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정사외국전

천방(天方) 등의 나라가 왕을 참칭(僭稱)하고 많은 인원이 조공함에 대의를 바로잡고 비용의 낭비를 막으려 제도로써 제한을 가하게 된 설명

  • 국가
    살마아한(撒馬兒罕)
嘉靖二年, 貢使又至. 禮官言: 「諸國使臣在途者遷延隔歲, 在京者伺候주 001
교감주 001)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候가 侯로 되어 있다.
닫기
同賞, 光祿·郵傳供費不貲, 宜示以期約.」 因列上禁制數事, 從之. 十二年偕天方·土魯番入貢, 稱王者至百餘人. 禮官夏言等論其非, 請勅閣臣주 020
교감주 020)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臣이 기재 되어 있지 않다.
닫기
議所答. 張孚敬等言: 「西域諸王, 疑出本國封授, 或部落自相尊稱. 先年亦有至三四十人者, 卽據所稱주 002
교감주 002)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所稱이 稱以로 되어 있다.
닫기
答之. 若驟議裁革, 恐人情觖望, 乞更勅禮·兵二部詳議.」 於是及樞臣王憲等謂: 「西域稱王者, 止土魯番·天方·撒馬兒罕 주 021
교감주 021)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撒馬兒罕이 賽瑪爾堪으로 되어 있다.
닫기
. 如日落 주 003
교감주 003)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日落이 日羅로 되어 있다.
닫기
諸國, 稱名雖多, 朝貢絶少. 弘·正間, 土魯番十三入貢, 正德間, 天方四入貢, 稱王者率一人, 多不過三人, 餘但稱頭目而已. 至嘉靖二年·八年, 天方多至六七人, 土魯番至十一二人, 撒馬兒罕 주 022
교감주 022)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撒馬兒罕이 賽納爾堪으로 되어 있다.
닫기
주 004
교감주 004)
撒馬兒罕은 賽瑪爾堪으로 교감한다.
닫기
至二十七人. 孚敬等言三四十人者, 幷數三國爾. 今土魯番十五王, 天方二十七王, 撒馬兒罕 주 023
교감주 023)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撒馬兒罕이 賽瑪爾堪으로 되어 있다.
닫기
五十三王, 實前此所未有. 弘治時回賜勅書, 止稱一王. 若循撒馬兒罕 주 005
교감주 005)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撒馬兒罕이 賽瑪爾堪으로 되어 있다.
닫기
往歲故事, 類答王號, 人與一勅, 非所以尊中國制外蕃也. 蓋帝王之馭外蕃, 固不拒其來, 亦必限以制, 其或名號僭差, 言詞侮慢, 則必正以大義, 責其無禮. 今謂本國所封, 何以不見故牘? 謂部落自號, 何以達之天朝? 我槪給以勅, 而彼卽據勅恣意往來, 恐益擾郵傳, 費供億, 殫府庫以實溪주 024
교감주 024)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溪가 谿로 되어 있다.
닫기
壑, 非計之得也.」 帝納其言, 國止給一勅, 且加詰讓, 示以國無二王之義. 然諸蕃迄不從, 十五年入貢復如故. 甘肅巡撫趙載奏: 「諸國稱王者至一百五十주 006
교감주 006)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人이 기재 되어 있다.
닫기
餘人, 皆非本朝封爵, 宜令주 025
교감주 025)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令이 기재 되어 있지 않다.
닫기
改正주 007
교감주 007)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之가 기재 되어 있다.
닫기
, 且定貢使名數. 通事宜用漢人, 毋專用色目人, 致交通生釁.」 部議從之. 二十六年入貢, 甘肅巡撫楊博請重定朝貢事宜, 禮官復列數事行之. 後入貢, 迄萬曆주 026
교감주 026)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曆이 歷으로 되어 있다.
닫기
中不絶. 蓋番人善賈, 貪中華互市, 旣入境, 則一切飮食·道途之資, 皆取之有司, 雖定五年一貢, 迄不肯遵, 天朝亦莫能難也.

  • 교감주 001)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候가 侯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20)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臣이 기재 되어 있지 않다.바로가기
  • 교감주 002)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所稱이 稱以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21)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撒馬兒罕이 賽瑪爾堪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03)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日落이 日羅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22)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撒馬兒罕이 賽納爾堪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04)
    撒馬兒罕은 賽瑪爾堪으로 교감한다.바로가기
  • 교감주 023)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撒馬兒罕이 賽瑪爾堪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05)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撒馬兒罕이 賽瑪爾堪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24)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溪가 谿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06)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人이 기재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25)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令이 기재 되어 있지 않다.바로가기
  • 교감주 007)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之가 기재 되어 있다.바로가기
  • 교감주 026)
    『明史』(四庫全書 本, 浙江大學)에는 曆이 歷으로 되어 있다.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夏言, 張孚敬, , 王憲, 孚敬, 趙載, 楊博
지명
天方, 土魯番, 西域, 西域, 土魯番, 天方, 撒馬兒罕, 日落, 土魯番, 天方, 天方, 土魯番, 撒馬兒罕, 土魯番, 天方, 撒馬兒罕, 撒馬兒罕, 中國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천방(天方) 등의 나라가 왕을 참칭(僭稱)하고 많은 인원이 조공함에 대의를 바로잡고 비용의 낭비를 막으려 제도로써 제한을 가하게 된 설명 자료번호 : jo.d_0024_0332_001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