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묵특선우가 혼유(渾庾), 굴역(屈射), 정령(丁零). 격곤(鬲昆), 신리(薪犁) 등 다섯나라를 복속함

  • 국가
    흉노(匈奴)
그 후 [묵특선우는] 북방으로 혼유(渾庾)주 001
각주 001)
渾庾 :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몽골공화국 북방 시베리아 오브강과 셀렝게강 주변에 거주했다. 匈奴의 북방에 위치하고 있었다. 『漢書』에는 “渾窳”로 되어 있다.
닫기
, 굴역(屈射)주 002
각주 002)
屈射 : 음은 ‘굴역’ 또는 ‘굴석’이다(『史記索隱』 : “國名, 射音亦, 又音石.”).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주로 몽골공화국 북방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동쪽 지역에 거주했다.
닫기
, 정령(丁零)주 003
각주 003)
丁零 : 고대 종족의 명칭이다. 이후 丁令, 狄曆, 敕勒, 鐵勒 등으로 기록된 것과 동일한 투르크계 집단으로 추정된다. 사서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기도 했는데, 魏에서는 이들이 바퀴가 큰 수레를 탄다고 해서 ‘高車’라 부르기도 했다. 주로 몽골공화국 북방 바이칼 호수에서 서쪽으로 중앙아시아 그리고 몽골 초원 등지에 광범위하게 거주하면서 아주 다양한 집단을 이루고 있었다(段連勤, 1988 : 80). 匈奴시대 존재했던 다른 유목민 집단인 康居의 북쪽에 거주했다.
닫기
, 격곤(鬲昆)주 004
각주 004)
鬲昆 :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몽골공화국의 사얀산맥 북쪽 시베리아 예니세이강 상류지역에 거주했다. 『漢書』에는 “隔昆”이라고 되어 있다. 그 이후 堅昆으로, 唐代에는 黠戛斯로 불렸다.
닫기
, 신리(薪犂)주 005
각주 005)
薪犂 : 고대 종족의 명칭이다. 몽골 초원의 북방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소재지는 알 수 없다. 『漢書』에는 “新䔣”로 되어 있다.
닫기
등의 [다섯] 나라[國]주 006
각주 006)
國 : 일반적으로는 ‘나라’로 번역되나, 어떤 구체적인 정치집단으로 보기보다는 부족 내지는 하나의 종족집단을 의미하는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북방민족에 대한 기록에서 國 내지는 部 등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예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突厥에서는 이것을 일(il) 또는 엘(el)이라고 했고, 몽골에서는 이것을 울루스(ulus)라고 했는데, 여기에는 다양한 층차의 단위가 모두 포함된다(丁載勳, 2003 : 332).
닫기
를 복속시켰다.주 007
각주 007)
丁零 이외에도 屈射, 渾庾, 鬲昆, 薪犂 등의 종족이 匈奴의 북쪽에 거주했다.
닫기
이에 흉노의 귀인(貴人)과 대신(大臣)들이 모두 [그에게] 감복하여 묵특선우를 어질다고[賢] 하였다.

  • 각주 001)
    渾庾 :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몽골공화국 북방 시베리아 오브강과 셀렝게강 주변에 거주했다. 匈奴의 북방에 위치하고 있었다. 『漢書』에는 “渾窳”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屈射 : 음은 ‘굴역’ 또는 ‘굴석’이다(『史記索隱』 : “國名, 射音亦, 又音石.”).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주로 몽골공화국 북방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동쪽 지역에 거주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3)
    丁零 : 고대 종족의 명칭이다. 이후 丁令, 狄曆, 敕勒, 鐵勒 등으로 기록된 것과 동일한 투르크계 집단으로 추정된다. 사서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기도 했는데, 魏에서는 이들이 바퀴가 큰 수레를 탄다고 해서 ‘高車’라 부르기도 했다. 주로 몽골공화국 북방 바이칼 호수에서 서쪽으로 중앙아시아 그리고 몽골 초원 등지에 광범위하게 거주하면서 아주 다양한 집단을 이루고 있었다(段連勤, 1988 : 80). 匈奴시대 존재했던 다른 유목민 집단인 康居의 북쪽에 거주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4)
    鬲昆 : 고대 종족의 명칭으로 몽골공화국의 사얀산맥 북쪽 시베리아 예니세이강 상류지역에 거주했다. 『漢書』에는 “隔昆”이라고 되어 있다. 그 이후 堅昆으로, 唐代에는 黠戛斯로 불렸다.
     바로가기
  • 각주 005)
    薪犂 : 고대 종족의 명칭이다. 몽골 초원의 북방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구체적인 소재지는 알 수 없다. 『漢書』에는 “新䔣”로 되어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國 : 일반적으로는 ‘나라’로 번역되나, 어떤 구체적인 정치집단으로 보기보다는 부족 내지는 하나의 종족집단을 의미하는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북방민족에 대한 기록에서 國 내지는 部 등이 혼용되어 사용되는 예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突厥에서는 이것을 일(il) 또는 엘(el)이라고 했고, 몽골에서는 이것을 울루스(ulus)라고 했는데, 여기에는 다양한 층차의 단위가 모두 포함된다(丁載勳, 2003 : 332).
     바로가기
  • 각주 007)
    丁零 이외에도 屈射, 渾庾, 鬲昆, 薪犂 등의 종족이 匈奴의 북쪽에 거주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묵특선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묵특선우가 혼유(渾庾), 굴역(屈射), 정령(丁零). 격곤(鬲昆), 신리(薪犁) 등 다섯나라를 복속함 자료번호 : jo.k_0001_011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