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제(高帝) 시기 변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다 『漢書』 卷1上 高帝紀 第1上
조선(朝鮮)의 위치와 중국의 영향을 살펴보다 『漢書』 卷6 武帝紀 第6
단이(儋耳)와 진번(眞番)이 속한 국가를 확인하다 『漢書』 卷7 昭帝紀 第7
조선(朝鮮) 말기를 살펴보다 『漢書』 卷17 景武昭宣元成功臣年表 第5
추자악(鄒子樂)에 대해서 알아보다 『漢書』 卷22 禮樂志 第2 郊祀歌 西顥五 鄒子樂
팽오가 예맥(濊貊), 조선(朝鮮)에 창해군을 설치하니 연(燕)과 제(齊) 사이에서 소요가 일어났다 『漢書』 卷24下 食貨志 第4下
이듬해 조선을 공격하다 『漢書』 卷25上 郊祀志 第5下
태산(泰山) 내무산(萊蕪山) 아래 위치한 고인돌을 관찰하다 『漢書』 卷27下 五行志 第7中之上
조선(朝鮮)을 공격하고 3군(郡)을 설치하다 『漢書』 卷27下 五行志 第7中之下
지리지(地理志)에서 동이(東夷)와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다 『漢書』 卷28下 地理志 第8下
동이(東暆)에 대해 알아보다 『漢書』 卷30 藝文志 第10 詩賦條
창해군(滄海郡)을 폐하고 삭방(朔方)만 받들게 하다 『漢書』 卷58 公孫弘卜式兒寬傳 第28 公孫弘傳
남이(南夷)의 위치와 풍속에 대해서 알아보다 『漢書』 卷64下 嚴朱五丘主父徐嚴終王賈傳 第34下 嚴安傳
사이(四夷) 중 강성한 흉노(匈奴)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다 『漢書』 卷73 韋賢傳 第43
사이(四夷)를 정벌해 군현(郡縣)을 세우고자 하다' 『漢書』 卷75 眭兩夏侯京翼李傳 第45 夏侯勝傳
흉노(匈奴)의 위치 및 역사에 대해 살펴보다 『漢書』 卷94上下 匈奴列傳 第64上下
위만(衛滿)이 조선으로 넘어오는 과정과 우거(右渠)에 의해 고구려가 멸망하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하다 『漢書』 卷95 西南夷兩粵朝鮮傳 第65
왕망(王莽)이 동쪽의 고구려, 부여, 예맥 등과의 관계 및 사건을 설명하다 『漢書』 卷99中 王莽傳 第69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