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한나라 사신이 흉노의 습속을 비난하자 중항렬이 고유한 환경에 의해 비롯된 것이라고 언급하며 반박함

  • 국가
    흉노(匈奴)
한나라 사자주 001
각주 001)
文帝시대 漢나라에서 匈奴로 간 使臣이 많기 때문에 누구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하지만 『漢書』의 기록(권43 「酈陸朱劉叔孫傳」, “乃召其子, 拜爲中大夫, 使匈奴. 單于無禮, 罵單于, 遂死匈奴中.” : 2118)에서 그가 中行說과 토론을 벌이고 그로 인해 匈奴로부터 죽임을 당한 漢나라 사신의 활동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朱建의 아들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닫기
가 [와서 중항열에게] 말한 적이 있었다. “흉노의 풍속은 노인을 천대한다고 하더군요.”주 002
각주 002)
이 단락의 내용은 匈奴傳의 총론 부분에서 다루고 있는 匈奴의 습속에 대한 기술과 상통한다(주35), 주36), 주39) 참조).
닫기
중항열은 모질게 한나라 사신에게 대꾸했다. “당신들 한나라 풍속에도 누군가가 변경 주둔군의 수비를 위해 징발될 때에는 그 늙은 부모가 따뜻한 옷과 기름지고 맛있는 음식을 가져다주 003
각주 003)
『漢書』에는 “奪”로 되어 있다. “溫厚肥美”라는 기록과 연결해 보면 그 의미상 『漢書』에서 “奪”로 바꾼 것이 보다 정확하다.
닫기
수자리 서기 위해 [군대에] 나가는주 004
각주 004)
『漢書』에는 “行者”로 되어 있다.
닫기
[자식에게] 주지 않습니까?”주 005
각주 005)
『漢書』에는 “其親豈不自奪溫厚肥美齎送飮食行者乎?”로 되어 있다.
닫기
한나라 사신이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중항열이 말하였다. “흉노가 분명히 공격하고 싸우는 것을주 006
각주 006)
『漢書』에는 “攻戰”으로 되어 있다.
닫기
일로 삼는데, 노약자는 전투를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기름지고 맛있는 것을 건장한 사람들에게 먹임으로써 노약자는 [적들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고주 007
각주 007)
『漢書』에는 “故以其肥美飮食壯健以自衛.”로 되어 있다.
닫기
이와 같이 하여 아비와 자식이 각각 오랫동안 서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어찌 흉노[만] 노인을 가벼이 여긴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한나라 사자가 말하였다. “흉노는 부자가 같은 천막[穹廬]주 008
각주 008)
穹廬 : 匈奴의 이동식 천막을 의미하는데, 수레에 위에 올려놓은 것을 車廬라고 했다. (주21) 참조)
닫기
에 살면서 애비가 죽으면 아들이 그 계모를 아내로 삼고 형제가 죽으면 모두 그 처를 아내로 삼고 있소. [이것은] 관을 쓰고 허리띠를 매는 예절과 조정의 예제(禮制)주 009
각주 009)
闕庭之禮 : 中國의 宮廟와 墓門에는 두 개의 기둥이 있었는데, 이를 ‘闕’이라고 한다. 이것은 典章制度를 갖춘 문명된 국가를 의미한다.
닫기
가 없는 것이 아닌가요?” 중항열이 말하였다. “흉노의 풍속은 사람들이주 010
각주 010)
『漢書』에는 “人”이 없다.
닫기
가축의 고기를 먹고 그 젖을 마시며 그 가죽을 입는데, 그 가축이 풀을 먹고 물을 마셔야 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옮겨 다닐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급하게 되면 사람들이 말타기와 활쏘기를 익히고 편하게 되면 일없이 즐기며, 그의 약속은 간단하여 실행하기 쉽습니다.주 011
각주 011)
『漢書』에는 “約束徑”으로 되어 있다.
닫기
군신[의 관계]도 간단하고 쉬워주 012
각주 012)
『漢書』에는 “君臣簡, 可久.”로 되어 있다.
닫기
한 나라의 정치가 마치 한 몸처럼 쉽고 편하게 움직입니다.주 013
각주 013)
『漢書』에는 “體”로 되어 있다.
닫기
부자, 형제주 014
각주 014)
『漢書』에는 “父兄”으로 되어 있다.
닫기
가 죽고 나서 그 아내를 취하는 풍습은 종족의주 015
각주 015)
“種姓”은 ‘宗族’을 지칭한다.
닫기
대가 끊기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까닭에 흉노는 비록 어지럽기는 하나 종실[의 자제를 선우]로 세울 수 있습니다. 지금 중국에서는 비록 [겉으로] 드러내놓고주 016
각주 016)
『漢書』에는 “陽”으로 되어 있다.
닫기
아비와 형의 처를 취하지 않지만, 친족이 멀어지게 되면 서로 죽이고 역성(易姓)까지주 017
각주 017)
『漢書』에는 “至到易姓”으로 되어 있다.
닫기
하는 것도 모두 이런 부류에서 생긴 것입니다. 또한 예의의 폐해로 위아래가 서로를 원망하고 [좋은] 집짓기에 힘을 다 쏟아 사람들의 힘이 결국 약해집니다.주 018
각주 018)
中行說은 집을 짓느라고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해야 할 힘을 다 써 버리기 때문에 기력이 고갈된다고 했다. 『漢書』에는 “生力屈焉”으로 되어 있다.
닫기
무릇 농사와 양잠에 힘을 써 옷과 먹을거리를 구하고 성곽을 쌓아 스스로를 갖추기 때문에 그 백성들은 급하게 되어도 전투에 익숙하지 못하고 편할 때에도 일하는 것에 지치게 됩니다. 슬프도다. 흙집[土室]에 사는 [불쌍한 한나라] 사람들이 [자신을] 되돌아보고 [쓸 데가 없는] 말을 많이 하지 말아야 하는데, 말을 잘하고 말을 많이 한다고 하더라도주 019
각주 019)
喋 : ‘말을 잘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喋喋”은 말이 많다는 뜻인데, ‘喋喋’과 ‘佔佔’은 그 음과 뜻이 비슷하다. 『漢書』에는 “顧無喋喋佔佔”로 되어 있다. 顔師古는 “佔佔”을 “옷을 잘 차려 입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닫기
[그 따위] 관을 쓰고서 정말로 무엇을 감당할 수 있겠습니까?”

  • 각주 001)
    文帝시대 漢나라에서 匈奴로 간 使臣이 많기 때문에 누구인지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하지만 『漢書』의 기록(권43 「酈陸朱劉叔孫傳」, “乃召其子, 拜爲中大夫, 使匈奴. 單于無禮, 罵單于, 遂死匈奴中.” : 2118)에서 그가 中行說과 토론을 벌이고 그로 인해 匈奴로부터 죽임을 당한 漢나라 사신의 활동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朱建의 아들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이 단락의 내용은 匈奴傳의 총론 부분에서 다루고 있는 匈奴의 습속에 대한 기술과 상통한다(주35), 주36), 주39)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3)
    『漢書』에는 “奪”로 되어 있다. “溫厚肥美”라는 기록과 연결해 보면 그 의미상 『漢書』에서 “奪”로 바꾼 것이 보다 정확하다.
     바로가기
  • 각주 004)
    『漢書』에는 “行者”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5)
    『漢書』에는 “其親豈不自奪溫厚肥美齎送飮食行者乎?”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漢書』에는 “攻戰”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7)
    『漢書』에는 “故以其肥美飮食壯健以自衛.”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8)
    穹廬 : 匈奴의 이동식 천막을 의미하는데, 수레에 위에 올려놓은 것을 車廬라고 했다. (주21) 참조)
     바로가기
  • 각주 009)
    闕庭之禮 : 中國의 宮廟와 墓門에는 두 개의 기둥이 있었는데, 이를 ‘闕’이라고 한다. 이것은 典章制度를 갖춘 문명된 국가를 의미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0)
    『漢書』에는 “人”이 없다.
     바로가기
  • 각주 011)
    『漢書』에는 “約束徑”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2)
    『漢書』에는 “君臣簡, 可久.”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3)
    『漢書』에는 “體”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4)
    『漢書』에는 “父兄”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5)
    “種姓”은 ‘宗族’을 지칭한다.
     바로가기
  • 각주 016)
    『漢書』에는 “陽”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7)
    『漢書』에는 “至到易姓”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8)
    中行說은 집을 짓느라고 백성들이 생업에 종사해야 할 힘을 다 써 버리기 때문에 기력이 고갈된다고 했다. 『漢書』에는 “生力屈焉”으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19)
    喋 : ‘말을 잘 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喋喋”은 말이 많다는 뜻인데, ‘喋喋’과 ‘佔佔’은 그 음과 뜻이 비슷하다. 『漢書』에는 “顧無喋喋佔佔”로 되어 있다. 顔師古는 “佔佔”을 “옷을 잘 차려 입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중항열, 중항열, 중항열, 중항열
지명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한나라 사신이 흉노의 습속을 비난하자 중항렬이 고유한 환경에 의해 비롯된 것이라고 언급하며 반박함 자료번호 : jo.k_0001_0110_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