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일본에 전해 준 우리문화(교육자료)

백제인의 숨결이 담긴 일본 문화

선사 시대부터 이루어진 교류는 삼국 시대에는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특히 3세기 후반부터 7세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일본으로 건너갔습니다. 이들을 일본에서는 ‘건너온 사람들’이라는 뜻의 ‘주 004
각주 004) 도래인
9세기까지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건너온 이주자들로서 그 자손과 정치적 망명자도 포함한다. 특히 5-7세기 사이의 한반도 도래인들은 토기와 금속기 제조 등의 선진 기술과 다양한 선진문화를 가져와 일본의 고대국가 형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
〈출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닫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라고 합니다.
도래인들이 처음 일본에 건너간 이후 여러 가지 기술을 전하는 것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일본 고대 문화인 아스카 문화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고, 당시 정권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삼국 중 왜의 문화 발전과 정치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나라는 백제였습니다. 또한 두 나라는 동맹을 맺고 왜는 백제를 군사적으로 지원하기도 하였습니다. 당시 일본에서는 ‘구다라나이’ ‘백제 것이 아니면 하찮다’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백제는 일본에게 큰 나라였습니다.

백제가 왜왕에게 전한 칠지도

일본 나라 현 텐리 시에 있는 이소노가미 신궁에는 국보급 유물이 하나 보관되어 있습니다. 바로 칠지도입니다. 길이 75cm에, 가운데 칼날을 중심으로 칼날이 나뭇가지처럼 좌우로 세 개씩 솟아있습니다. 칠지도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예로부터 이와 같은 칼이 없었다.
백제왕이 다스리는 동안에 왕의 명의 받들어 왜왕을 위해 만들었으니
후세에 전하여 보여라."
 
라는 내용입니다.
이를 통해 칠지도는 백제가 왜에 전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에게 백제란? 일본에게 백제란?
칠지도
○ 칠지도에 새겨진 다음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이 무엇입니까?
 
 
문제풀기
 
설명보기
정답백제가 왜왕에게 칠지도를 전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정답 및 해설 팝업창 닫기

◆ 일본에서 태어난 무령왕

일본 사가현 가카라시마 섬에서는 백제 무령왕의 탄신제가 열립니다. 그런데 왜 일본에서 백제왕의 탄신제가 열리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무령왕이 이 섬에 있는 오비야우라 동굴에서 태어났다고 전하기 때문입니다.
일본의 역사책인 『일본서기(권16 武烈紀 4年)』의 기록에 따르면 백제가 장수왕의 공격으로 어려움에 처하자 개로왕은 구원병을 요청하기 위해 동생 곤지를 자신의 부인과 함께 일본에 보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일본으로 가는 도중 임신한 개로왕의 부인이 아기를 낳으려고 했습니다. 그러자 곤지 일행은 가카라시마 섬에 배를 세우고, 오비야우라 동굴에서 아기를 낳았다고 합니다. 이후 곤지는 아기를 배 한척에 실어 백제로 보냈고, 아기는 훗날 왕이 되었다고 전합니다. 그가 바로 무령왕입니다.
무령왕이 태어난 이후 이 섬은 ‘임금의 섬’이라 불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무령왕은 이 섬의 이름을 따 ‘시마왕’이란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백제의 왕족 중 일본에서 자란 사람들도 꽤 많았습니다. 그만큼 백제와 왜의 관계가 깊었던 것입니다. 고구려의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백제는 왜를 끌어들이기도 했었답니다.
무령왕 탄생지(일본 사가현 가카라시마)
공주 시민들이 모금해 세운 무령왕 탄생 기념비(일본 사가현 가카라시마)
○ 가카라시마 섬에서 무령왕 탄신제가 열리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문제풀기
 
설명보기
정답무령왕이 이곳 섬에서 태어났기 때문입니다.
정답 및 해설 팝업창 닫기

◆ 유학과 한자를 전한 왕인 박사

오사카에서는 매년 ‘왔소이 축제’가 열립니다. 이는 한반도에서 문화를 전해 받은 것을 기념해 열리는 축제입니다. ‘왔소’는 ‘우리가 왔소‘라는 뜻을 까진 우리말입니다. 축제 행렬에서 눈에 띄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백제인들입니다. 그중에는 왕인 박사를 비롯한 백제의 학자들도 있습니다.
왕인은 일본에서 큰 스승으로 받들어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왕인보다 먼저 일본에 건너간 학자는 아직기였습니다. 왜왕이 아직기에게 "너보다 나은 박사가 있는가?" 하고 묻자 ‘왕인박사가 가장 우수하다.’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이후 왕인은 왜에 ‘천자문’과 ‘논어’를 가지고 건너가 태자의 스승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태자의 스승을 넘어 일본인들에게 글과 학문을 가르치며 일본 학문 발달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왕인박사 묘 입구_일본 오사카부 히라가타시
왕인박사 묘 전경_일본 오사카부 히라가타시
왕인박사 묘_일본 오사카부 히라가타시
왕인박사 전시관_전라북도 영암군
왕인박사 추정도_전라북도 영암군
왕인박사 관련 유적(성천)_전라북도 영암군
○ 왕인 박사는 일본에서 어떤 역할을 한 사람입니까?
 
 
문제풀기
 
설명보기
정답유학과 한자를 전해준 사람으로 일본 학문 발달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정답 및 해설 팝업창 닫기

◆ 화려하게 꽃핀 불교문화, 아스카 문화

일본의 아스카 지역에 도읍이 있던 시대를 아스카 시대(6세기 중엽~7세기 중엽)라고 합니다. 이 시기에 꽃핀 고대 문화를 주 008
각주 008) 아스카 문화
아스카 시대는 대개 일본에 불교가 전래된 6세기 중엽부터 다이카 개신이 행해지기 이전인 7세기 중엽까지로 잡고 있다. 이 시기에는 불교 전래에 따른 불교문화와 불교미술이 발달했다.
이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소가 씨 집안과 다른 일본계와의 치열한 정치적 투쟁 속에서 소가 씨가 승리함으로써 성취된 것이며 따라서 아스카 시대의 미술 문화 속에서 한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중국과 한국의 삼국시대의 기법·양식을 많이 느낄 수 있는데 이것은 대륙의 선진문물이 유입되면서 기존의 일본풍을 새롭게 한 것으로 보인다. 아스카시대 유물로는 금동제 석가삼존불상, 관음보살과 보장전 안의 구다라(백제) 관음상 등이 있으며 특히 구다라 관음상은 백제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백제인의 탁월한 조형감각과 세련된 미의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출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발췌〉
닫기
라고 합니다.
왕인 박사가 유학을 전하고 이후 백제 성왕이 보낸 승려 노리사치계가 불교를 전한 뒤 일본은 찬란한 불교문화를 꽃피었습니다. 왕인 박사와 함께 건너간 백제의 기술자들이 건축과 공예를 가르치면서 일본의 문화 수준은 한층 높아졌습니다.
당시 왜 왕이 머무는 곳도 기와가 아닌 짚이나 풀로 덮어 만들었다고 하니 그 수준이 어느 정도였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백제인의 손길이 닿으면서 왜는 변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 백제인의 혼이 담긴 백제 관음상

일본 나라현에 있는 주 009
각주 009) 호류지(법륭사)
일본 나라현에 이는 절이다. 스이코 왕[推古王]의 조카 쇼토쿠[聖德]가 601∼607년에 세웠다고 하며 현존하는 일본 최고(最古)의 목조건물이다. 스이코 양식인 금당(金堂)·오중탑(五重塔)을 중심으로 하는 서원(西院)과, 덴표[天平] 양식인 몽전(夢殿)을 중심으로 하는 동원(東院)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미술품에는 불상으로 금당의 약사여래상·석가삼존불상·아미타삼존불상 등이 있고, 벽화에는 금당 4벽의 4불정토도(四佛淨土圖) 등 수백 점의 고미술품이 소장되어 있고 2563마리 비단벌레의 날개로 만든 다마무시즈시[玉蟲廚子 옥충주자]가 유명하다. 이것들은 일본의 국보급 문화재들이다. 특히 백제인이 일본으로 건너가 제작한 목조 백제관음상이 유명하며, 금당 내부의 벽화는 610년(고구려 영양왕 21) 고구려의 담징(曇徵)이 그린 것이다. 이는 중국의 윈강석불[雲崗石佛], 경주의 석굴암 등과 함께 동양 3대 미술품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세계유산목록에 등록되어 있다.
〈출전: 두산백과사전〉
닫기
두산백과사전위치는 일본 고대 문화의 보물 창고와 같은 곳입니다. 이 절은 불교를 일본의 국교로 하고 나라의 기틀을 세운 쇼토쿠 태자(성덕태자)가 세운 절입니다. 법륭사는 백제 기술자들에 의해 세워진 절로 백제인의 숨결이 깃들어 있습니다.
호류지(법륭사)에는 고구려 담징이 그린 것으로 전하는 금당 벽화와 함께 눈에 띄는 문화재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백제 관음상입니다. 세계인들이 ‘동양의 비너스’라고 높이 칭찬한 불상입니다. 나무로 만든 것으로 약 2.8m의 키가 무척 큰 불상입니다. 인자한 얼굴을 하고 있는 이 불상은 보는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줍니다. 우아한 곡선의 아름다움이 느껴지며, 섬세하게 표현된 두 손을 보고 있노라면 신비스러움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왜 이름이 백제 관음상일까요? 그 이름만으로도 백제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학자들은 백제인이 만들어 왜 왕실에 선물했거나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인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한답니다.
일본인들은 백제를 ‘구다라’라고 부릅니다. ‘큰 나라’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백제 관음상을 ‘구다라 관음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호류사(법륭사)
담징의 금당벽화
백제 관음상
○ 백제 관음상을 보니 어떤 느낌이 드나요? 그리고 이 불상의 이름이 왜 ‘백제 관음상’ 혹은 ‘구다라 관음상’이라고 불리는지 그 이유를 알아봅시다.
 
 
문제풀기
 
설명보기
정답섬세한 아름다움이 느껴집니다.
백제인이 만들어 왜 왕실에 선물했거나 일본으로 건너간 백제 인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정답 및 해설 팝업창 닫기
호류지(법륭사)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일본 내 최초의 세계문화유산입니다. 일본에 있는 절인데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낯설지 않은 절이라고 합니다. 절 안에 들어서면서부터 마치 옛 백제 땅의 절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합니다.
특히 이런 느낌을 강하게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호류지(법륭사) 가운데 버티고 서있는 오층탑입니다. 백제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이 가지고 있는 비례감을 가지고 있는 탑입니다. 하지만 일본 만의 느낌도 있습니다. 탑의 1층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과 달리 속지붕이 있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백제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문화재청)
일본 호류지(법륭사) 오층탑
○ 위의 백제와 일본의 탑을 살펴보고 닮은 점과 다른 점을 찾아보세요.
 
 
문제풀기
 
설명보기
정답닮은 점 : 오층탑이다. 탑의 비례감이 비슷하다. 층마다 탑의 지붕이 살짝 들려 있습니다.
다른 점 :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은 석탑이고, 호류지 탑은 목탑입니다. 효류지 탑의 1층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 석탑과 달리 속 지붕이 있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정답 및 해설 팝업창 닫기

◆ 백촌강 전투에 보내진 일본 원정군

형제와 같이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던 왜는 백제가 위기에 처하자 도움의 손을 내밀었습니다. 백제의 수도 사비성이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함락된 후 3년 뒤, 백제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 부흥군이 일어났습니다. 이때 왜는 백제 부흥군을 돕기 위해 800여 척의 배와 27,000여 명의 군대를 보냈습니다. 백제와 힘을 합친 왜의 원정군은 금강 하구에서 운명을 건 전투를 벌였습니다. 이 전투를 백촌강 전투(663년)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백제 부흥군과 왜 연합군은 크게 패하였고 백제는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이후 많은 백제인들과 남은 왜군들이 일본으로 건너갔습니다. 이후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이 왜를 공격할 것이라는 생각에 백제인들은 왜군과 함께 일본 규슈 다자이후 배후 산성으로 성을 쌓았다고 합니다.
이렇듯 두 나라는 운명을 함께 할 정도로 친밀한 관계였습니다.
백촌강 전투

  • 각주 004)
    도래인9세기까지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건너온 이주자들로서 그 자손과 정치적 망명자도 포함한다. 특히 5-7세기 사이의 한반도 도래인들은 토기와 금속기 제조 등의 선진 기술과 다양한 선진문화를 가져와 일본의 고대국가 형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
    〈출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바로가기
  • 각주 008)
    아스카 문화아스카 시대는 대개 일본에 불교가 전래된 6세기 중엽부터 다이카 개신이 행해지기 이전인 7세기 중엽까지로 잡고 있다. 이 시기에는 불교 전래에 따른 불교문화와 불교미술이 발달했다.
    이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소가 씨 집안과 다른 일본계와의 치열한 정치적 투쟁 속에서 소가 씨가 승리함으로써 성취된 것이며 따라서 아스카 시대의 미술 문화 속에서 한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중국과 한국의 삼국시대의 기법·양식을 많이 느낄 수 있는데 이것은 대륙의 선진문물이 유입되면서 기존의 일본풍을 새롭게 한 것으로 보인다. 아스카시대 유물로는 금동제 석가삼존불상, 관음보살과 보장전 안의 구다라(백제) 관음상 등이 있으며 특히 구다라 관음상은 백제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백제인의 탁월한 조형감각과 세련된 미의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출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발췌〉 바로가기
  • 각주 009)
    호류지(법륭사)일본 나라현에 이는 절이다. 스이코 왕[推古王]의 조카 쇼토쿠[聖德]가 601∼607년에 세웠다고 하며 현존하는 일본 최고(最古)의 목조건물이다. 스이코 양식인 금당(金堂)·오중탑(五重塔)을 중심으로 하는 서원(西院)과, 덴표[天平] 양식인 몽전(夢殿)을 중심으로 하는 동원(東院)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미술품에는 불상으로 금당의 약사여래상·석가삼존불상·아미타삼존불상 등이 있고, 벽화에는 금당 4벽의 4불정토도(四佛淨土圖) 등 수백 점의 고미술품이 소장되어 있고 2563마리 비단벌레의 날개로 만든 다마무시즈시[玉蟲廚子 옥충주자]가 유명하다. 이것들은 일본의 국보급 문화재들이다. 특히 백제인이 일본으로 건너가 제작한 목조 백제관음상이 유명하며, 금당 내부의 벽화는 610년(고구려 영양왕 21) 고구려의 담징(曇徵)이 그린 것이다. 이는 중국의 윈강석불[雲崗石佛], 경주의 석굴암 등과 함께 동양 3대 미술품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세계유산목록에 등록되어 있다.
    〈출전: 두산백과사전〉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백제인의 숨결이 담긴 일본 문화 자료번호 : edkj.d_0001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