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사 수업자료

에도 시대의 일본 사회, 조선 후기 사회

4-4단원 2차시
  • 저필자
    이영화(조원중 역사 교사)

2.에도 시대의 일본 사회

에도 시대의 정치·사회적 특징
에도 시대의 대외 관계
에도 시대의 학문

2.에도 시대의 일본 사회

1. 에도 시대의 정치 및 사회 특징
  1. 막번 체제
    • 막부(쇼군 지배)와 번(다이묘 지배)으로 구성 → 중앙집권 강화
    • 천황과 귀족은 정치 간여 금지
  2. 엄격한 신분제 확립
    • 소수의 무사 계급이 농민·수공업자·상인 지배
    • 무사 계급 내 주종관계 성립
<출처 :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막번 체제
에도 시대의 일본은 전국을 에도 중심의 막부 직할지와 260여 개의 번으로 나누고 각 번은 다이묘가 영주로서 세습 통치하는 지방분권제 국가였다. 그러나 쇼군은 직할지의 막대한 경제력을 배경으로 사실상 다이묘에 대한 강력한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어서 중앙집권적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출처 : 함께 읽는 동아시아 근현대사>
 
주 275
각주 275) 엄격한 신분제 확립
에도 시대의 막번 체제 아래 백성들은 무사, 농민, 상공업자, 천민 등으로 신분이 엄격히 나뉘었다.
닫기

2.에도 시대의 일본 사회

2. 에도 시대의 대외 관계
  1. 쇄국 정책 시행
    • 외국과 교류(외교와 무역) 금지
    • 천주교 포교 금지
    • 일본인의 국외 도항 금지
  2. 제한적으로 외국과 교류 유지
    • 조선과 국교 회복(1607)
    • 나가사키 개방 → 네덜란드 및 청 상인과 교역 유지
<출처 : 일본문명의 77가지 열쇠>
에도 시대의 쇄국 정책
에도 시대 일본은 17세기 초에서 19세기 중반까지 약 2세기 동안 국제적으로 고립된 상태였다. 막부가 국민들에게 외국과의 자유로운 교역을 금지하는 정책을 폈기 때문인데, 이것이 쇄국 정책이다. 그러나 에도 막부는 비록 쇄국이라는 대외 정책을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외국과 교류를 유지하고 있었다. 사실 에도 막부는 다이묘들이 해외 무역을 통해 막대한 이윤을 거두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이러한 이윤을 막부의 통제 하에 두려면 자유무역을 금지할 필요가 있어서 쇄국 정책을 내세웠지만, 쇄국 정책을 펴는 동안 규슈의 나가사키에 통상 항구를 설치하여 특정상인 집단에 의한 네덜란드, 중국과의 무역을 지속해 외부의 문물과 정보를 유입했다.
<출처 : 일본문명의 77가지 열쇠>
 
주 276
각주 276) 나가사키
일본은 네덜란드와의 교역을 위해 나가사키의 데지마(인공섬)에 상관을 설치했다.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나가사키나가사키
닫기

2.에도 시대의 일본 사회

3. 에도 시대의 학문
  1. 후주자학 장려
    • 명분과 질서 강조 → 체제 유지
    • 무사 계급의 주종 관계 합리화
  2. 양명학 유행, 고학 발달
  3. 국학 성행
    • 일본의 전통 강조
    • 훗날 존왕양이 사상의 원류 형성
  4. 난학 발전
    • 네덜란드를 통해 들어온 의학·과학기술의 영향
<출처: 일본인의 선택>
난학
나가사키의 데지마를 통해 유입된 서구의 앞선 지식과 새로운 정보들은 일본인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었으며 일본에서 난학이라고 불리는 신학문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난학은 네덜란드 학문을 주로 하여 서양의 자연과학의 성과에 대한 명확한 인식 없이 받아들인 서양학문을 통칭한다. 그러나 일본은 막부 말기와 개항기에 영국과 프랑스 등의 학문을 폭넓게 접하면서 점차 서양의 자연과학이 매우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학문이라는 인식이 발달하면서 난학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갔다.
<출처: 일본인의 선택>
 

3.조선 후기 사회

조선 후기 정치·경제적 변화
조선 후기 사회 변화
조선 후기 사상의 변화

3.조선 후기 사회

1. 조선 후기 정치·경제적 변화
  1. 조선 후기 정치적 변화
    • 17세기 중반 회복된 경제의 주도권을 둘러싼 붕당 간의 다툼 격화 → 탕평책 통한 왕권 안정
  2. 조선 후기 경제적 변화
    • 임진·병자 전쟁으로 경지 및 인구 감소 → 전쟁 피해 복구 노력 → 집약적 농업 보급 확대 → 농업 생산력 발전, 상업과 수공업 발달

3.조선 후기 사회

2. 조선 후기 사회 변화
  1. 부계 혈연 집단의 결합 강화, 동족 마을 증가
  2. 신분제의 동요
  3. 빈부 격차 및 계층 간의 갈등 심화 → 실학자 중심으로 사회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 대두
<출처 : 한국사의 이해>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
조선 후기 경제의 발달로 기존의 신분제가 변질되었다. 그래프의 대구 지방 뿐 아니라 울산 지방의 예를 보면 18세기 후반에는 전체 인구 가운데 1/3 이상이, 19세기에 들어서는 절반 이상이 양반신분으로 호적에 오르고 있다. 외형으로는 신분제 변동의 양상이 주로 하층신분에서 상층으로 이동하고 있는 형상을 보여주는데, 이를 통해 신분제도 자체가 무너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 한국사의 이해>
 
주 277
각주 277) 신분제의 동요
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대구 지방)
대구 지방에서는 17세기 후반부터 양반이 급격히 늘어나고 천민은 거의 소멸되어 이에 따른 신분제의 동요가 심해졌다.
닫기

3.조선 후기 사회

3. 조선 후기 사상의 변화
  1. 청의 고증학 및 서학의 영향
  2. 청의 실용적· 선진적 학문의 흐름 수용
  3. 자연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대한 관심 심화 → 실학 등장, 북학파 형성
<출처 : 위키 백과>
열하일기
《열하일기》는 북학파인 연암 박지원이 8촌형인 박명원이 청나라 건륭제의 칠순 잔치 사절로 북경(당시의 연경)에 갈 때 따라가서 보고 들은 것을 남긴 견문기이다.
연암은 이 글에서 조선이 빈곤한 주요한 원인 중 하나를 수레를 사용하지 않은 데에서 찾고 있다. 정확히는 수레나 배로 대표되는 유통수단의 미흡함이 조선이 빈곤한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 연암은 "수레를 만들지 않으니 길을 닦지 않는 것"이라며 직접 수레는 만들어보지도 않고 무조건 반대부터 하고 보는 정신 자세를 비판하고 있다.
<출처 : 위키 백과>
 
주 278
각주 278) 북학파 형성
북학파 - 박지원(1737~1805)
박지원은 연행사를 따라 청에 다녀온 후 문화적 충격을 받고 청나라의 우수한 점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이러한 생각을 담아 <열하일기>를 저술하였다.
박지원박지원열하일기열하일기
닫기

동아시아 각국의 독자적 전통

에도 시대의 일본
조선 후기
  1. 막번 체제 성립 → 중앙 집권 강화
  2. 무사 중심의 엄격한 신분제 사회
  3. 쇄국 정책 시행, 제한적으로 네덜란드 및 청 상인과 교류 → 난학 발달
  1. 붕당 간 대립 격화 → 탕평책으로 왕권 강화
  2. 17세기 후반 이후 신분제의 동요
  3. 청과 사대 관계 및 일본과 교린 관계 유지
  4. 실학 등장

  • 각주 275)
    엄격한 신분제 확립에도 시대의 막번 체제 아래 백성들은 무사, 농민, 상공업자, 천민 등으로 신분이 엄격히 나뉘었다.
     바로가기
  • 각주 276)
    나가사키일본은 네덜란드와의 교역을 위해 나가사키의 데지마(인공섬)에 상관을 설치했다.
    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Wiki자료: http://ko.wikipedia.org/wiki/나가사키나가사키 바로가기
  • 각주 277)
    신분제의 동요조선 후기 신분제의 동요(대구 지방)
    대구 지방에서는 17세기 후반부터 양반이 급격히 늘어나고 천민은 거의 소멸되어 이에 따른 신분제의 동요가 심해졌다.
     바로가기
  • 각주 278)
    북학파 형성북학파 - 박지원(1737~1805)
    박지원은 연행사를 따라 청에 다녀온 후 문화적 충격을 받고 청나라의 우수한 점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이러한 생각을 담아 <열하일기>를 저술하였다.
    박지원박지원열하일기열하일기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에도 시대의 일본 사회, 조선 후기 사회 자료번호 : edeao.d_0004_004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