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국제 연대의 확산

역사 왜곡 반대, 야스쿠니 반대, 시민단체 활동

1. 국제 연대의 확산 : 역사 왜곡 반대, 야스쿠니 반대, 시민단체 활동

2001년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의 후소샤 교과서가 등장하면서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사회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후소사 교과서는 역사인식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게 하고 역사인식의 문제를 연구의영역이 아닌 시민운동의 영역으로 확산시켰다. 또한 시민운동이 한일, 한중일 시민연대로 확장되면서 민간차원에서 역사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를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2001년 후소샤 교과서 채택률을 0.039%거의 제로 퍼센트로 무력화시켰다는 것 역시 시민운동의 ‘힘’을 보여준 중요한 쾌거였다. 이러한 한중일 시민연합운동의 ‘힘’은 일본의 역사왜곡을 막을 수 있는 풀뿌리 시민운동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한국에서는 2001년 4월90개의 시민사회 단체, 학계가 모여 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를 결성하였다. 일본의 교과서 왜곡에 대한 한일 양국 시민단체들의 연대활동은 일본 교과서 개악을 규탄하기 위한 범 아시아행동의 날과 한일공동시위가 개최됐다. 한국에서는 교과서 개악에 항의하기 위한 사이버시위로 일본 문부과학성, 산케이신문, 후소사 등 일본의 대표적인 기관의 홈페이지가 마비됐다. 6월에는 교과서 관련 아시아연대집회에 참여했고, 동시에 73개국 125개 도시에서 일본교과서 바로잡기 ‘세계행동의 날’을 개최하기도 했다. 일본 동경에서 약 500여명이 문부과학성에서 ‘인간띠잇기’ 행사를 진행하였으며, 서울과 부산 등에서 약 2,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집회를 진행했다. 또한 10월 15일 일본의 고이즈미 총리 방한을 반대하는 전국민규탄대회를 진행한 바 있다.
또한 일본의 교과서 왜곡에 대한 전 국민적 동참을 위해 전국적인 서명운동을 전개했다. 초기 서명운동은 일본 교과서 왜곡의 시정을 요구하는 것이었고, 일본의 중학교 교과서 검정통과가 확정된 이후에는 잘못된 교과서의채택을 거부하는 불채택요구였다. 이러한 서명운동은 운동본부가 주관하여 1만 명의 서명을 받았으며, 교총 등 관련단체 등이 참여하여 총 35만 명의 서명을 일본대사관에 전달했다. 운동본부는 무관심한 일본 언론들로 인해 일본의 교과서 왜곡의 진상을 알지 못하고 있는 대다수 일본 시민들에게 직접적으로 호소하기 위한 의견광고 싣기 운동을 전개하였고, 약 2600만원의 성금을 모아 9월과 10월에 걸쳐 일본의 아사히신문 등에 의견광고를 실었다.
시민운동의 또 다른 한 축은 출판 및 학술, 홍보활동이었다. 심포지엄은 일본교과서 왜곡문제와 한국교과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뿐 아니라 출판활동에도 힘을 쏟아 타와라 요시후미의 저술『위험한 교과서』를 번역. 출판했으며, 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 편저로『문답으로 읽는 일본의 교과서 역사왜곡』을 출판해서 일본의 교과서 역사왜곡을 일반인이 읽기 쉽게 펴냈다.
2005년 교과서운동의 기본 축은 한일자매결연도시를 중심으로 한국 내지역시민단체와 지방자치제(구의회/시의회/시교육위원회), 그리고 국회의원을 엮는 민 관 정 네트워크를 만드는 일부터 시작됐다. 민 관 정 네트워크의 필요성은 일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필요했는데, 교과서운동을 각 지역으로 확산하기 위해서 각 지역단체들의 참여가 필요했다. 또한 각 지역단체들은 역사왜곡저지라는 대의만으로는 사업을 지속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본과 자매결연돼 있는 지자체들과 연계를 통해 구체적인 성과를 얻는 것이 필요했다. 이를 효과적으로 엮어내기 위해 국제 심포지엄에 참여한 일본의 각 지역 활동가들이 한국의 자매결연 도시의 지자체와 시민단체를 방문하도록 했다.
민-관-정 네트워크는 이후 사업에도 중요한 근간이 되었는데, 일본 각 지역교육위원회에 불채택요청서 보내기 운동, 일본캠페인에도 자매결연 도시의 시민단체와 지자체가 큰 역할을 담당했다. 그중에서도 서초구(스기나미구)와 동대문구(도시마구), 안양시(사이타마현)의 경우는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인 시의원이 일본을 직접 방문하는 등 보다 강화된 연대활동을 진행했다.
일본의 지역교육위원회를 방문해 후소샤 교과서 채택이 한일관계에 어떤 악영향을 끼치는지를 설명하고, 한일의 시민단체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한일 간의 평화라는 것을 강조했다. 또한 한중일이 공동으로 집필한『미래를 여는 역사』 일본어판을 각 교육위원회마다 기증하였는데, 이것은 시민단체들이 비판만 하는 것이 아니라 대안을 제시하고 동아시아 역사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일본에서 방일 캠페인단 활동을 벌여 무관심으로 일관했던 일본 언론들을 움직일 수 있었다. 인구가 작은 지역일수록 한국의 방일단 활동이 지역 언론의 보도거리가 됐고, 이것을 계기로 교과서문제를 다루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방일캠페인단의 지역교육위원회의 방문 자체가 해당 교육위원회에게 무언의 압력으로 작용했다. 또 다른 성과는 일본 캠페인을 통해 한일 시민단체들과의 연대활동이 긴밀해졌다.
을사조약 100주년, 해방 60주년, 한일협정 40주년인 2005년 한국은 일본역사왜곡 관련 전시회를 서울과 부산, 광주 등 총 11개 광역도시, 24개 지역에서 7월과 8월에 걸쳐 진행했다. 통일연대나 청년단체들이 중심이 되어 전시회에 참여했으며, 일본 역사왜곡을 널리 알리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
국제캠페인은 원래 유엔 코피아난 사무총장이 전 세계 NGO들에게 갈등예방을 위한 국제 활동을 제안하면서 GPPAC(Global Partnership for thePrevention Against Armed Conflict) 동북아위원회에서 기획됐다. 동북아에서 갈등은 무력갈등 뿐만이 아니라 역사 갈등이 동북아 평화를 위협하는 주요한 의제로 대두됐기 때문에, 동북아지역위원회의 의제 중 하나로 일본 역사왜곡을 설정한 것이었다.
2005년 7월 뉴욕 유엔에서 GPPAC 세계대회가 열리게 됐고, 이 기간을 전후로 국제사회에 일본의 역사왜곡 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기하게 되었다. 우선 일본의 피스보트와 한국의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는 GPPAC 기간 내에 일본 역사 갈등의 문제를 이슈화하기 위해 워크숍 “역사 갈등과 평화교육”을 공동주최했다. 역사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한중일이 협력한『미래를 위한 역사』 모델이 GPPAC이 주창하고 있는 GO와 NGO의 협력모델에 부합되는 것이었다. 이뿐 아니라 뉴욕 콜롬비아대학 한국한연구소의 도움을 얻어 세계 각국의 학자들을 초청해 일본 역사왜곡을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미국 사회 속에서 이 문제를 널리 알리는 동시에, 접근하는 방식 면에서도 일본 역사왜곡이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과거사문제가 아닌, 국제 사회의 갈등이라는 측면에서 넓게 인식을 확장하는 것이었다.
일본의 교과서 채택이 막바지에 들어서고 있던 7월 후소샤 교과서 채택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시작했다. 최초로 오타와라시에서 후소샤 교과서가 채택이 되면서 우려가 현실이 되는 게 아닌가 하는 목소리가 나온 것이다. 그러나 한국 언론들은 독도문제와 교과서문제로 뜨겁게 달아올랐던 초기 상황과는 달리 특별한 이슈가 생기지 않는 교과서 문제에 무관심해지고 있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는 일본 신문에 직접적으로 호소하는 의견광고를 게재하였다, 당시 일본 언론들은 한국과 중국에서의 반일시위를 예를 들면서 한국과 중국 국민들이반일감정에 사로잡혀있는 것으로 왜곡보도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민이 진정 원하는 것은 ‘반일’이 아니라 ‘평화’와 ‘공생’이라는 점을 보다 분명하게 전달해야 했다.
의견광고의 목적은 일본 신문에 한국민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전달해 일본국민들을 설득시키는데 있었다. 의견광고가 게재되면서부터 일본의 시민단체, 시민들로부터 격려와 감사의 편지를 받기도 했다. 의견광고는 일본 역사왜곡 저지와 후소샤 교과서 채택반대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목표를 달성했다. 우선 국내적으로는 한국민의 관심을 이끌어냈고, 국제적으로는 일본 각 지역에 영향력 있는 신문을 통해 지역여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는 점이다.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등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들은 일본 역사왜곡 교과서 비판과 채택을 저지하기 위해 역사왜곡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통한 국내외 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일본 교과서 회사와 집필자들에게 교과서 수정요구안을 발송하였으며, 한일 자매도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우익교과서 채택 저지운동을 벌이고, 항의집회와, 역사왜곡 교과서채택 무효 소송과 한국과 일본 신문에 의견광고를 게재하는 등 왜곡 교과서의 확산을 막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국제 연대의 확산 자료번호 : edeah.d_0006_005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