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1910년대 독립전쟁론과 3·1운동

3. 1910년대 독립전쟁론과 3·1운동

1910년 일제에 의해 한국이 식민지로 전락하면서 이전의 국권회복운동은 독립운동으로 형태를 전환하게 되었다. 1910년대 일제의 무단적 폭압통치로 인해 국내 활동의 제약을 받은 의병이나 계몽운동가들은 국외에서 활로를 모색하였다. 국권회복운동에 참여했던 인사들은 국외에 독립운동 근거지를 마련하고 독립군을 양성하여 장래에 일어날 독립전쟁을 통해 독립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1910년대에는 국내외의 각지에서 여러 독립운동 단체들이 조직되었다. 그러나 독립운동 방략에 있어서는 이른바 ‘독립전쟁론’ 혹은 독립전쟁 준비론이라고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렴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1910년 이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던 두 갈래의 국권회복운동이 독립 운동으로 형태 전환을 하면서 독립전쟁론으로 수렴되는 경향을 나타냈던 것은 양 운동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었다. 즉 구국계몽운동에서 볼 수 있었던 일제에 대한 적 설정의 한계성과 그로 인한 군사적 무장투쟁을 무시한 실력양성론의 한계를 극복 한 것이었으며, 국제정세의 변화와 실질적 군사력을 경시하고 유교적 대의 만을 중시했던 의병투쟁의 한계를 지양한 전략이었다고 하겠다.
독립운동 방략 상의 수렴적 경향은 독립운동 이념의 측면에서도 발전적인 변화를 초래했다. 1910년대에는 독립운동의 기반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운동 참여 계층도 확대되었다. 즉 양반 유생, 근대적 신지식인, 종교인 등이 광범하게 참여하였으며, 미약하지만 농민 노동자 등 민중의 참여도 시작 되고 있었다. 특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청년, 학생의 참여는 독립운동에 잔존하고 있던 보수주의적 경향을 탈피하는 경향을 촉진하였다. 이와 함께 1910년 일제에 의한 대한제국의 붕괴와 황제의 권위 추락은 복벽주의의 현실적 기반을 약화시킨 반면, 대한제국 시기에 잠복했던 공화주의 이념이 전면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1910년대 독립운동의 이념에서는 복벽주의가 퇴조하고 공화주의가 주류를 형성하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즉 의병전쟁 계열에서 볼 수 있었던 중화주의적인 유교적 예교국가 건설 지향성을 벗어나 근대적인 민족국가 건설 지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1910년대 독립운동 과정에서 독립군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것은 민족의식 고양이었고, 여기에서 핵심적 내용은 민족사 교육이었다. 이를 통해 한민족은 단군의 자손 이라는 혈연적 공동체라는 인식이 뚜렷하게 자리잡았고, 역사적 운명공동체로서의 민족 개념이 확립되었다. 따라서 국가 건설의 지향은 자주적이며 민주주의적인 민족국가라는 점을 분명히 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적 일본은 역사적 운명공동체로서의 한민족의 자주적 삶을 위협하는 민족의 적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에 대한 저항 논리의 성격을 띠는 것이기도 하였다.
1919년의 3·1운동은 1910년대 국내외에서 전개된 각종 독립운동이 결집되어 나타난 것으로 전 민족의 제 계층이 연합하여 전개한 거족적인 독립운동이었다.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전개된 3·1운동은 한민족이 유사 이래 처음으로 역사적 운명공동체임을 확인하면서 근대적 민족으로 결집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특히 3·1운동이 세계의 정의와 인도에 의거한 세계 평화 실현 운동임을 내세운 것은 한민족이 독립국가 건설을 통해 국제 사회의 당당한 일원이 되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과시한 것이었다. 따라서 3·1운동 이후 국내외 각지에서 다양한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국내에서는 일제가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전환하면서 제한적이 나 한국인일 활동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 주어졌다. 이에 따라 각종 신 사조가 급속하게 유입되었으며, 다양한 사회 조직이 발생했고, 다양한 부문운동의 활동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에도 다양한 발전적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3·1운동이 1920년대 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에 미친 영향은 크게 2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천도교·기독교·불교 등 종교 지도자들이 지도하여 전민족의 제 계층이 참여한 거족적인 3·1운동에서는 청년 학생층 및 농민층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3·1운동에서의 민중의 등장은 공화주의 이념 정착을 가능하게 하였고, 1920년대 이후 ‘민중’ 의 존재와 역할이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었다.
둘째, 3·1운동은 국제사조의 변화에 영향 받은 바 크다. 그리고 3·1운동 이후 독립운동가들의 국제정세에 대한 관심의 증가, 3·1운동 이후 문화통치 하에서의 제한된 자유 등은 서구의 신사상의 폭발적 수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급진적 자유주의, 무정부주의, 사회주의 등이 급속하게 유입되었으며, 이에 따라 신국가 건설 구상이 보다 구체화되어 갔다. 이로써 한국의 독립운동은 1910년대 ‘종교의 시대’ 에서 1920년대 ‘주의의 시대’ 로 전환하게 되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910년대 독립전쟁론과 3·1운동 자료번호 : edeah.d_0005_003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