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내전의 전개과정

2. 내전의 전개과정

1) 초기 전황, 국민당 우세와 난징 국민대회
국민당은 6월 이후 전면적인 군사공세로 전환하였고, 미국의 계속된 원조를 토대로 7~8월에 걸쳐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공산당의 해방구에 대한 공격을 개시함으로써 전면적인 내전에 돌입하였다. 내전 초기 국민당군 규모는 미국의 원조를 받아 정규군 200만 명을 포함한 총병력 약 430만 명을 유지하고 있었던데 비해 공산당군은 약 120만 명에 불과했다. 이 같은 군사적 우위를 바탕으로, 내전 초기 국민당군은 공산군을 압도했고 거의 모든 전선에서 신속한 군사적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1946년 하반기 동안 국민당군은 공산당이 지배하던 165개 도시와 17만 4천 평방킬로미터의 영토를 점령하는 데 성공하였다. 내전 초기 양측의 규모와 세력범위를 비교하면다음과 같다.
표1. 국공 내전 초기 국민당과 공산당의 세력범위
병력점령지역점령도시관할지역 인구
국민당430만730만㎢(76%)1545개(77%)3억3893만(71%)
공산당120만230만㎢(24%)464개(23%)1억3606만(29%)
내전 초기 국민당군은 중국 전역으로 지배권을 확대하였는데, 국민당의 영향에서 벗어나 공산군의 영향 하에 있던 8로군은 일본에 의해 대규모 광산개발과 공업화가 진행된 만주 지역을 소련으로부터 인계받고, 잔류 일본인들을 징병, 징용함으로써 전력을 보강하고 있었다. 이때 국민당은 군사적 공세뿐 아니라 정치적 공세도 병행하였다. 초기의 군사적 공세에서 국민당은 우세를 차지한 것 같이 보였다. 왜냐하면 공산군을 중부평원과 양쯔강[揚子江] 하류지역에서 몰아내고 해방구의 중심지인 청더[承德]·장자커우[張家口]·린이[臨沂] 등을 차례로 점령한 끝에, 1947년 3월에는 마침내 장정(長征)이후 공산당의 핵심근거지였던 옌안까지 점령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군사적 승리에 고무된 국민당정부는 기존의 충칭 정치협상회의의 결정을 완전히 폐기하고 공산당을 배제하고 국민당이 주도하는 헌정체제 하의 새로운 정치기구를 수립하려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리하여 1946년 11월 공산당과 민주동맹 등 진보세력의 반대와 보이콧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난징에서 국민대회를 열어 헌법을 통과시키고, 1947년 1월 1일에 ‘중화민국헌법’을 공포하였다. 그리고 4월에는 이 헌법에 따라 국민당정부를 개편하여, 청년당, 민사당, 그리고 무당파 인사들이 참여하는 형식의 연립정부를 구성하였다. 사실상 공산당은 물론이고 민주동맹 등 제3세력마저 배제한 채 국민당이 주도하는 정부를 구성한 것이다. 이로써 진보적 인사와 여러 사회세력들이 국민당정부에 실망하여 점차 중국공산당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기 시작하였고, 이 같은 국민당정부의 정치적 선택은 나중에 국민적 지지를 잃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 공산당의 반격, 대전환
내전이 본격화된 직후 공산당은 국민당군의 압도적인 군사력에 맞서 정면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후퇴하면서 병력의 보존과 확충을 중시하고 해방구의 안정과 동원체제를 강화하는 데 주력하였다. 공산당은 근거지 방어 대신 군사력을 빼돌려 기동전·유격전을 구사하며 국민당을 교란시키는 작전을 전개했다. 옌안을 내주는 대신, 보다 광대하고 물자가 풍부한 산시[陝西]로 이동하여 반격할 준비를 갖추었다.
특히 농촌지역에서는 당의 기본노선으로 확립된 대중노선에 입각하여 생산력증대 운동을 전개하고 농민에게 토지를 분배하는 토지개혁을 추진함으로써 공산당의 정치적, 경제적 기반을 강화해 나갔다. 물론 공산당은 여전히 신민주주의 경제를 강조하고, 농촌에서 지주와 부농의 정치·경제적 권리와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도 견지하였지만, 사실상 내전이 격화될수록 빈농과 대중들로부터의 정치적 지지와 인민해방군 입대라는 군사적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급진적 토지정책, 즉 일련의 토지분배를 적극 추진하게 되었다.
이것은 모든 지주의 토지소유권을 폐지하고 경자유전(耕者有田)의 원칙에 따라 농민에게 토지를 균등 분배하여 농촌사회의 전통적 봉건체제를 완전히 청산하는 것이었다.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부농과 중농의 토지까지 무차별적, 폭력적으로 몰수, 분배하는 ‘좌익적·무정부주의적 경향’이 나타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내전이 확대되고 치열한 계급투쟁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공산당의 토지개혁은 광범위한 농촌지역에서 빈농들에게 최대의 과실을 분배해줌으로써 이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참여를 확보할 수 있게 해 주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공산당과 인민해방군은 토지개혁과정에서 등장한 빈농을 대대적으로 흡수하여 급속도로 세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1948년 공산당은“지난 2년 동안 해방구에서 토지를 획득한 농민들 중에서 약 160만 명이 인민해방군에 지원했다”고 발표하였다. 이 무렵 공산당원 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2. 1940년대 후반 중국공산당 당원 수의 변화   (단위, 명)
1945년 4월1946년1947년 중반1948년1949년
당원수121만135만280만310만450만
토지개혁이야말로 내전에서 공산당이 세력을 보전하고 확대하고 재기할 수 있었던 가장 핵심적인 발판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공산당은 토지개혁을 통해 국민당의 농촌기반을 잠식하는 데 성공했으며, 민족자본가와 지식인의 지지를 얻기 위한 제반정책도 실시하여 국민당의 고립을 도모하였다. 게다가 국민당의 부패, 국민당 지배지역에서의 악성 인플레와 재정파탄으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위기, 국민당의 전략적 오류, 만주에서 소련의 암묵적인 공산당 지원 등이 가세하여, 내전 초기 국민당의 우세는 소멸되고 말았다.
이처럼 공산당과 인민해방군은 광범위한 농촌지역에서의 정치적 지지와 토지혁명에 따른 폭발적 지지를 얻은 반면, 국민당은 정치적·경제적 기반을 잃고 고립됨으로써, 내전이 본격화된 이후 약 1년 만에 양측의 입장은 역전되고 말았다. 게다가 공산당이 방어적 전략에서 공세적 전략으로 전환함으로써 군사적 입장도 정반대가 되었다.
1947년 7월말 덩샤오핑[鄧小平], 류보청[劉伯承]이 이끄는 야전군이 황하를 건너 남진, 우한[武漢]과 난징을 공격할 수 있는 요충지역을 장악하였고, 8월에는 천이[陳毅]의 야전군이 허난[河南], 안후이[安徽], 장쑤로 진출하였고, 린뱌오[林彪]의 부대는 만주지역 대부분을 장악함으로써 국민당군을 펑톈[奉天], 지린[吉林], 창춘[長春] 등 대도시에 고립시키기에 이르렀다. 이윽고 국·공간의 세력관계는 1947년 말 일대 전환점에 이르렀다. 1947년 12월 25일 산시성[陝西省] 양자거우[楊家溝]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가 개최되었는데, 이때 마오쩌둥은 내전이 ‘역사적 전환점’에 이르렀다고 선언하였다.
3) 국민당의 붕괴와 패퇴
공산당이 초기의 열세를 극복하고 1년여 만에 공세적 입장으로 전환한데 반해, 국민당은 미국의 정치적 지지는 물론 엄청난 규모의 경제·군사적지원에도 불구하고 국민당 내부의 분열과 부패, 무능 등으로 말미암아 중국 전역에서의 정치적 실패와 군사적 후퇴를 거듭하였다. 이로써 국민당군은 중국 대륙에서 패주하는 입장이 되었다. 이처럼 국민당 정권과 군이 정치·경제·군사적 실패를 거듭한 가장 중대한 원인은 대다수 중국 인민대중의 정치적 지지를 상실했기 때문에 초래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국민당정부가 인민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한 몇 가지 원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일전쟁 종결 이후 국민당정부는 민족적 정통성 경쟁, 친일청산문제에서 공산당에 패배하였다. 중일전쟁 직후 국·공 양당이 일본군 점령지역을 접수하는 과정에서 국민당은 공산당을 견제하기 위해 패전한 일본군과 난징 괴뢰정부의 관료, 군대, 경찰 세력 등의 협력을 요구하였으며 나중에는 이들 친일세력의 상당수를 국민당정부의 행정기구와 군대조직에 수용하였다. 게다가 국민당정부와 군대는 점령지역에서 일본군과 친일세력이 소유했던 재산과 토지, 물자 등을 마구 착복하고, 주요 산업시설이나 기업, 공장 등을 일부 매판관료자본들에게 독점시킴으로써 민심을 실망시켰으며, 부패의 만연으로 경제기반을 파탄시켰다.
둘째, 국민당정부는 평화와 민주화에 대한 대중들의 열망, 특히 대도시 청년학생과 지식인들의 평화운동, 민주화운동을 이해하기는커녕, 이들을 급진적 반체제 인사로 낙인찍고 투옥과 감금, 테러와 암살을 자행하며 탄압하였다. 이에 실망한 지식인과 청년, 학생, 진보적 세력들이 대거 이탈하여 공산당을 지지하게 만들었다.
셋째, 국민당정부는 공산당의 토지개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다. 국민당정부는 일찍이 쑨원이 민생주의의 근본으로 주창했던 토지소유의 균등화와 경자유전 원칙조차 제대로 이해하거나 실행하지 못하였다. 국민당의주요 기반이 주로 농촌사회의 기득권층과 지주계급이었고 蔣·宋·孔·陳씨의4대 재벌 세력에 의존했기 때문에 가장 온건한 형태의 토지법과 소작료 인하운동조차 성공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국민당정부가 농촌사회와 대다수 농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한 것은 필연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국민당정부는 중일전쟁 종결 이후 접수 또는 점령지역에서 제대로 된 경제정책을 시행하지 못했으며 만성적인 경제적 혼란과 무질서, 천문학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국민 대중의 염증과 혐오를 자초하였다. 전후 국민당정부는 미국제품의 수입초과로 재정적자가 급속도로 악화되기 시작했고, 전쟁비용 마련을 위해 통화를 마구 찍어내는 우를 범하였다. 1948년 국민당정부는 뒤늦게 일련의 통화개혁을 시도하지만, 오히려 실패함으로써 재정파탄과 혼란을 가중시켰다.
마지막으로 국민당정부의 부패와 혼란, 무능을 들 수 있다. 중국에 파견되어 있었던 수많은 미국의 외교관, 군인들은 이구동성으로 국민당정부의부패를 큰 문제로 지적하였다.
이처럼 국민당정부가 몰락의 길을 자초하고 있을 때, 공산당의 전면적인 군사적 공세가 전개되었다. 1948년 9월부터 1949년 1월까지 이어진 유명한3대전투가 그것이다. 이 3대전투가 실질적으로 국공내전의 승패를 결정짓는 중대 계기였다. 9월 7일 마오쩌둥의 작전지시에 따라 린뱌오와 뤄룽환[羅榮桓]이 이끄는 동북야전군이 랴오닝성[遼寧省] 선양[瀋陽]을 중심으로 주요도시를 공격, 점령하였다. 11월 2일까지 52일간의 전투에서 국민당군 47만을 섬멸하고 동북지방의 기반을 굳혔다(랴오선[遼瀋]전투).
이와 동시에 천이[陳毅]가 이끄는 화동 야전군이 산둥성에서 국민당의 마지막 보루였던 지난[濟南]을 장악하였다. 11월 6일부터 이듬해 1월 10일까지 덩샤오핑이 지휘하는 중원(中原) 야전군과 화동 야전군이 합세하여 산둥, 허난, 장쑤, 안후이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였던 쉬저우[徐州]를 공략하여 55만의 국민당군을 패퇴시켰다(화이하이[淮海]전투).
그리고 요심전투에서 패주한 국민당군 52만이 베이핑(北平, 지금의 베이징)과 텐진[天津]을 방위선으로 구축하며 저항하자, 이에 대해 동북 야전군과 화북 야전군이 11월 29일부터 진격하여, 12월 24일 양자거우[楊家溝]를 점령하였고, 이듬해 1월 4일에는 텐진을, 그리고 1월 31일에 마침내 베이징을 점령하는데 성공하였다(핑진[平津]전투).
4)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이처럼 동북지방과 화북지방에서 국민당군이 공산군에 대패하여 괴멸위기에 빠지자, 장제스는 1949년의 연두성명에서 총통직을 사임하고 총통대리로 선임된 리쭝런[李宗仁]을 내세워 평화협상을 제안하고 공산당과의 교섭을 시도하였다. 이에 국민당정부의 수도인 난징으로의 진입만 남아있던 공산당은 실질적인 항복을 요구하는 ‘국공평화협정 8개조’를 제시하였다.
수세에 몰린 국민당은 8개조를 기초로 협상에 임할 수밖에 없었고, 마침내 4월 1일부터 베이징에서 마지막 국공 평화협상이 시작되었다. 국민당 대표는 장츠중[張治中]이었고, 공산당 대표는 저우언라이였다. 양 대표는 8개조를 기초로 ‘국내화평협정’의 초안에 합의하였으나, 궁극적으로 국민당측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특히 난징의 국민정부를 대체하는 민주연합정부를 수립한다는 것과, 국민당 측의 전쟁범죄인을 처벌해야 한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사실상 피정복자에 대한 조치라며 극도로 반대하였다. 마침내 국민당은 4월 20일 정식으로 이를 거절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는데, 거절 이유로는 공산당의 제안 목적이 일당독재인 공산당 정권을 수립하는 것이며 국민당이 오랜 기간 시행해 온 민주헌정을 파괴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다음날인 21일 마오쩌둥과 인민해방군 주더[周德] 총사령관은 전군에 대하여 양쯔강을 도하하여 국민당정부의 수도인 난징과 상하이[上海]로 진격할 것을 명령하였다(도강[渡江]전투). 23일 리쭝런이 난징에서 철수하자 24일 인민해방군이 난징에 무혈입성 하였고, 5월 27일에는 당시의 최대 도시였던 상하이가 점령되었다. 그 후 국민당정부는 광저우[廣州], 충칭으로 천도해가며 저항하였고, 국민당정부는 계속 남하하며 국민당군을 추격하였다. 최후의 대전투는 스촨[四川], 구이저우[貴州], 윈난[雲南]에 걸쳐 벌어진 시난[西南]전투였다. 12월말까지 인민해방군은 저항하는 90만 국민당군을 추격하였는데, 마침내 12월 10일 국민당군 50만이 타이완[臺灣]으로 도피하고 나머지40여만이 공산당 측에 투항함으로써 전투가 종식되었다.주 975
각주 975)
이후 1950년에 들어 하이난[海南島]과 푸젠성[福建省]의 둥산다오[東山島]에서 전투가 계속되었는데, 4월말에 하이난을, 5월 12일에 둥산다오에서 전투를 종식시켰다.그 뒤 1951년 10월 인민해방군이 티벳 라사(Lhasa)에 진주하여 중국에 편입시킴으로써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영역이 확정되었다.
닫기

공산당 측이 빠른 속도로 중국대륙을 장악해 나가는 가운데, 마오쩌둥은 1949년 9월 중국인민 정치협상 회의를 소집하였으며, 10월 1일 베이징 천안문광장에 모인 30만의 군중 앞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을 선포하였다. 이로써 아편전쟁 이후 100여 년 간 지속된 중국대륙의 전쟁과 혁명은 공산당의 승리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되었다.

  • 각주 975)
    이후 1950년에 들어 하이난[海南島]과 푸젠성[福建省]의 둥산다오[東山島]에서 전투가 계속되었는데, 4월말에 하이난을, 5월 12일에 둥산다오에서 전투를 종식시켰다.그 뒤 1951년 10월 인민해방군이 티벳 라사(Lhasa)에 진주하여 중국에 편입시킴으로써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영역이 확정되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내전의 전개과정 자료번호 : edeah.d_0006_0020_001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