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에 전해 준 우리문화(교육자료)

조선통신사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고 임진왜란이 끝나자 도쿠가와 이에야스두산백과사전〉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을 장악하였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세키가하라에서 반대파를 물리치고 1603년 에도 막부를 수립하였다. 새로운 일본의 지배자가 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자신의 권위를 높여 지배 체제를 공고히 하고, 조선의 선진 문물을 수용하기 위해 조선에서 통신사가 다시 파견되기를 바랐다.
당시 침략을 당했던 조선에서는 일본에 대한 적대감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일본으로 끌려간 사람들을 다시 데려와야 하는 큰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전후 복구도 완전히 마치지 못한 상태에서 일본과 계속 적대 관계를 유지하는 것도 큰 부담이었다. 결국 도쿠가와 막부가 국교 재개를 요청하자 조선은 사명 대사두산백과사전〉유정를 일본에 파견하여 일본의 의사를 확인하려 하였다.
사명대사는 탐적사로 일본에 건너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담판을 짓고 1,500여 명의 포로를 데리고 돌아왔다. 에도 막부의 의사를 확인한 조선은 1607년 회답사를 파견하여 국교를 재개하고, 1609년에는 비록 임진왜란 이전보다는 축소되기는 하였으나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무역을 허용하였다. 그리하여 부산포에는 다시 왜관이 설치될 수 있었다.
에도 막부는 쇼군이 바뀔 때마다 통신사의 파견을 요구하였다. 통신사는 정사와 부사를 비롯하여 수백여 명의 사절단으로 구성되었으며, 단순한 외교 사절을 넘어 일본에 선진 문물을 전파하는 역할을 하였다. 일본에서는 통신사가 올 때마다 막대한 비용을 투입하여 국빈으로 대접하였다. 통신사는 임진왜란 이후 19세기 초까지 모두 12회 파견되었다. 통신사는 전란을 극복하고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고자하는 한·일 양국의 의지를 담고 있었다.
조선통신사 행렬과 구경을 나온 일본인들(ⓒ국사편찬위원회 『한국문화사』 29권)
한국과 일본이 대립 이후에도 다시 국교를 재개하고 교류를 이어나간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이것이 현재의 한·일 관계에 시사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문제풀기
 
설명보기
정답전쟁 이후에도 한·일 사이의 교류는 계속 이어졌다. 일본은 한반도를 통해 선진 문물을 수용해야 하는 현실적인 필요가 있었고, 한반도에서도 일본과의 국교 재개를 통해 남해안을 안정시키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으로 결코 단절할 수 없는 관계이다. 양국의 상호 발전을 위해서라도 협력과 교류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를 위해서는 먼저 과거사 문제를 비롯한 역사 청산이 올바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어 양국 사이의 여러 가지 현안을 지혜롭게 해결하고 동반자 관계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정답 및 해설 팝업창 닫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선통신사 자료번호 : edkj.d_0003_002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