로 되어 있다.
닫기


  • 각주 001)
    匈奴의 인구가 漢나라의 1개 군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中行說의 말은 『鹽鐵論』 「論功篇」에서의 지적과도 일치한다는 점에서 정확하다. 실제 匈奴의 인구를 「匈奴列傳」의 기록(“自左右賢王以下至當戶, 大者萬騎, 小者數千, 凡二十四長, 立號曰萬騎.” : 3751)을 근거로 계산해 보면, 匈奴의 丁壯이 24만이 되지 않는다. 그것을 다시 戶口數로 계산해도 아무리 많아야 144만 정도 된다. 이것은 漢代에 汝南이 가장 번성했을 때 46만戶에 인구가 260만 정도 되는 것과 비교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史記』에는 “强”이 모두 “彊”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史記』에는 “仰”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卬’은 ‘仰’과 통용되기 때문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史記』에는 “敝”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史記』에는 “示”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史記』에는 “完善”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視’는 ‘示’로 읽을 수 있는데, 아래에서 모두 이와 유사하다
     바로가기
  • 각주 008)
    『史記』에는 “湩酪”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정확하다. 顔師古에 따르면, ‘重’은 젖으로서 본래 글자가 ‘동’으로 읽는 ‘湩’이라고 한다(주37)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9)
    『史記』에는 “識”이 “課”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중항열, [중항]열
지명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항열(中行說)이 문서작성과 재정제도를 정비함 자료번호 : jo.k_0002_0094_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