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감계사등록

감계사의 행차와 관련해서 수로 정비 정도를 무산부에 문의

  • 수신자
    茂山府
  • 발송일
    1887년 2월 24일(음)(丁亥二月二十四日)
□ (1887년 2월) 27일 도착[到付]한 무산부주 132
편자주 132)
무산부(茂山府) : 1684년(숙종 10)에 설치되었다. 원래 무산은 병마첨사진(兵馬僉使鎭)이었는데, 함경감사(咸鏡監司) 이세화(李世華)가 무산은 요해처(要害處)이기 때문에 부(府)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숙종대에 읍(邑)을 설치하고 수령(守令)을 두었다(「숙종실록」 권15, 숙종 10년, 3월 25일(신묘)).
닫기
이문(移文)주 133
편자주 133)
관아와 관아 사이에 공사에 관계되는 일을 조회하기 위해 공문을 보내거나 혹은 그 문건을 말한다(동양학연구소, 「한국한자어사전」 권3, 단국대학교, 1996).
닫기

 ○ 무산부에서 상고(相考)한 일입니다. 감계사의 행차가 오는 스무날부터 그믐날 즈음에 장차 폐부(弊府)주 134
편자주 134)
무산부를 말한다.
닫기
에 도착할 것입니다. 을유년[1885, 고종 22, 광서 11]에 길을 정비하는 것은 구절령(九節嶺)주 135
편자주 135)
회령의 성북리와 성동리 사이의 경계에 있는 고개이다. 남쪽 비탈면의 경사가 급하고 북쪽과 동쪽 비탈면의 경계는 느리며 서쪽 비탈면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진다. 무산, 회령, 온성을 연결하는 도로상에 있다(조창선, 「조선지명편람-함경북도, 라선시」, 「조선어학전서」 58, 사회과학출판사, 2002).
닫기
으로 했었는데, 마침 그때 강물이 얼지 않아 선로(船路)를 이용했습니다. 구절령은 귀부(貴府)주 136
편자주 136)
회령부를 말한다.
닫기
와 폐부의 경계 사이인데, 마운령(摩雲嶺)주 137
편자주 137)
함경산맥의 줄기인 마운령 산맥을 통과하는 고개로, 진흥왕순수비가 있으며, 부근에는 노동산성(蘆洞山城)⋅용연지(龍淵池)⋅유선대(遊仙臺) 등이 있다.
닫기
과 같은 것이 구절령입니다. 강을 이용하는 수로(水路)는 평이(平易)하고 근 20여 리이기 때문에, 험한 길을 버리고 쉬운 길을 취한 것입니다. 폐부는 을유년의 예에 따라 고개 길은 두고 강의 수로를 정비하고자 하는데, 어느 정도를 해야 하는지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이에 이문(移文)하오니, 가부간을 깊이 헤아리셔서 회이(回移)주 138
편자주 138)
관아 사이에 관계되는 일을 조회하는 조회문건(照會文件), 이문(移文)을 돌리는 공이(公移)거나 그 이문 자체를 말하기도 한다.
닫기
해주시기 바랍니다.
 광서 13년[1887, 고종 24] 2월 24일.

  • 편자주 132)
    무산부(茂山府) : 1684년(숙종 10)에 설치되었다. 원래 무산은 병마첨사진(兵馬僉使鎭)이었는데, 함경감사(咸鏡監司) 이세화(李世華)가 무산은 요해처(要害處)이기 때문에 부(府)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숙종대에 읍(邑)을 설치하고 수령(守令)을 두었다(「숙종실록」 권15, 숙종 10년, 3월 25일(신묘)).바로가기
  • 편자주 133)
    관아와 관아 사이에 공사에 관계되는 일을 조회하기 위해 공문을 보내거나 혹은 그 문건을 말한다(동양학연구소, 「한국한자어사전」 권3, 단국대학교, 1996).바로가기
  • 편자주 134)
    무산부를 말한다.바로가기
  • 편자주 135)
    회령의 성북리와 성동리 사이의 경계에 있는 고개이다. 남쪽 비탈면의 경사가 급하고 북쪽과 동쪽 비탈면의 경계는 느리며 서쪽 비탈면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진다. 무산, 회령, 온성을 연결하는 도로상에 있다(조창선, 「조선지명편람-함경북도, 라선시」, 「조선어학전서」 58, 사회과학출판사, 2002).바로가기
  • 편자주 136)
    회령부를 말한다.바로가기
  • 편자주 137)
    함경산맥의 줄기인 마운령 산맥을 통과하는 고개로, 진흥왕순수비가 있으며, 부근에는 노동산성(蘆洞山城)⋅용연지(龍淵池)⋅유선대(遊仙臺) 등이 있다.바로가기
  • 편자주 138)
    관아 사이에 관계되는 일을 조회하는 조회문건(照會文件), 이문(移文)을 돌리는 공이(公移)거나 그 이문 자체를 말하기도 한다.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감계사의 행차와 관련해서 수로 정비 정도를 무산부에 문의 자료번호 : gd.k_0002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