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감계사등록

길주(吉州)에서 감계사의 행차가 불가피하게 지연되고 있음을 알리고 접대는 이전처럼 행할 것을 통지

  • 발신자
    勘界使
  • 발송일
    1887년 4월 1일(음)(丁亥四月初一日)
□ [1887년 4월] 초4일 도착한 감계사 통문(通文)
 ○ 감계사(勘界使) 어른[이중하]께서 지난 달 19일 덕원(德源)주 190
편자주 190)
고구려의 천정군(泉井郡)이었는데 오을매(於乙買)라고도 했다. 신라에서 정천군(井泉郡)이라 고쳤고, 고려 때에는 용주(湧州)라 일컬었다. 조선시대 1413년(태종 13)에 의천(宜川)으로 개명했으며, 1437년(세종 19)에 덕원으로 고쳤는데 태조의 선대인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의 어향(御鄕)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켰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함경도 덕원부).
닫기
을 출발하여 행차한다는 연유는 이미 노문(路文)으로 통지하였거니와, 그동안 날씨가 순조롭지 않아서 일정이 이로 인해 지체되었습니다.주 191
편자주 191)
당시 이중하는 덕원부사이면서 원산상무감리(元山商務監理)를 겸하고 있었다. 이중하는 원산해관의 사무가 많아서 출발이 쉽지 않았으며, 그의 행차가 지나가던 함경도 일대에는 전염병이 창궐하여 우회하여 갈 수밖에 없었다(시노다 지사쿠, 신영길 역, 「간도는 조선땅이다-백두산정계비와 국경」, 지선당, 2005, 205쪽).
닫기
이번 달 초2일 길주(吉州)주 192
편자주 192)
1390년(공양왕 2)에 해양(海洋)에서 길주로 개칭하고, 영주(英州)⋅선화(宣化) 등과 합쳐 만호부(萬戶府)를 두었다. 1398년(태조 7) 동북면의 주⋅군⋅현을 분정할 때 길주목(吉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467년(세조 13)이 고을 출신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켰다고 하여 1469년(예종 1)에 길주를 길성(吉城)으로 개명하고 목을 현으로 강등시켰으며, 영평령 이북을 경계로 양분하여 명천현(明川縣)을 신설하였다. 1605년(선조 38)에 방어사를 두었으며, 1614년(광해군 6)에 목사를 겸직하도록 하였고, 1701년(숙종 27)에는 방어영을 성진으로 옮겼다. 임진왜란 때에는 길주성에 왜군의 본진이 주둔하기도 했다. 갑오개혁으로 지방관제가 바뀜에 따라 1895년 부가 군이 되었다.
닫기
를 출발하여 초3일 명천(明川)주 193
편자주 193)
본래 여진 궁한리촌(女眞弓漢里村)이었다. 1469년(예종 원년)에 이시애(李施愛)가 반역을 일으켰기 때문에 격을 낮추어 길주를 길성현(吉城縣)으로 만들고, 또 장덕산(長德山)에서부터 북쪽 지역을 분할하여 따로 현(縣)을 만들어 명원역(明原驛)을 치소(治所)로 삼고, 명천(明川)이라 하였다. 1512년(중종 7)에 혁파하여 길주(吉州)에 예속시켰다가 이듬해에 다시 설치하였다. 1606년(선조 39)에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키고 치소(治所)를 영평(永平) 고성(古城)으로 옮겼으며 뒤에 다시 지금 치소로 옮겼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50, 함경도).
닫기
에서 묵고 차차 행차할 것이라 합니다. 연후(延候)주 194
편자주 194)
손님을 맞이하는 일로 영접(迎接)을 말한다.
닫기
와 지대(支待) 등의 뒷바라지하는 절차는 이전 노문에 따라 거행하라 하므로, 분부를 받들어 이에 급히 통지하오니, 이로써 모름지기 정성을 다하는 것이 마땅한 일입니다.
 정해년[1887, 고종 24] 4월 초1일 길주 배행(陪行) 방전(房全)

  • 편자주 190)
    고구려의 천정군(泉井郡)이었는데 오을매(於乙買)라고도 했다. 신라에서 정천군(井泉郡)이라 고쳤고, 고려 때에는 용주(湧州)라 일컬었다. 조선시대 1413년(태종 13)에 의천(宜川)으로 개명했으며, 1437년(세종 19)에 덕원으로 고쳤는데 태조의 선대인 목조(穆祖)⋅익조(翼祖)⋅도조(度祖)⋅환조(桓祖)의 어향(御鄕)이라 하여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켰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함경도 덕원부).바로가기
  • 편자주 191)
    당시 이중하는 덕원부사이면서 원산상무감리(元山商務監理)를 겸하고 있었다. 이중하는 원산해관의 사무가 많아서 출발이 쉽지 않았으며, 그의 행차가 지나가던 함경도 일대에는 전염병이 창궐하여 우회하여 갈 수밖에 없었다(시노다 지사쿠, 신영길 역, 「간도는 조선땅이다-백두산정계비와 국경」, 지선당, 2005, 205쪽).바로가기
  • 편자주 192)
    1390년(공양왕 2)에 해양(海洋)에서 길주로 개칭하고, 영주(英州)⋅선화(宣化) 등과 합쳐 만호부(萬戶府)를 두었다. 1398년(태조 7) 동북면의 주⋅군⋅현을 분정할 때 길주목(吉州牧)으로 승격되었다. 1467년(세조 13)이 고을 출신 이시애(李施愛)가 반란을 일으켰다고 하여 1469년(예종 1)에 길주를 길성(吉城)으로 개명하고 목을 현으로 강등시켰으며, 영평령 이북을 경계로 양분하여 명천현(明川縣)을 신설하였다. 1605년(선조 38)에 방어사를 두었으며, 1614년(광해군 6)에 목사를 겸직하도록 하였고, 1701년(숙종 27)에는 방어영을 성진으로 옮겼다. 임진왜란 때에는 길주성에 왜군의 본진이 주둔하기도 했다. 갑오개혁으로 지방관제가 바뀜에 따라 1895년 부가 군이 되었다.바로가기
  • 편자주 193)
    본래 여진 궁한리촌(女眞弓漢里村)이었다. 1469년(예종 원년)에 이시애(李施愛)가 반역을 일으켰기 때문에 격을 낮추어 길주를 길성현(吉城縣)으로 만들고, 또 장덕산(長德山)에서부터 북쪽 지역을 분할하여 따로 현(縣)을 만들어 명원역(明原驛)을 치소(治所)로 삼고, 명천(明川)이라 하였다. 1512년(중종 7)에 혁파하여 길주(吉州)에 예속시켰다가 이듬해에 다시 설치하였다. 1606년(선조 39)에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키고 치소(治所)를 영평(永平) 고성(古城)으로 옮겼으며 뒤에 다시 지금 치소로 옮겼다(「신증동국여지승람」 권50, 함경도).바로가기
  • 편자주 194)
    손님을 맞이하는 일로 영접(迎接)을 말한다.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길주(吉州)에서 감계사의 행차가 불가피하게 지연되고 있음을 알리고 접대는 이전처럼 행할 것을 통지 자료번호 : gd.k_0002_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