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몽염(夢恬)이 죽고 중국이 소홀해진 틈을 타 흉노가 이전의 요새로 경계를 삼음

  • 국가
    흉노(匈奴)
그 무렵 동호가 강하고 월지(月氏) 주 001
각주 001)
月氏 :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음은 월지로 ‘氏’는 ‘支’와 통한다. 지금의 甘肅省 서부와 靑海省 경계지역에 살았다. 최근에 중국 학자들은 ‘yuezhi’가 아니라 ‘rouzhi’로 읽는 경향도 있다. 이것은 肉氏가 잘못된 것이라고 해설한 것에 의거한 것이나 그에 대한 정확한 근거는 없다. 한편 이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禺氏騊駼”(『逸周書』), “禺氏之玉”(『管子』), “和氏之璧”(『淮南子』) 등에 나오는 “禺氏”와 “和氏”와 음이 비슷한 月氏가 춘추시대에도 존재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桑原隲藏, 松田壽男, 江上波夫 등). 하지만 이것 역시 정확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이후에도 그의 원류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음에도 아직까지 정설이 없으나 고고학적인 발굴 성과를 기초로 문화적인 면에서 기원전 4~3세기경 몽골 초원, 중국 서북에서 아무다리아 지역까지 퍼져 있었던 이란계통인 사카 유목민 집단이라고 추정되기도 한다(小穀仲男, 1999 : 19~22). 이들은 기원전 3세기 匈奴의 등장과 함께 아무다리아 지역으로 이주해 그리스 계통 박트리아 왕국들을 무너뜨리고 大月氏를 건국했다. 이후 쿠샨 왕조의 건국 세력과 연결되었다고 설명되기도 한다.
닫기
가 번성했다. 흉노의 선우(單于)주 002
각주 002)
單于 : 음은 선우이고 匈奴 君主의 칭호이다. 匈奴시대의 單于 이름의 교정과 계보에 대한 고증은 龔蔭의 연구(1999 : 89~111)를 참조(주218) 참조).
닫기
두만(頭曼) 주 003
각주 003)
頭曼 : 음은 ‘두만’이다. 투르크어 내지는 몽골어 ‘튀멘(tümen)’을 음사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突厥帝國을 건설한 土門 역시 그와 동일한 음차이다. 그 의미는 만 명을 이끄는 大將 또는 酋長, 즉 萬騎長이다. 頭曼單于는 역사에 기록된 匈奴 최초의 君長으로, 초원에 있던 遊牧民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匈奴의 국가를 형성하였다.
닫기
이라 했는데, 두만진(秦)나라를 이겨 내지 못하고 북쪽으로 옮겨 갔다.주 004
각주 004)
頭曼單于가 蒙恬에게 패해 北方으로 도망간 것은 秦 始皇帝 26년(전221)의 일이다(『史記』 권88 「蒙恬列傳」 : 2569)(주172) 참조).
닫기
십여 년이 지나 몽염이 죽고주 005
각주 005)
蒙恬이 죽은 것은 秦始皇 37년(전210)의 일이다.
닫기
제후들이 나라를 배반하여주 006
각주 006)
畔 : ‘叛’과 통하는데, “배반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고 해석할 수 있다(『鹽鐵論』 권45 「伐功篇」 “乃其後, 蒙公死, 而諸侯叛秦, 中國擾亂, 匈奴乃敢復爲邊寇.” : 316).
닫기
중국 전체가 소란스럽게 되자 진나라가 강제로 변경에 이주시킨 여러 유형수들이주 007
각주 007)
『史記』에는 “適戍邊者”로 되어 있다.
닫기
모두 다시 [돌아가] 버리게 되었다. [이에] 흉노가 여유를 얻어 다시 조금씩 황하[를 건너] 남쪽[河南]주 008
각주 008)
河南 : 이것을 하나의 단어로 볼 경우 지역 명칭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주175) 참조). 하지만 ‘河’를 ‘黃河’로 보고 그곳을 끊은 다음 ‘南’을 이렇게 번역하는 것이 보다 문맥의 흐름상 자연스럽다.
닫기
으로 중국과 이전의 요새로 경계를 삼게 되었다.

  • 각주 001)
    月氏 :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음은 월지로 ‘氏’는 ‘支’와 통한다. 지금의 甘肅省 서부와 靑海省 경계지역에 살았다. 최근에 중국 학자들은 ‘yuezhi’가 아니라 ‘rouzhi’로 읽는 경향도 있다. 이것은 肉氏가 잘못된 것이라고 해설한 것에 의거한 것이나 그에 대한 정확한 근거는 없다. 한편 이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禺氏騊駼”(『逸周書』), “禺氏之玉”(『管子』), “和氏之璧”(『淮南子』) 등에 나오는 “禺氏”와 “和氏”와 음이 비슷한 月氏가 춘추시대에도 존재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桑原隲藏, 松田壽男, 江上波夫 등). 하지만 이것 역시 정확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이후에도 그의 원류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음에도 아직까지 정설이 없으나 고고학적인 발굴 성과를 기초로 문화적인 면에서 기원전 4~3세기경 몽골 초원, 중국 서북에서 아무다리아 지역까지 퍼져 있었던 이란계통인 사카 유목민 집단이라고 추정되기도 한다(小穀仲男, 1999 : 19~22). 이들은 기원전 3세기 匈奴의 등장과 함께 아무다리아 지역으로 이주해 그리스 계통 박트리아 왕국들을 무너뜨리고 大月氏를 건국했다. 이후 쿠샨 왕조의 건국 세력과 연결되었다고 설명되기도 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單于 : 음은 선우이고 匈奴 君主의 칭호이다. 匈奴시대의 單于 이름의 교정과 계보에 대한 고증은 龔蔭의 연구(1999 : 89~111)를 참조(주218)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3)
    頭曼 : 음은 ‘두만’이다. 투르크어 내지는 몽골어 ‘튀멘(tümen)’을 음사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突厥帝國을 건설한 土門 역시 그와 동일한 음차이다. 그 의미는 만 명을 이끄는 大將 또는 酋長, 즉 萬騎長이다. 頭曼單于는 역사에 기록된 匈奴 최초의 君長으로, 초원에 있던 遊牧民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匈奴의 국가를 형성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004)
    頭曼單于가 蒙恬에게 패해 北方으로 도망간 것은 秦 始皇帝 26년(전221)의 일이다(『史記』 권88 「蒙恬列傳」 : 2569)(주172)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5)
    蒙恬이 죽은 것은 秦始皇 37년(전210)의 일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6)
    畔 : ‘叛’과 통하는데, “배반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고 해석할 수 있다(『鹽鐵論』 권45 「伐功篇」 “乃其後, 蒙公死, 而諸侯叛秦, 中國擾亂, 匈奴乃敢復爲邊寇.” : 316).
     바로가기
  • 각주 007)
    『史記』에는 “適戍邊者”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河南 : 이것을 하나의 단어로 볼 경우 지역 명칭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주175) 참조). 하지만 ‘河’를 ‘黃河’로 보고 그곳을 끊은 다음 ‘南’을 이렇게 번역하는 것이 보다 문맥의 흐름상 자연스럽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두만(頭曼), 두만, 몽염
지명
월지(月氏), 진(秦)나라, 진나라, 황하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몽염(夢恬)이 죽고 중국이 소홀해진 틈을 타 흉노가 이전의 요새로 경계를 삼음 자료번호 : jo.k_0002_0094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