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한중역사현안 바로알기

고구려사에 나타난 조공ㆍ책봉의 의미

고구려사에 나타난 조공ㆍ책봉의 의미
▶ 고구려는 중국과 조공·책봉 관계를 맺은 지방정권이다. ▶ 조공·책봉은 고대의 외교형식으로, 이것만으로 고구려를 중국의 지방정권이라 할 수 없다.
중국학자들은 고구려가 중국에 조공을 바치고 책봉을 받았으므로 중국의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공·책봉은 전근대시기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이 중국과 맺었던 외교형식으로 조공을 하고 책봉을 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속국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주변 국가들은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적극적으로 중국과 조공·책봉 관계를 맺었다. 중국학자들도 이러한 점을 알고 중국과 다른 나라의 관계를 볼 때, 명분상·자구상의 조공·책봉 관계와 실제 상황을 구분해서 파악한다. 그런데 유독 고구려에 대해서만 실상을 왜곡하고 있다.
조공·책봉이 정착되는 중국의 남북조 시기에 고구려는 오히려 남조·북조와 대등한 관계를 유지했다. 고구려는 두 왕조와 모두 조공·책봉 관계를 맺었지만,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두 왕조와의 관계를 조정했다. 그러나 어느 왕조도 고구려에 제재를 가하거나 정치적으로 간섭할 수 없었다. 이는 조공·책봉이 중국의 지방정권임을 증명하는 근거가 되지 못함을 말해주는 것이다. 만약 조공·책봉 관계만으로 중국의 지방정권이라 간주한다면, 신라·백제는 물론이고 일본·베트남·고려·조선 등 지역과 시대를 달리하는 거의 모든 동아시아 여러 나라들까지도 모두 중국의 지방정권이라고 보아야 옳다.
고구려사에 나타난 조공·책봉
• 평양 천도 이전까지 고구려와 중국 사이에는 평화기간 보다는 전쟁기간이 더 길었고, 책봉도 없었음. 이는 고구려가 중국의 지방정권이 아닌 독립국임을 증명함

• 고구려는 북위(北魏)와의 조공·책봉 관계에도 불구하고 북위군에 맞서 북연왕(北燕王) 풍홍(馮弘)을 영입하였고, 송환 요구를 거부하였음. 북위와 적대하고 있던 남조의 제(齊)와 사절을 교환, 월경(越境)외교를 전개하였음. 조공·책봉 관계의 구속력이 어떤 수준이었는가를 보여줌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구려사에 나타난 조공ㆍ책봉의 의미 자료번호 : iscd.d_0003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