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사 수업자료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3-4단원 2차시
  • 저필자
    이동욱(숙지고 역사 교사)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조선의 성리학
일본의 성리학
베트남의 성리학
양명학의 성립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1. 조선의 성리학
  1. 성리학의 수용 : 13세기 말(고려), 안향에 의해 전래
  2. 시대적 배경
    • 고려 말의 사회 모순 : 불교의 부패, 권문 세족의 횡포
    • 신진 사대부의 등장 : 사회 개혁을 위한 정치적·사상적 기반으로 성리학 수용 → 성리학을 무기로 불교 사원 및 권문 세족 비판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1. 조선의 성리학
  1. 조선의 건국
    • 성리학을 국가의 지배 이념으로 제시
    • <사서집주>를 과거 시험 교재로 채택
  2. 성리학적 질서의 확산
    • 삼강행실도의 보급, 서원을 통한 학파 형성, 향약을 통한 유교 윤리의 보급
주 181
각주 181) 성리학을 국가의 지배 이념으로 제시
학문을 강론함이 진실로 밝다면 효·제·충·신의 가르침을 사람마다 익히고 행하여 학교에서 일반으로 점차 스며들어 그치지 않을 것이다. 이에 오륜은 각기 그 차례를 얻어 사농공상의 사민이 각기 그 생업을 편안히 하여 집집마다 착하게 되는 풍속을 점차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정도전, "삼봉집"
- 정도전, "삼봉집"삼봉집삼봉집
닫기
주 182
각주 182)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
닫기
주 183
각주 183) 서원
소수서원
소수서원위치
닫기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1. 조선의 성리학
  1. 성리학의 철학적 심화
    • 태극 논쟁, 주리·주기 논쟁 등
    • 이황 : 정신적 측면 중시 → 도덕성·수신 강조
    • 이이 : 물질적 측면 중시 → 통치 체제의 정비·수취제도의 개혁 제시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2. 일본의 성리학
  1. 성리학의 수용
    • 가마쿠라 막부 후기에 전래되었으나 영향력 미미
    • 정유 전쟁 때 포로 강항과 승려 후지와라 세이카의 교류를 계기로 활발한 연구
  2. 주요 학자
    • 후지와라 세이카 : 4서5경의 주석서인 <4서5경왜훈> 간행
    • 하야시 라잔 : 에도 막부의 제도·의례 정비, 사농공상이라는 일본 신분 사회의 틀을 강화
주 184
각주 184) 하야시 라잔
● 하야시 라잔(1583~1657)
  • 성리학을 통해 오랜 전란 후의 질서와 안정을 정착시키려 함
  • '상하 정분(定分)의 이(理)'를 바탕으로 사농공상이라는 일본 신분 사회의 틀을 강화하는 데 기여
  • 에도 막부의 각종 제도와 의례 정비
  • 성리학의 관학화 주도
  • 에도 막부의 교육과 학문을 관장
  • 사회의 안정적인 기반을 원했던 에도 막부에 이념적 기초와 명분 제공
● 하야시 라잔(1583~1657)
닫기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3. 베트남의 성리학
  1. 15세기 이전 문화적 상황
    • 불교가 정치·사회·문화 등 모든 면에서 우세
    • 유학을 지식의 하나로 인식 → 유학의 보급 미약
  2. 15세기, 레 왕조의 유학 장려
    • "인간이 금수와 다른 것은 예 때문이다."(성종)
    • 충·효의 개념을 중심으로 왕권 강화 추구
    • 정기적인 과거 실시 → 진사제명비
주 185
각주 185) 진사제명비
레 왕조의 성종은 진사제명비를 세워 과거합격자의 명예를 기림으로써 유학을 국가 지도 이념으로 정착시키고자 했다.
진사제명비위치
닫기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4. 양명학의 성립
  1. 성립 배경
    • 사회 구조의 변화 : 상품 경제 발전, 서민의 지위 향상
    • 성리학의 세속화(성리학을 과거 합격을 위한 수단으로만 여기는 경향) → 도덕적·실천적 측면을 중시하는 학자들 등장
  2. 양명학의 성립
    • 왕수인이 양명학 개창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4. 양명학의 성립
  1. 양명학의 특징
    • 심즉리 사상 : "모든 이치는 내 마음 속에 있고, 마음을 바로잡아야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
    • 지행합일 강조 : "아는 것을 실천해야만 진정한 지식이다.", 수행과 구체적인 실천에 중점
    • 신분 차별 부정 : 인간 본성의 평등한 가치 중시
    • 한계 : 인간의 심성을 바탕으로 한 도덕 수양을 강조하는 성리학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함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조선
일본
베트남
  1. 고려 말에 신진사대부층이 수용→이를 토대로 조선 건국
  2. 삼강행실도, 향약 등을 통해 성리학적 질서 확산
  3. 태극논쟁, 주리·주기논쟁 등을 통해 철학적 심화
  1. 본격적 계기 : 정유전쟁 때 포로 강항 성리학 전래
  2. 하야시 라잔 : 성리학을 바탕으로 에도 막부의 제도·의례 정비
  1. 레 왕조의 유학 장려 : 충과 효의 개념을 중심으로 왕권 강화 추구

  • 각주 181)
    성리학을 국가의 지배 이념으로 제시학문을 강론함이 진실로 밝다면 효·제·충·신의 가르침을 사람마다 익히고 행하여 학교에서 일반으로 점차 스며들어 그치지 않을 것이다. 이에 오륜은 각기 그 차례를 얻어 사농공상의 사민이 각기 그 생업을 편안히 하여 집집마다 착하게 되는 풍속을 점차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정도전, "삼봉집"
    - 정도전, "삼봉집"삼봉집삼봉집 바로가기
  • 각주 182)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삼강행실도 바로가기
  • 각주 183)
    서원소수서원
    소수서원위치 바로가기
  • 각주 184)
    하야시 라잔● 하야시 라잔(1583~1657)
    • 성리학을 통해 오랜 전란 후의 질서와 안정을 정착시키려 함
    • '상하 정분(定分)의 이(理)'를 바탕으로 사농공상이라는 일본 신분 사회의 틀을 강화하는 데 기여
    • 에도 막부의 각종 제도와 의례 정비
    • 성리학의 관학화 주도
    • 에도 막부의 교육과 학문을 관장
    • 사회의 안정적인 기반을 원했던 에도 막부에 이념적 기초와 명분 제공
    ● 하야시 라잔(1583~1657) 바로가기
  • 각주 185)
    진사제명비레 왕조의 성종은 진사제명비를 세워 과거합격자의 명예를 기림으로써 유학을 국가 지도 이념으로 정착시키고자 했다.
    진사제명비위치 바로가기

색인어
지명
소수서원, 진사제명비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리학의 전파와 발전 자료번호 : edeao.d_0003_004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