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사 수업자료

베트남 전쟁

6-2단원 3차시
  • 저필자
    설혜민(부천북고 역사 교사)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의 배경
베트남 전쟁의 전개
베트남 전쟁의 영향
이후의 베트남

베트남 전쟁의 배경

  •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식민지
    • 1940년부터 일본 지배
    • 일본 패망 무렵 베트남 인들이 봉기,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1945)
    • 프랑스군 주둔, 식민통치 지속하려 함(베트남 민주 공화국 인정하지 않음)
    • 호찌민을 위시한 독립 운동 세력과 프랑스의 협상 결렬 → 프랑스와 전쟁 시작(1946)

프랑스군 주둔, 식민통치 지속하려 함(베트남 민주 공화국 인정하지 않음)
베트남 전쟁의 배경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호찌민호찌민
베트남 전쟁의 배경
1945년 8월 일본이 패망하자 호찌민은 하노이에서 독립을 선포하고 베트남민주공화국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프랑스는 베트남에 대한 지배를 포기하지 않으려고 했다. 프랑스인 투자자들의 반발과 알제리 등 다른 식민지의 독립 요구도 고려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또 1차 대전 이후 베르사유 체제가 식민지는 건드리지 않았던 것처럼 2차 대전 직후에도 패전국의 식민지를 제외한 다른 지역들은 식민통치가 그대로 유지되었던 것이다. 2차 대전의 후유증이 컸던 프랑스는 영국군을 동원하여 사이공(현재의 호찌민 시)에서 발생한 봉기를 진압하고 식민권력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에 프랑스는 베트남공산당 및 베트남민주공화국과 전쟁을 벌여야 했다.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주 352
각주 352) 베트남 민주 공화국
북베트남이라고도 불림. 1945년 호찌민을 중심으로 세워진 동남아시아 최초의 공산주의국가. 1954년 베트남 남북 분단 후에는, 북위 17 도선 이북의 북베트남 통치.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
닫기

베트남 전쟁의 전개Ⅰ

1. 프랑스와의 전쟁 – 독립을 위한 전쟁을 하다.
프랑스와 호찌민이 이끄는 베트남민주공화국의 전쟁 발발(1946.12)
  • 프랑스는 남베트남 지역에 자치 정부인 베트남국 건국(1949), 북베트남과의 전쟁에 동원
  • 캄보디아, 라오스까지 전쟁 확산(미국과 중국이 프랑스와 베트남 민주 공화국 각각 지원)
  •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 항복(1954), 제네바 협정 체결로 마무리

베트남 전쟁의 전개 - 프랑스와의 전쟁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디엔비엔푸위치
베트남 전쟁의 전개 - 프랑스와의 전쟁
전쟁 시작 후 프랑스는 미국과 영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지만, 식민권력으로부터 독립하고자 했던 베트남 사람들의 열망을 막을 수는 없었다. 여기에 더하여 중국공산당은 호찌민을 적극 지원하였다. 중국 국․공 내전 동안 호찌민의 도움을 받았던 중국공산당은 혁명 이후 한국에서 북한을 도와주었던 것처럼 호찌민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도움을 주었다. 특히 1953년 한국에서 정전협정이 체결된 이후 베트남민주공화국에 대한 군사지원은 더욱 늘었다. 중국의 원조에 힘입어 호찌민의 군대는 1954년 프랑스와의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주 353
각주 353) 베트남국
1949년부터 1955년까지 베트남에 존재한 프랑스의 괴뢰국.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국가 원수로 내세워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대항.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
닫기
주 354
각주 354) 캄보디아, 라오스까지 전쟁 확산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베트남 뿐 아니라 캄보디아·라오스까지 포함되었기 때문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도 불림. 전쟁이 확산되자, 미국과 중국은 프랑스와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각각 막대한 물자 지원.
닫기
주 355
각주 355) 제네바 협정
제네바 협정(1954.4)

잠정적 군사 분계선을 설정하여 양측 군대를 철수시킨 뒤, … 완충 지대를 만들고, 또 적대 행위의 재발을 가져올지 모르는 모든 사건을 방지하기 위하여, 군사 분계선의 양쪽에 그 분계선으로부터 최대한 5㎞ 폭의 비무장 지대를 설정하는 데 합의한다. 회의는 베트남에 관한 한 독립과 통일 및 영토 보전의 여러 원칙을 존중하는 것을 바탕으로 정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베트남 주민들이 비밀 투표에 의한 자유 총선거로 민주주의적 기구를 수립하고 그 기구가 보장하는 기본적 자유를 누릴 수 있게 할 것을 선언한다.

- 한국의 통일 문제와 베트남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국제회의. 북위 17도선을 잠정적인 군사 분계선으로 삼아 양측 군대를 물리고 2년 이내에 총선거를 통해 베트남 통일 정부의 수립 결정하도록 명시.(베트남 남북 분단의 씨앗이 됨)
제네바 협정(1954.4)
군사 분계선의 양쪽에 그 분계선으로부터 최대한 5㎞ 폭의 비무장 지대를 설정하는 데 합의
베트남 주민들이 비밀 투표에 의한 자유 총선거로 민주주의적 기구를 수립
2년 이내에 총선거를 통해 베트남 통일 정부의 수립 결정하도록 명시
닫기

베트남 전쟁의 전개

2. 미국과의 전쟁 – 국제전으로 발전하다.
남베트남과 미국의 총선거 거부 (도미노 이론)
  • 남부만의 단독 선거로 베트남 공화국 수립(1955)
  • 북베트남은 호찌민 통로 건설, 정부에 반대하는 남부 사람들이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결성(1960)
  • 미국은 대규모 군사 고문단과 군사·경제 원조를 통해 남베트남 정권 지원
  • 독재를 휘두르던 응오 딘지엠 정권 붕괴, 군사 정권 수립(군부 쿠데타 발생으로 정국 불안정)

베트남 전쟁의 전개 - 미국과의 전쟁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베트남 전쟁의 전개 - 미국과의 전쟁
프랑스는 전쟁에서 패한 후 그냥 철수하지 않았다. 베트남에서의 식민권력을 미국에 이양하고자 했으며, 이에 베트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담이 1954년 제네바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담은 한국전쟁을 정치적으로 종결하기 위해 개최된 공산군과 유엔군 양측의 회담과 동시에 열렸다. 제네바회담에서 원래 본 의제였던 한국전쟁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지만, 베트남 문제는 17도선을 경계로 하여 남과 북으로 베트남을 분단하고 2년 이내에 총선거를 실시하여 베트남을 통일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물론 총선거는 남부의 거부로 인해 실시되지 않았고, 남부가 단독 선거를 거쳐 베트남공화국을 수립하였기에 분단은 지속되었다. 북베트남은 호찌민의 지도하에 소련 방식의 사회주의 건설에 들어갔다. 남베트남에서 미국의 지원을 받았던 지엠 대통령은 통일운동세력을 공산당으로 몰아세우며 이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에 들어갔다. 그러나 북베트남의 호찌민 정부는 제네바 합의에 의거해서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비폭력 투쟁을 진행할 것을 지시하였다. 한편 남부 농촌에서는 북베트남공산당의 지시를 받지 않는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남민전)이 게릴라전쟁을 전개하였다. 게릴라의 활동이 점점 확대되는 가운데 1961년 미국 케네디 대통령은 베트남에 처음으로 파병을 결정하였다. 1965년 미국은 통킹만에서 북베트남 군대가 미군을 공격한 것처럼 사건을 조작하였고, 이를 빌미로 이후 북베트남에 대한 무차별 폭격을 개시하였다. 이제 미국은 베트남에 본격적으로 개입하며 전쟁을 베트남 전체로 확대하였다. 남민전은 북베트남공산당의 지원을 받았지만 엄연히 서로 다른 조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북베트남의 지원을 끊으면 남민전을 모두 소탕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상황은 점차 남민전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먼저 남베트남의 정치상황이 점점 악화되었다. 케네디행정부와 존슨행정부는 남베트남에서 쿠데타를 조종함으로써 북베트남과의 협상을 추진했던 지엠을 제거하였고, 이후 두 차례의 쿠데타를 통해 불교세력과 가까웠던 민 장군과 연립정부를 추진했던 응우옌 카인 장군을 제거하였다. 이후 미국의 전쟁정책에 순응했던 응우옌 반 티에우 장군을 대통령으로 임명하였지만, 이들의 부패로 인해 전황은 미국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또 전쟁이 계속되자 미국 내에서 전쟁에 반대하는 여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1967년 전쟁에 반대하는 최초의 시위가 있었으며, 1968년의 구정공세 이후에는 반전시위가 더 확산되었다. 구정공세는 남민전이 구정을 이용해서 미군을 전면적으로 공격한 사건이었고, 그 결과 남민전은 치명적인 손상을 입었다. 그러나 전투의 결과와 상관없이 구정공세의 현장을 지켜본 미국과 세계는 미국이 선전했던 ‘자유를 위한 전쟁’이 거짓이었음을 느끼게 되었고 거대한 반전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후 닉슨이 대통령이 당선되었고, 남베트남의 민심은 이미 미국과 미국의 지원을 받는 남베트남정부로부터 떠나 있었기 때문에 닉슨행정부는 1970년말부터 미군을 철수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1973년 파리협정을 통해 미국은 베트남에서 미군의 철수와 50억 달러의 보상금 지급을 약속했고, 같은 해 베트남 주둔 미군은 모두 철수하였다. 그 후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정부는 사이공을 함락한 북베트남 군대에 의해 무너졌고, 이로써 10여년에 가까운 전쟁은 마침표를 찍었다. 19세기초 프랑스의 베트남 점령 이후 시작된 베트남 사람들의 해방을 위한 오랜 염원이 이루어지는 순간이었다.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주 356
각주 356) 베트남 전쟁의 전개
교학사 지도 참고교학사 지도 참고
닫기
주 357
각주 357) 도미노 이론
1954년 아이젠하워 등이 주장. 한 나라가 공산화되면 주변 나라도 도미노가 쓰러지듯 잇따라 공산화될 수 있다고 본 외교 정책 이론. 국·공 내전과 6·25를 경험한 미국은 이 이론을 내세워 17도선 이남의 베트남을 보루로 지키고자 함.
천재교과서 본문 참고천재교과서 본문 참고
닫기
주 358
각주 358)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1955~1975)

남베트남이라고도 불림. 응오 딘지엠이 건국. 북위 17도선 베트남 군사분계선 이남에 존재했던 나라로, 분계선 북쪽의 북베트남과 대치. 철저한 반공 정책을 취하면서 반대자들 탄압하고 정치와 경제에서 미국에 상당 부분 의존.
- 베트남국(바오다이.1949~) → 제네바 협정의 총선거 거부 → 베트남 공화국 수립(응오 딘지엠.1955~) 바오 다이 황제 폐위.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베트남 공화국(1955~1975)
닫기
주 359
각주 359) 호찌민 통로
북베트남에서 라오스·캄보디아를 지나 남베트남으로 통하는 밀림 속의 길. 북베트남 정부가 베트콩의 무력 투쟁 지원하기 위해 통로 건설.
닫기
주 360
각주 360)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베트남 전쟁 중 미국과 연합한 남베트남과 싸우기 위한 무장 투쟁 조직. 베트콩은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의 군대인 인민해방군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으며, 공산주의의 영향 하에 있던 민간인들에게도 사용.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
닫기

베트남 전쟁의 전개

2. 미국과의 전쟁 – 국제전으로 발전하다.
통킹만 사건 빌미로 북베트남에 폭격 감행(1965~), 미군 전투 부대 투입하면서 전쟁 확대
  • 한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파병 / 사회주의 진영도 북베트남 지원
  •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의 구정 공세(1968.1) → 닉슨 독트린 선언 후 베트남에서 철수 시작(1969) → 파리 평화 협정(1973) → 북베트남이 사이공 점령하면서 베트남 전쟁 종결(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1975)

베트남 전쟁의 전개 - 미국과의 전쟁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베트남 전쟁의 전개 - 각국의 파병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 역사재단 -
-천재교육 교과서 참고 -
베트남 전쟁의 전개 - 미국과의 전쟁
프랑스는 전쟁에서 패한 후 그냥 철수하지 않았다. 베트남에서의 식민권력을 미국에 이양하고자 했으며, 이에 베트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담이 1954년 제네바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담은 한국전쟁을 정치적으로 종결하기 위해 개최된 공산군과 유엔군 양측의 회담과 동시에 열렸다. 제네바회담에서 원래 본 의제였던 한국전쟁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지만, 베트남 문제는 17도선을 경계로 하여 남과 북으로 베트남을 분단하고 2년 이내에 총선거를 실시하여 베트남을 통일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물론 총선거는 남부의 거부로 인해 실시되지 않았고, 남부가 단독 선거를 거쳐 베트남공화국을 수립하였기에 분단은 지속되었다. 북베트남은 호찌민의 지도하에 소련 방식의 사회주의 건설에 들어갔다. 남베트남에서 미국의 지원을 받았던 지엠 대통령은 통일운동세력을 공산당으로 몰아세우며 이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에 들어갔다. 그러나 북베트남의 호찌민 정부는 제네바 합의에 의거해서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비폭력 투쟁을 진행할 것을 지시하였다. 한편 남부 농촌에서는 북베트남공산당의 지시를 받지 않는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남민전)이 게릴라전쟁을 전개하였다. 게릴라의 활동이 점점 확대되는 가운데 1961년 미국 케네디 대통령은 베트남에 처음으로 파병을 결정하였다. 1965년 미국은 통킹만에서 북베트남 군대가 미군을 공격한 것처럼 사건을 조작하였고, 이를 빌미로 이후 북베트남에 대한 무차별 폭격을 개시하였다. 이제 미국은 베트남에 본격적으로 개입하며 전쟁을 베트남 전체로 확대하였다. 남민전은 북베트남공산당의 지원을 받았지만 엄연히 서로 다른 조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북베트남의 지원을 끊으면 남민전을 모두 소탕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상황은 점차 남민전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먼저 남베트남의 정치상황이 점점 악화되었다. 케네디행정부와 존슨행정부는 남베트남에서 쿠데타를 조종함으로써 북베트남과의 협상을 추진했던 지엠을 제거하였고, 이후 두 차례의 쿠데타를 통해 불교세력과 가까웠던 민 장군과 연립정부를 추진했던 응우옌 카인 장군을 제거하였다. 이후 미국의 전쟁정책에 순응했던 응우옌 반 티에우 장군을 대통령으로 임명하였지만, 이들의 부패로 인해 전황은 미국에게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또 전쟁이 계속되자 미국 내에서 전쟁에 반대하는 여론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1967년 전쟁에 반대하는 최초의 시위가 있었으며, 1968년의 구정공세 이후에는 반전시위가 더 확산되었다. 구정공세는 남민전이 구정을 이용해서 미군을 전면적으로 공격한 사건이었고, 그 결과 남민전은 치명적인 손상을 입었다. 그러나 전투의 결과와 상관없이 구정공세의 현장을 지켜본 미국과 세계는 미국이 선전했던 ‘자유를 위한 전쟁’이 거짓이었음을 느끼게 되었고 거대한 반전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후 닉슨이 대통령이 당선되었고, 남베트남의 민심은 이미 미국과 미국의 지원을 받는 남베트남정부로부터 떠나 있었기 때문에 닉슨행정부는 1970년말부터 미군을 철수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1973년 파리협정을 통해 미국은 베트남에서 미군의 철수와 50억 달러의 보상금 지급을 약속했고, 같은 해 베트남 주둔 미군은 모두 철수하였다. 그 후 1975년 4월 30일 남베트남정부는 사이공을 함락한 북베트남 군대에 의해 무너졌고, 이로써 10여년에 가까운 전쟁은 마침표를 찍었다. 19세기초 프랑스의 베트남 점령 이후 시작된 베트남 사람들의 해방을 위한 오랜 염원이 이루어지는 순간이었다.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베트남 전쟁의 전개 - 각국의 파병
미국은 통킹만 사건 이후 북베트남을 폭격하고 전투 부대를 파병하면서 베트남 전쟁이 확대되었다. 동시에 남베트남에 미군 전투 부대를 투입하였다. 미국은 케네디 대통령 때 처음으로 파병을 결정하였는데, 케네디 재임 당시 1만 8000여명이었던 파병 미군은 케네디 사후 존슨 대통령이 취임한 후 50만 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미국이 1968년까지 베트남에 파병한 병력은 54만 명에 달하였다. 이뿐 아니라 미국정부는 1964년 ‘더 많은 깃발(more flag)’이라는 구호 아래 동맹국들을 베트남 전쟁에 끌어들였다. 한국을 비롯하여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가 파병하였다. 한국의 파병 군인 수는 미국 다음으로 많았는데, 박정희 정부는 베트남 전쟁의 특수를 확보하여 경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1964년 의료부대를 파견하고, 1965년 2만 1천여 명의 전투 병력을 파병한 것을 시작으로 1972년 3만 3천여 명을 파병할 때까지 모두 324,864명을 파병하였다. 일본은 미국의 강한 요청이 있었지만, 국내의 강한 반대 여론에 밀려 자위대를 파병하지는 못하였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에서도 전쟁 특수의 혜택을 누렸다. 또 필리핀, 대만, 스페인에서는 비전투원을 파견하였다. 사회주의 진영은 중국과 소련 간에 갈등이 삼하여 통일된 행동을 취하지 못하였다. 두 나라 모두 미국과의 직접 대결은 베트남에 미루고, 전쟁의 직접적인 피해가 자신들에게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만 베트남을 지원하였다. 먼저 중국은 인민 해방군 32만 명을 파병하였다.
이들은 고사포를 사용하는 방공작전, 철도와 비행장 건설, 도로 건설과 개수, 통신망 정비 등에 종사하였다. 인민 해방군은 직접 전투에 참가하지 않는 후방 지원부대의 성격이었다. 소련은 1965년 7월부터 1974년까지 미사일과 전투기 관련 요원 6,359명을 파견하였다. 북한은 한국이 파병을 결정하자 200여 명의 전투기 조종사를 파견하여 북베트남을 지원하였고, 경제 기술 원조 협정을 맺었다. 또 군사적 지원 외에 경제적 지원도 적지 않게 하였다. 소련은 1968년부터 1970년까지 12억 2,8000만 루블을 원조하였다. 중국 역시 전쟁 기간 중 매년 100만 톤의 물자를 공급했고, 1950년부터 1978년 3월까지 총 200억 달러를 지원하였다. 중․소의 지원 규모는 1965년부터 1973년까지 북베트남정권 국가 세입의 평균 62%를 차지할 정도였다.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 역사재단 -
-천재교육 교과서 참고 - 
주 361
각주 361) 통킹만 사건
통킹만 사건(1964)

1964년 미국 정부가 베트남 어뢰정에 의해 미국 군함이 공격 당했다고 발표한 사건. 이 사건을 빌미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 후에 미국의 조작으로 밝혀짐
천재교과서 설명 참고천재교과서 설명 참고통킹만 사건(1964)통킹만위치
닫기
주 362
각주 362) 한국
월남파병-한미 대통령 친서(1965.7.25.29)

박대통령의 친서

월남사태에 대한 각하의 확고한 결의에 대하여 본인은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는 사실을 먼저 통고해 드립니다.
각하도 아시다시피 한국정부는 이미 사단 규모의 전투병력을 월남에 증파할 계획을 추진 중에 있으며 … 국회의 승인을 얻게 될 것이 확실합니다.
우리의 이러한 적극적인 수단만이 궁극적으로 월남에 평화를 회복시키는 최선의 방책이 될 것입니다.

- 시대자료 광복30년사 -, 세문사, 1973 -

한국군의 월남파병은 1965년 1월 정부와 국회에서 결정되었다. 그 해 5월 박정희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였고, 6월에 한국정부는 전투병력 2만 명을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야당의 반대 속에서8월 13일 공화당만으로 전투부대의 월남 파견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사진자료 링크주소사진자료 링크주소월남파병-한미 대통령 친서(1965.7.25.29)
- 시대자료 광복30년사 -, 세문사, 1973 -
닫기
주 363
각주 363) 닉슨 독트린
닉슨 독트린과 베트남 전쟁

1968년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의 구정 공세로 미국은 큰 타격을 받았다. 또 전쟁이 장기화되자 재정 부담도 점점 심해졌다. 이에 미국 내에서 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반전 운동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1969년 7월 닉슨은 아시아의 문제는 아시아인이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는 닉슨 독트린을 발표하였다.
닉슨 독트린닉슨 독트린
닫기
주 364
각주 364) 파리 평화 협정
파리 평화 협정(1973)

제4조 미국은 군사적 개입을 계속하지 않으며 남베트남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
제5조 본 협정 조인 후 60일 안으로 미군과 규정된 외국은 남베트남에서 군대·군사 고문단·평정 계획에 관련된 기술 및 군사 요원·군 장비·탄약 및 군수 물자를 모두 철수한다.
제15조 베트남의 통일은 남·북베트남 간에 이루어질 협정이나 토의에 입각한 평화적 수단을 통해 단계적으로 실현하며, 어느 일방에 의한 강제나 합병, 또 외국의 간섭이 없어야 한다. 통일의 시기는 남·북베트남 간에 합의한다.
제20조 베트남에 관한 파리 회담에 참가하는 당사자들은 크메르(현재의 캄보디아) 및 라오스 국민의 기본적 국민권, 즉 이 국가들의 독립·주권 단합·영토 보전을 인정한 캄보디아에 관한 1954년 제네바 협정과 라오스에 관한 1962년 제네바 협정을 엄정히 존중한다. 또 당사자들은 캄보디아 및 라오스의 중립을 존중한다.
파리 평화 협정(1973)
닫기

베트남 전쟁의 영향

1. 베트남
  1. 막대한 인명 피해
    • 남베트남 : 41만여 명의 민간인, 50만여 명의 정부군 사상자 발생
    • 북베트남,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 군인 사상자만 110만 명
  2. 산업 시설의 피해
  3. 전쟁의 후유증 – 고엽제 피해, 전쟁고아, Boat Pelple
주 365
각주 365) 막대한 인명 피해
사진자료 링크사진자료 링크
닫기
주 366
각주 366) 고엽제 피해
전쟁 당시 미군은 베트남의 산림과 해안, 논 등에 수목을 말려 죽이는 고엽제를 대량으로 퍼붓는 ‘고엽 작전’전개. 고엽제 사용으로 농토 폐허, 내륙의 밀림과 해안 생태계 파괴. 또 기형아 출산과 염색체 손상, 간암 및 간염 발생 등 인체의 건강 피해 발생. 베트남에 파병된 한국 군인 중 피해를 인정받은 사람만 2만 5천명 정도로 자식들에게까지 대물림됨.
사진자료 링크사진자료 링크
닫기

베트남 전쟁의 영향

2. 한국과 일본
  1. 한국
    • 엄청난 인적 손실과 전쟁 후유증으로 고통
    • 파병과 기업 진출을 통해 경제 건설 자금 마련
  2. 일본
    • 전쟁 물자 공급, 미군의 휴양처 제공 → 고도의 경제 성장 이룩하는 기회
베트남 전쟁의 영향 - 한국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 역사재단 –
베트남 전쟁의 영향 - 일본
-『동아시아 근현대사』, 우에하라 카즈요시 외, 옛 오늘 -
베트남 전쟁의 영향 - 한국
베트남 전쟁은 한국에 큰 영향을 끼쳤다. 한국 군대는 1972년 철수를 시작하여 1973년 초에 완료하였는데, 전쟁 기간 동안 한국군은 전사자 4,662명을 비롯하여 5,099명이 전사․순직․사망하였고, 17,060명이 전상․부상당하였다. 1,300여 명의 고엽제 피해자가 발생하여 지금도 고통 받고 있다.
그러나 전쟁 기간 동안 약 50억 달러 정도의 경제 지원 효과도 있었다, 미국의 대한군사원조는 6․25 전쟁이 끝난 후 점차 줄어들었는데,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을 계기로 점차 늘어나 1965년부터 1975년까지 약 10억 달러 정도 이루어졌다. 장병의 월급 및 물자구매, 기타 경비지출 등으로 10억 달러 정도 유입되었다. 한국 기업의 전쟁 특수를 이용한 기업 활동으로도 약 10억 달러가 유입되었다. 그리고 여러 선진국에서 제공한 차관 등 직간접적으로 유입된 외화만도 20억 달러에 이르렀다. 간접적 경제효과로는 대미 수출이 증대한 점과 1970년대 중동 건설 붐 때 정부와 기업 모두 베트남에서의 선험적 경험이 큰 도움이 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요컨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함으로써 막대한 외화가 유입되고 색다른 경험이 축적되면서 1960년대 후반 연평균 11.8%의 성장률을 달성하는 등 고도성장을 계속 할 수 있었다.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 역사재단 –

베트남 전쟁의 영향 - 일본
베트남 전쟁에 동아시아 국가들은 깊숙이 관련되었다. 베트남 전쟁이 장기화․대규모화가 됨에 따라 미국이 아시아․태평양 국가들과의 상호방위조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들 국가들에게 지원을 요청하였기 때문이다. 한국군 파병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은 이 지원체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 협력국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전쟁에 가담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해 이들 국가에 경제성장을 일으켜 재정적․산업적 기반을 강화시키려 하였다. 여기서 일본은 그 근거지가 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지속적인 고도성장으로 세계 및 아시아에서 그에 상응한 지위 획득을 요구하는 발판을 강화하였다. 또 일본은 직접 파병은 하지 않았지만 기지 기능의 확대를 통해 전선의 일부를 담당하였다. 또 항공모함을 위시한 미국 함정에 대한 병참보급과 수리, 군인들의 휴양지 기능을 맡았다. 더욱이 전차․장갑차․비행기의 수리․연습․훈련․의료․오락․통신 등의 기지 기능도 수행하였다. 일본의 기지는 분명히 베트남 전선의 일부 역할을 담당하였다.
-『동아시아 근현대사』, 우에하라 카즈요시 외, 옛 오늘 - 

베트남 전쟁의 영향

3. 냉전의 완화
- 베트남 전쟁의 종결은 동아시아 냉전을 완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옴.
  • 닉슨 독트린의 발표,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과 중국과의 국교 정상화
  • 중국과의 관계 개선은 소련 자극, 소련과의 긴장 완화에도 기여

베트남 전쟁과 냉전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 역사재단 -
베트남 전쟁과 냉전
베트남 전쟁은 데탕트의 본격적 전개를 알리는 닉슨 독트린이 발표되도록 만드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닉슨은 베트남 문제를 해결하면서 미국의 국제적 주도권을 유지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다극화하고 있는 세계 질서에 적응하면서도 미·소간의 세력균형을 유지한다는 현실주의적 외교 전략의 일환이기도 하였다. 미국 대외정책의 변화를 가장 극명하게 드러낸 사례는 대중국 봉쇄 정책을 폐기하고 중국과 화해한 일을 들 수 있다. 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은 냉전체제에 중요한 분수령이 되었다. 소위 데탕트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닉슨의 중국 방문이 곧바로 미·중 관계의 정상화를 가져온 것은 아니었지만. 이후 중국과 소련 사이의 분열을 통해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이 본격화되었고, 결국 1973년 1월 미국과 북베트남 사이의 파리협정 조인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파리협정을 통해 미국은 베트남에서 미군의 철수와 50억 달러의 보상금 지급을 약속하였고, 같은 해 베트남 주둔 미군은 모두 철수하였다. 또한 미국이 중국에 접근한 전략은 소련을 자극하여 유럽에서의 긴장 완화 교섭에 끌어들여 협력을 얻어내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유용태 외, 창비 -
-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동북아 역사재단 - 

이후의 베트남

베트남에서 사회주의 정권 수립 후 캄보디아와 라오스 공산화
  • 캄보디아 : 크메르 루주 정권 쫓아내고 군대 주둔 시키는 등 강한 영향력 행사 → 캄보디아를 지원했던 중국과 영토 문제, 사회주의 노선 차이로 두 차례 전쟁을 치르기도 함(중국은 2만 명의 사상자를 내고 철수)

주 367
각주 367) 크메르 루주
캄보디아 공산주의 정당. 크메르 루주의 지도자는 폴 포트로, 이 정권하에서 사형과 기아 그리고 강제 노동으로 캄보디아 인구의 1/3 또는 150만명을 학살한 정권으로 기억됨. 1979년 베트남의 침공으로 크메르 루주는 제거되고 온건한 친베트남 공산주의자로 대체.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폴 포트폴 포트
닫기

베트남 전쟁

배경
전개
영향
  • 일본 패망 무렵 베트남 인들이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 → 프랑스군 주둔, 식민통치 지속하려 함
    → 베트남 민주 공화국과 프랑스의 전쟁 시작(1946)

- 프랑스는 베트남국 건국→주변국으로 전쟁 확산→디엔비엔푸 전투, 제네바 협정→남베트남, 미국의 총선거 거부→남부에 베트남 공화국 수립→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결성→통킹만 사건, 북베트남에 폭격→구정 공세→닉슨 독트린→파리 평화 협정→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
  1. 베트남 : 인명·산업 시설 피해, 전쟁 후유증
  2. 한국 : 인적 손실, 전쟁 후유증 / 경제 건설 자금 마련
  3. 일본 : 전쟁 물자·미군 휴양처 제공 → 경제 성장
  4. 동아시아 냉전 완화되는 결과
    → 닉슨 독트린,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 소련과의 긴장 완화에 기여

  • 각주 352)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이라고도 불림. 1945년 호찌민을 중심으로 세워진 동남아시아 최초의 공산주의국가. 1954년 베트남 남북 분단 후에는, 북위 17 도선 이북의 북베트남 통치.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 바로가기
  • 각주 353)
    베트남국1949년부터 1955년까지 베트남에 존재한 프랑스의 괴뢰국.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국가 원수로 내세워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대항.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 바로가기
  • 각주 354)
    캄보디아, 라오스까지 전쟁 확산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베트남 뿐 아니라 캄보디아·라오스까지 포함되었기 때문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도 불림. 전쟁이 확산되자, 미국과 중국은 프랑스와 베트남 민주 공화국에 각각 막대한 물자 지원.
     바로가기
  • 각주 355)
    제네바 협정제네바 협정(1954.4)

    잠정적 군사 분계선을 설정하여 양측 군대를 철수시킨 뒤, … 완충 지대를 만들고, 또 적대 행위의 재발을 가져올지 모르는 모든 사건을 방지하기 위하여, 군사 분계선의 양쪽에 그 분계선으로부터 최대한 5㎞ 폭의 비무장 지대를 설정하는 데 합의한다. 회의는 베트남에 관한 한 독립과 통일 및 영토 보전의 여러 원칙을 존중하는 것을 바탕으로 정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베트남 주민들이 비밀 투표에 의한 자유 총선거로 민주주의적 기구를 수립하고 그 기구가 보장하는 기본적 자유를 누릴 수 있게 할 것을 선언한다.

    - 한국의 통일 문제와 베트남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열린 국제회의. 북위 17도선을 잠정적인 군사 분계선으로 삼아 양측 군대를 물리고 2년 이내에 총선거를 통해 베트남 통일 정부의 수립 결정하도록 명시.(베트남 남북 분단의 씨앗이 됨)
    제네바 협정(1954.4)
    군사 분계선의 양쪽에 그 분계선으로부터 최대한 5㎞ 폭의 비무장 지대를 설정하는 데 합의
    베트남 주민들이 비밀 투표에 의한 자유 총선거로 민주주의적 기구를 수립
    2년 이내에 총선거를 통해 베트남 통일 정부의 수립 결정하도록 명시 바로가기
  • 각주 356)
    베트남 전쟁의 전개
    교학사 지도 참고교학사 지도 참고 바로가기
  • 각주 357)
    도미노 이론1954년 아이젠하워 등이 주장. 한 나라가 공산화되면 주변 나라도 도미노가 쓰러지듯 잇따라 공산화될 수 있다고 본 외교 정책 이론. 국·공 내전과 6·25를 경험한 미국은 이 이론을 내세워 17도선 이남의 베트남을 보루로 지키고자 함.
    천재교과서 본문 참고천재교과서 본문 참고 바로가기
  • 각주 358)
    베트남 공화국베트남 공화국(1955~1975)

    남베트남이라고도 불림. 응오 딘지엠이 건국. 북위 17도선 베트남 군사분계선 이남에 존재했던 나라로, 분계선 북쪽의 북베트남과 대치. 철저한 반공 정책을 취하면서 반대자들 탄압하고 정치와 경제에서 미국에 상당 부분 의존.
    - 베트남국(바오다이.1949~) → 제네바 협정의 총선거 거부 → 베트남 공화국 수립(응오 딘지엠.1955~) 바오 다이 황제 폐위.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베트남 공화국(1955~1975) 바로가기
  • 각주 359)
    호찌민 통로북베트남에서 라오스·캄보디아를 지나 남베트남으로 통하는 밀림 속의 길. 북베트남 정부가 베트콩의 무력 투쟁 지원하기 위해 통로 건설.
     바로가기
  • 각주 360)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베트남 전쟁 중 미국과 연합한 남베트남과 싸우기 위한 무장 투쟁 조직. 베트콩은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의 군대인 인민해방군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으며, 공산주의의 영향 하에 있던 민간인들에게도 사용.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 바로가기
  • 각주 361)
    통킹만 사건통킹만 사건(1964)

    1964년 미국 정부가 베트남 어뢰정에 의해 미국 군함이 공격 당했다고 발표한 사건. 이 사건을 빌미로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 후에 미국의 조작으로 밝혀짐
    천재교과서 설명 참고천재교과서 설명 참고통킹만 사건(1964)통킹만위치 바로가기
  • 각주 362)
    한국월남파병-한미 대통령 친서(1965.7.25.29)

    박대통령의 친서

    월남사태에 대한 각하의 확고한 결의에 대하여 본인은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는 사실을 먼저 통고해 드립니다.
    각하도 아시다시피 한국정부는 이미 사단 규모의 전투병력을 월남에 증파할 계획을 추진 중에 있으며 … 국회의 승인을 얻게 될 것이 확실합니다.
    우리의 이러한 적극적인 수단만이 궁극적으로 월남에 평화를 회복시키는 최선의 방책이 될 것입니다.

    - 시대자료 광복30년사 -, 세문사, 1973 -

    한국군의 월남파병은 1965년 1월 정부와 국회에서 결정되었다. 그 해 5월 박정희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였고, 6월에 한국정부는 전투병력 2만 명을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야당의 반대 속에서8월 13일 공화당만으로 전투부대의 월남 파견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사진자료 링크주소사진자료 링크주소월남파병-한미 대통령 친서(1965.7.25.29)
    - 시대자료 광복30년사 -, 세문사, 1973 - 바로가기
  • 각주 363)
    닉슨 독트린닉슨 독트린과 베트남 전쟁

    1968년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의 구정 공세로 미국은 큰 타격을 받았다. 또 전쟁이 장기화되자 재정 부담도 점점 심해졌다. 이에 미국 내에서 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반전 운동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1969년 7월 닉슨은 아시아의 문제는 아시아인이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는 닉슨 독트린을 발표하였다.
    닉슨 독트린닉슨 독트린 바로가기
  • 각주 364)
    파리 평화 협정파리 평화 협정(1973)

    제4조 미국은 군사적 개입을 계속하지 않으며 남베트남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
    제5조 본 협정 조인 후 60일 안으로 미군과 규정된 외국은 남베트남에서 군대·군사 고문단·평정 계획에 관련된 기술 및 군사 요원·군 장비·탄약 및 군수 물자를 모두 철수한다.
    제15조 베트남의 통일은 남·북베트남 간에 이루어질 협정이나 토의에 입각한 평화적 수단을 통해 단계적으로 실현하며, 어느 일방에 의한 강제나 합병, 또 외국의 간섭이 없어야 한다. 통일의 시기는 남·북베트남 간에 합의한다.
    제20조 베트남에 관한 파리 회담에 참가하는 당사자들은 크메르(현재의 캄보디아) 및 라오스 국민의 기본적 국민권, 즉 이 국가들의 독립·주권 단합·영토 보전을 인정한 캄보디아에 관한 1954년 제네바 협정과 라오스에 관한 1962년 제네바 협정을 엄정히 존중한다. 또 당사자들은 캄보디아 및 라오스의 중립을 존중한다.
    파리 평화 협정(1973) 바로가기
  • 각주 365)
    막대한 인명 피해
    사진자료 링크사진자료 링크 바로가기
  • 각주 366)
    고엽제 피해전쟁 당시 미군은 베트남의 산림과 해안, 논 등에 수목을 말려 죽이는 고엽제를 대량으로 퍼붓는 ‘고엽 작전’전개. 고엽제 사용으로 농토 폐허, 내륙의 밀림과 해안 생태계 파괴. 또 기형아 출산과 염색체 손상, 간암 및 간염 발생 등 인체의 건강 피해 발생. 베트남에 파병된 한국 군인 중 피해를 인정받은 사람만 2만 5천명 정도로 자식들에게까지 대물림됨.
    사진자료 링크사진자료 링크 바로가기
  • 각주 367)
    크메르 루주캄보디아 공산주의 정당. 크메르 루주의 지도자는 폴 포트로, 이 정권하에서 사형과 기아 그리고 강제 노동으로 캄보디아 인구의 1/3 또는 150만명을 학살한 정권으로 기억됨. 1979년 베트남의 침공으로 크메르 루주는 제거되고 온건한 친베트남 공산주의자로 대체.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폴 포트폴 포트 바로가기

색인어
지명
디엔비엔푸, 통킹만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베트남 전쟁 자료번호 : edeao.d_0006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