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중국 민족주의와 민족운동

Ⅲ. 중국 민족주의와 민족운동주 857
각주 857)
중국의 민족주의와 민족운동에 대해서는 신승하(1991), 「중국의 민족주의운동」 『한민족독립운동사』10, 국사편찬위원회, 190~212쪽을 주로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닫기

19세기 중국인들은 중화사상에 의거하여 변방 민족과 서양인들을 야만시하였다. 이에 서양과도 조공 체제 아래에서 교류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서양 세력의 포함외교에 굴복하여 서구 중심의 국제사회에 강제적으로 편입되었다. 1840년 아편전쟁에서의 패배는 중국인들의 민족의식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청 왕조의 고급 관료와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서양의 기술 문명을 받아들여 자강을 도모하는 양무자강(洋務自强)운동이 추진되었다. 이렇게 서양세력에게 패배한 뒤 서양문명이 유입되자 민중들은 이에 저항하였다. 홍수전(洪秀全, 1814~1864)은 1850년 무장 봉기하여 태평천국 운동을 일으켰다. 태평천국운동을 평등주의로 민중을 결집시켰고, ‘멸만흥한(滅滿興漢)’ 을 내세우면서 청 왕조를 타도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나타난 민족주의는 만주족을 타도하자는 한족 중심의 전통적인 중화주의에 의거한 것으로 근대적인 민족주의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다.
중국의 근대적 민족주의는 1894년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패배한 이후 서양 제국주의 침략이 심화되면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강대함에 눈뜬 중국 지식인들은 그들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황인종 전체의 단결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 그들에 대항하는 부강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서양의 기술만이 아니라 법과 사상까지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에 1898년 캉유웨이[康有爲, 1858~1927]·량치차오[梁啓超, 1873~1929]와 같은 변법파들이 등용되어 변법자강운동이 추진되었다. 무술변법(戊戌變法) 운동은 서태후의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일본으로 망명한 캉유웨이와 량치차오 등은 서구의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아 중국의 여러 종족을 통합한 중국 민족이라는 관념을 갖게 되었다. 이로써 근대 중국의 민족주의가 형성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들은 청조의 왕권을 인정하면서 헌법의 제정을 통해 근대 민주주의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입헌군주제를 지향하였다. 그러나 쑨원[孫文, 1866~1925]등이 이끄는 혁명 파는 민주공화제를 지향하여 청조의 타도를 목표로 삼았다. 이에 만주족을 부정하는 한족 중심의 중화주의의 전통을 탈피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11년 신해혁명에 성공한 뒤에는 오족(五族: 한족, 몽고족, 만주족, 위그르족, 티베트족)의 평등을 내세워 민족주의의 변화를 모색하였다.
1911년 신해혁명이 일어나고 1912년 1월 민주공화정을 표방한 중화민국이 수립되었다. 신해혁명의 지도자 쑨원은 혁명의 완성을 위해 내각총리대신 위안스카이[袁世凱, 1859~1916]와 협력하여 황제를 퇴위시키도록 하고 임시대총통을 위안스카이에게 양보하였다. 신해혁명의 지도이념은 쑨원이 제시한 삼민주의(三民主義)였다. 쑨원은 러일전쟁 후 일본에서 중국혁명동지회를 조직하고 반청혁명의 이념으로 만주족 축출과 중화 회복, 공화국의 수립, 토지소유권 평등을 제시했다. 이러한 이념이 민족, 민권, 민생의 삼민주의로 체계화되었다. 이는 유럽의 근대국가를 모델로 하여 중국을 민주주의적이며 평등한 독립국가로 건설하고자 한 것이었다.주 858
각주 858)
체스타 탄 저・민두기 역(1977), 『중국현대정치사상사』, 지식산업사, 125~126쪽.
닫기

〈자료 1〉 쑨원의 삼민주의
내 생각으로 구미의 진화는 민족, 민권, 민생의 3대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 로마제국이 망한 뒤 민족주의가 일어나 구미와 여러 나라가 독립 하였다. 전제정치가 발달되어 백성들이 그 괴로움을 더 이상 감당하지 못하게 되자 민권주의가 일어났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전제정치가 무너지고 그대신 입헌정치가 들어섰다. 세계문명이 발전할수록 인간의 지혜도 발전된다. 지난 백년 동안의 물질발달은 그 전의 천년 동 안의 성과보다 낫다. 이에 정치문제 뒤에 경제문제가 뒤따르게 되어 민 생주의가 활발해졌다. 그결과 민생주의가 20세기를 지배하게 된 것이다.
쑨원,「발간사」,『民報』(1905).
그림3 쑨원의 삼민주의
 
중국에서 근대적 민족주의 관념에 기초하여 반제국주의 투쟁을 벌인 것은 1900년의 의화단(義和團) 운동이었다. 청일전쟁 이후 의화단원들은 농민들과 함께 기독교 교회를 파괴하고 기독교인을 살해하는 반기독교운동을 전개하였다. 수구파는 이를 양무운동에 대한 공격에 이용하기 위해 지원하였다. 이에 의화단은 ‘부청멸양(扶淸滅洋)’ 의 기치를 내세우고 반제운동을 전개했으며, 청조 정부는 1900년 열강에 대해 선전을 포고하였다. 결국 의화단은 북경을 점령하고 열강의 공사관을 공격하였다. 영국, 미국, 일본 등 8개국은 연합군을 구성하여 의화단을 진압하였다. 이후에도 제국주의 열강에 대 한 반대운동은 계속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혁명운동이 싹트게 되었 던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1917년 러시아혁명이 일어나면서 중국의 민족주의와 민족운동은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일본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제1차 대전에 참전하였다. 이를 계기로 일본은 독일이 갖고 있던 중국의 이권을 넘겨받고자 하였다. 이에 비밀리에 협상을 벌여 산둥 21개조를 중국 측으로부터 넘겨받았다. 그러나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윌슨(Thomas Woodrow Wilson, 1856~1924) 대통령의 제안 중에 비밀조약의 폐지 조항이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중국 정부는 베르사이유회의에서 산둥 21개조의 철폐를 요구하였으나 일본 측에 의해 거절되었다. 이 소식을 듣고 1919년 5월 4일 베이징[北京]대학생들이 천안문 광장에 모여 ‘산둥[山東]21 개조 취소’ , ‘우리 칭따오[靑島]를 돌려 달라’ 등의 구호를 외치면서 대규모의 시위를 전개했다. 학생들은 일본상품 불매운동을 일으켰다. 이 운동에는 상인과 노동자들도 파업 투쟁의 방법으로 광범위하게 참여했다. 신문화운동의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5·4운동을 봉건주의에 반대하고 과학과 민주주의를 제창하는 문화운동의 요소를 띤 광범한 민중운동으로 발전시켰다. 이에 베이징 정부는 베르사이유조약의 조인을 거부하였다. 5·4운동은 반제국주의와 반봉건의 과제를 최초로 동시에 제기한 근대적 민족운동 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큰 것이었다.5·4운동에는 러시아혁명과 한국의 3·1운동으로부터 일정한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5·4운동 이후 민족운동에서 대중적 조직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 었다. 이에 쑨원은 일본에 있던 중화혁명당을 상하이[上海]로 옮기고 중국국민당으로 개칭하였다. 또한 공산주의자들은 1921년 중국공산당을 조직하였다. 이후 국민당과 공산당은 대립과 연합을 반복하면서 중국의 민족주의와 민족운동을 이끄는 양대 세력이 되었다. 중국공산당은 설립 당초부터 민족 혁명을 내세우고 국민당과의 합작을 표방하였다. 쑨원도 군벌과의 투쟁과 국민혁명을 위한 노선 정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1924년 국민당은 연소(聯蘇), 용공(容共), 노농원조(勞農援助)의 3대 정책을 결정하면서 공산주의자의 공산당 입당을 허용하였다. 1차 국공합작을 뒷받침하기 위해 손문은 신삼민주의에 의거한 ‘건국대강’ 을 발표하였다. 이로써 삼민주의는 민주주의의 성격이 보다 구체화되었고, 대기업의 국유화와 토지혁명을 포함하는 등 평등주의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1920년대 중국에서는 자본주의의 발전에 힘입어 노동운동이 크게 성장 하였다. 공산당의 지도에 의해 노동조합이 조직되면서 노동운동은 정치적 성향을 띠게 되었다. 1925년 상하이에서 일본인 자본가들에 의해 노동운동에 대한 탄압 대책에 저항하는 노동자들의 파업투쟁이 전개되었다. 파업투쟁 과정에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어 5월 30일 학생들 노동자 지지 시위운동에서도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상하이에서 시작된 삼파(三罷, 노동자의 罷業, 상인들의 罷市, 학생들의 罷課) 투쟁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9월까지 계속되었다.
국공합작 시기 국민당은 5·30 운동을 통해 대중적 기반을 확보하게 되자 1925년 7월 혁명정부인 광둥[廣東]국민정부를 수립하였다. 이듬해에는 북방의 군벌을 타도하는 북벌(北伐)을 추진하였다. 북벌은 중국공산당이 지도하는 농민운동의 지원을 얻어 순조롭게 진행되어 1927년 상하이 노동자들의 지원 하에 상하이를 점령하였다. 장제스[蔣介石, 1887~1975]와 국민당 우파는 노동자의 무장을 해제하고 좌파와 공산당원들을 체포하였다. 이어 난징[南京]정부를 세워 좌파와 공산당의 연합정권인 우한[武漢]정부와 대립하였다. 이로써 제1차 국공합작은 와해되었다.
1929년 장제스의 국민정부는 북벌을 완성하여 전 중국을 통일하였다. 그러나 반대파의 등장으로 공산당을 토벌하는 초공(剿共) 작전을 계획대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31년 9월 18일 일본의 만주침략이 자행되었다. 장제스는 먼저 초공작전을 통해 내부를 안정시킨 뒤 외부의 적을 물리친다는 ‘선안내후양외(先安內後攘外)’ 정책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만주 군벌 장쉐량[張學良, 1898~2001]에게 일본에 대해 저항하지 말 것을 지시하였다. 일본은 1932년 1월 28일 상하이사변을 일으켰으며, 이후 점차 침략을 확대하였다. 중국 민중들은 국민정부의 무저항 정책에 반발하여 전국 각지에서 항일선언을 발표하면서 항일투쟁에 역량을 모을 것을 촉구하였다. 그러나 장제스의 국민정부는 초공작전에 집중하였다. 중국 공산당도 쫓기는 과정에서 제대로 항일투쟁을 전개할 수 없었다. 따라서 1930년대 초반 만주에서의 항일투쟁은 현지의 사회주의자들이 조직한 유격대에 의해 이루어졌다. 만주 농촌의 사회주의자들 중에는 조선인이 많았다. 따라서 중국공산당이 이끄는 무장부대에서는 조선인들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들 무장부대들은 1935년 항일민족통일전선 방침이 결정 된 이후에는 동북항일연군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조선인과 만주인 중심으로 구성된 동북항일연군은 1940년까지 치열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일본 관동군의 토벌작전으로 세력이 약화되자, 잔존한 소수의 유격대원은 1941년 소련으로 넘어갔다.
중국공산당은 국민당 정부의 토벌작전에 밀리면서도 북상(北上) 항일의 명분을 내세우며 1만리 대장정 끝에 1935년 10월 옌안[延安]에 정착하였다. 중국공산당은 장정 중인 1935년 8월 1일 ‘내전 중지’ 를 선언하고 일치단결하여 항일전쟁을 수행하자는 ‘항일구국선언’ 을 발표하였다. 일찍부터 ‘일치항일(一致抗日)’ 을 주장했던 재야의 지식인과 학생들은 1936년 전국각계구국연합회를 결성하여 국공합작과 일치항일을 압박하였다. 이들은 국민당에게는 ‘안내양외’ 정책의 포기를, 공산당에게는 소비에트국가 건설 노선의 폐기를 각각 요구하였다. 1936년 12월 만주 군벌 장쉐량은 시안[西安]에 온 장제스를 구금하고 내전 종식과 구국 항일을 호소하였다. 이에 장제스와 저우언 라이[周恩來, 1898~1976]사이에 두 차례에 걸친 회담 끝에 서로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1937년 2월 국민당은 내전 종식을 선언했고, 중국공산당에서는 소비에트혁명노선을 포기하였다.
1937년 7월 일본이 중국 본토를 침략하여 중일전쟁이 발발하였다. 1937년 9월 정식으로 국공합작이 조인되었다. 화북(華北)의 홍군은 국민혁명군 제8로군(第八路軍)에, 화중(華中)의 유격대는 신사군(新四軍)에 편입되었다. 일본군은 중국의 주요 도시와 간선도로를 점령하면서 내륙으로 침입했다. 그 러나 광대한 농촌과 산간 지역을 지배하지 못했다. 국민정부는 미국과 영국 등 연합국의 지원을 받으며 항일전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국민당은 공간을 내주고 시간을 벌면서 미점령 지역을 지키는 방어 전략에 중점을 두었다. 침략자 일본군과 직접적으로 전투를 벌인 부대는 팔로군과 신사군이었다. 이 들 부대는 항일전쟁 수행과정에서 1940년에는 팔로군이 40 여만 명, 신사군이 10 여만 명으로 세력이 확대되었다.
1940년 1월 중국공산당 지도자 마오쩌둥[毛澤東, 1893~1976]은 ‘신민주주의론’ 을 발표하여 중국 혁명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즉 중국혁명은 일본제국주의 및 봉건지주를 타도하기 위한 반제반봉건 투쟁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 혁명 주체는 노동계급, 빈농 및 중농, 쁘띠 부르주아 및 지식인, 민족자본가의 4계급이라고 하였다. 중국공산당이 지도하는 4계급 연합에 의해 민주주의 국가를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이 지향하는 신민주주의는 서구의 부르주아 민주주의와 소련의 소비에트 민주주의 와는 구별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신민주주의 이념은 중국공산당을 상징하는 가운데 별을 4계급의 별이 사방에서 감싸고 있는 오성홍기(五星紅旗)로 상징화되었다.주 859
각주 859)
쟝 세노, 프랑소와즈 르 바르비에, 마리 끌레르 베르제르 저・신영준 옮김(1982), 『중국현대사, 1911~1949』, 까치, 308쪽; 체스타 탄 저, 위의 책, 270~276쪽.
닫기

〈자료 2〉 마오쩌둥의 연합정부론
중국은 각당각파와 무당무파의 대표자를 단결시켜 민주적인 임시의 연합정부를 성립시켜, 민주적 개혁을 실행하며, 당면의 위기를 극복하여 전중국의 항일세력을 동원하고 통일하여 일본 침략자를 타파하는 것을 긴급필요로 한다. 그 후 광범한 민주적 기반 위에 국민대표대회를 개최하여 한층 더 광범위한 각당각파와 무당무파의 대표자를 포함하여 동일한 연합적 성격의 민주적 정식 정부를 성립시켜 해방 후의 전국 인 민을 이끌어 중국을 하나의 독립된 자유, 민주, 통일, 부강의 신국가로 건설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한마디로 말하면 단결과 민주의 노선을 밟 아 침략자를 타파하여 신국을 건설하는 것이다.(1945년 4월)
 
장제스는 1943년 ‘중국의 명운’ 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신중국 건설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는 중국이 미국 및 영국과 맺은 불평등 조약을 폐기한 것을 국민혁명의 성과이며 건국 공작의 참된 시작으로 민족주의가 완성된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므로 이제 남은 과제는 민권 즉 민주주의와 민생주의라고 하였다. 곧 다가올 건국 사업은 유교적 도덕과 윤리의 회복을 통한 대국으로서의 국력 신장이라고 하였다. 여기에는 구체적인 항일전쟁 전략과 민주적 평등사회 건설 계획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이에 비해 마오쩌둥이 1945년 발표한 연합정부론은 신중국의 건설이 중국의 제 계급, 제 당파의 연합에 의한 항일전쟁을 통한 것임을 분명히 나타냈다.주 860
각주 860)
姬田光義, 阿部治平 외, 편집부 옮김(1985), 『중국근현대사, 아편전쟁에서 1982까지』, 일월서각, 362~364쪽.
닫기

1942년 12월 일본은 하와이 진주만과 필리핀을 기습하면서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일으켰다. 이에 장제스는 대일 선전을 포고하였으나 일본군과의 직접적인 전투보다는 미국 등 연합국과의 외교에 중점을 두었다. 일본군에 대한 무장 항쟁은 주로 공산당의 지도 하에 이루어졌다. 1943년 아시아태평양전쟁에서 일본군이 수세에 몰린 이 후, 항일전쟁의 주도권은 공산당의 지도를 받는 팔로군, 신사군, 그리고 민병들에게 넘어갔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패망한 이후 국제사회는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정부를 승인하였다. 그러나 신중국 건설의 주도권을 둘러 싸고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에 내전이 벌어졌다. 내전의 결과 공산당이 승리하여 1949년 10월 1일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패 전한 국민당은 타이완으로 건너가 중화민국을 건설하였다.
그림4 장제스와 마오쩌둥(충칭, 1945년 8월)

  • 각주 857)
    중국의 민족주의와 민족운동에 대해서는 신승하(1991), 「중국의 민족주의운동」 『한민족독립운동사』10, 국사편찬위원회, 190~212쪽을 주로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바로가기
  • 각주 858)
    체스타 탄 저・민두기 역(1977), 『중국현대정치사상사』, 지식산업사, 125~126쪽. 바로가기
  • 각주 859)
    쟝 세노, 프랑소와즈 르 바르비에, 마리 끌레르 베르제르 저・신영준 옮김(1982), 『중국현대사, 1911~1949』, 까치, 308쪽; 체스타 탄 저, 위의 책, 270~276쪽. 바로가기
  • 각주 860)
    姬田光義, 阿部治平 외, 편집부 옮김(1985), 『중국근현대사, 아편전쟁에서 1982까지』, 일월서각, 362~364쪽.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국 민족주의와 민족운동 자료번호 : edeah.d_0005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