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러일전쟁과 한국 강제병합

3. 러일전쟁과 한국 강제병합

청일전쟁 승리이후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독점하려는 일본 계획은 러시아가 주도한 3국간섭(三國干涉)에 의해 저지되었다. 러시아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일본의 제국주의적 활동을 경계하였다. 그것은 한반도와 남만주가 일본의 식민지가 될 경우 청과 일본이 연합해 러시아에 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프랑스와 독일에 공동 행동을 이끌어 냈다. 반면에 영국은 러시아의 남진(南進)을 막는 데 일본이 유용할 것이란 점과 청일 전쟁 결과로 청국이 개방한 시장에 자신들이 개입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3국간섭을 반대 하였다.주 793
각주 793)
김현철 (2006), 148 쪽.
닫기

그런데 일본 국내에서는 3국간섭으로 인해 자신들의 전리품을 빼앗겼다는 비판 여론이 팽배하였다. 랴오둥 반도의 반환에 대한 책임론이 일어났고, 장차 러시아와의 일전(一戰)을 준비하자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랴오둥 반도의 반환에 대한 책임론이 일어났고, 장차 러시아와의 일전(一戰)을 준비 하자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3국 간섭에 대한 적대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다.주 794
각주 794)
김용구 (1997), 『전정판 세계외교사』, 서울: 서울대출판부, 387~393 쪽.
닫기
이는 자연스럽게 제국주의 전쟁의 군비 확장으로 이어졌다. 청국으로부터 받은 막대한 배상금 중 상당액이 군비확장에 사용되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와신상담(臥薪嘗膽)이’ 란 말이 국민적 슬로건으로 유행하였다.주 795
각주 795)
다나까 아키라 저·강진아 역 (2002), 『소일본주의 일본의 근대를 다시 읽는다』, 서울: 도서출판 소화, 104~106 쪽.
닫기

3국간섭의 대가로 러시아는 만주 철도 부설권을 따냈고, 1898년 여순·대련의 조차권을 얻었다. 일본은 동아시아에서 차지하던 지위를 위협받게 되었고, 그만큼 조선에 대한 영향력도 일시적이지만 줄어들게 되었다. 이를 틈 타 조선의 고종은 아관파천(俄館播遷)을 단행하고 러시아 힘을 통해 일본을 떨쳐내고자 하였다.주 796
각주 796)
이민원 (1996), 「노 일의 대리와 고종의 아관파천」 『한국정치외교사논총』14,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참조 .
닫기

그러나 조선 내에서 일어난 독립협회의 이권반대운동과 영일 양국의 방해로, 러시아는 조선으로부터 일보 후퇴하여 만주에 침략의 발판을 굳혔다. 1900년 의화단사건을 계기로 제국주의 열강과 출병한 러시아는 만주를 점령, 조선을 일본과의 완충지대로 삼으려 했다. 이에 일본군은 러시아와의 군사적 충돌을 염두에 두고 군사작전을 고려하기 시작하였다.주 797
각주 797)
조명철 (2006), 「러일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서울: 일조각, 354 쪽.
닫기

일본은 1902년 1월 영국과 동맹을 체결하였다. 일본은 러시아를 고립시킬 목적으로 당시 세계 최대 강대국인 영국과 협정을 체결하였다. 일본이 러시아와 전쟁할 때 영국이 중립을 지키게 되지만, 만약 러시아가 프랑스의 지원을 받으면 영국은 군사적으로 개입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영일동맹의 큰 이점은 러일전쟁이 일어날 경우 제3국이 참전하면 영국이 일본에 가세하게 되므로, 3국간섭 경우처럼 프랑스와 독일이 러시아에 가담할 명분이 사라지는 것이었다.
이후 적극적 만주정책으로 선회한 일본은 1904년 2월 뤼순항을 기습 공격하여 러시아 전함 2척과 순양함 1척을 파괴하였다. 9일에는 인천항에 정박 중인 러시아 함대를 격침시키고, 10일 선전포고를 하였다.주 798
각주 798)
최문형 (2004),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한국병합』, 서울: 지식산업사, 283~286 쪽.
닫기
러시아와 일본 간에 전쟁 분위기가 고조되자, 조선 정부는 1904년 1월 국외중립을 선언 하고 이를 열강에 통고하였다. 그러나 이 선언에 대해 응답할 국가는 그 어디에도 없었다. 이를 무시하고 서울에 진주한 일본군은 2월 23일 한일의정서를 강압적으로 체결하고, 병력과 군수품의 수송을 위해 경부·경의 철도 건설을 서둘렀다. 5월 18일에는 조선 정부로 하여금 러시아와 체결했던 모든 조약과 러시아인에게 부여 했던 모든 이권의 폐기·취소를 공포하게 하였다. 1905년 1월초 일본군이 뤼순항을 함락시키자, 러시아군은 대세를 만회하고자 발틱 함대를 전쟁에 파견하였다. 5월 27일 대한해협에서 일본해군은 러시아 발틱함대와의 격전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전세(戰勢)가 일본에게 유리하게 조성되자, 서구 열강은 이들 사이에 개입하게 되었다. 러시아와 일본이 청국에서 세력 확대하는 것을 원치 않던 미국은 일본의 강화 요청을 받고, 중재협상에 나섰다. 당시 러시아는 전력상 충분한 여력이 있었다. 그러나 제1차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여 전쟁을 더 이상 지속할 수 없는 곤란한 처지였기 때문에, 러시아도 이 강화회의에 응하였다. 서구 열강들 역시 러시아의 혁명운동이 전 세계로 파급될 것을 두려워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강화에 적극 개입하였다.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의 권고를 수락한 러시아는 일본과 포츠머드에서 강화조약을 체결하였다.주 799
각주 799)
석화정 (2006), 「러일전쟁」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서울: 연세대 출판부, 180~185 쪽.
닫기

일본은 러일전쟁과 동시에 1904년 2월 한반도에 군대를 파견하였다. 이러한 군사력에 기초해서 조선 정부를 위협해 ‘한일의정서(韓日議政書)를’ 강제 체결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내에서의 ‘군사행동’ 과 ‘시설개선’ 이란 구실을 내세워 내정간섭의 권리를 확보하고 조선에 대한 이른바 ‘보호국화’ 를 착수 하였다.
그 해 8월에는 제1차 ‘한일협약’ 이 강제 체결되었다. 일본은 대한제국의 식민화를 앞두고 열강의 외교적 승인을 얻는데 주력하였다. 미국과는 1905년 7월 ‘가쓰라-태프트밀약’ 을, 영국과는 8월에 제2차 영일동맹을 맺었다. 9월에 는 러일전쟁 직후 러시아와 포츠머스조약을 맺음으로써 국제사회에서 조선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였다. 조선 강제병합을 위한 국제적 승인까지 얻은 일본은 1905년 11월 외교권을 완전히 박탈하는 ‘을사조약’ 을 강제하였다.주 800
각주 800)
강만길 (1994), 『고쳐 쓴 한국근대사』, 서울: 창비, 254~256 쪽.
닫기
직접 당사자인 고종은 이에 맞서 끝까지 조약의 비준을 거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력을 동반한 강요 끝에 불법적으로 통과시킨 일본은 서울에 통감부를설치하고, 초대통감으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를임명하였다.주 801
각주 801)
현광호 (2010), 「국권상실 전후시기 (1905~1918)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과 한민족의 국권회복운동」 『한국문화』52, 서울대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87~290 쪽.
닫기

한국에 보호조약을 강요한 일본은 러시아로부터 얻지 못한 만주 이권을 청국으로부터 보상받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고무라 우찌다[內田康哉]와 경친왕, 위안스카이[袁世凱]사이에「만주에 관한 청일 조약」(1905.12.22) 이 체결되었다.
그런데 만주에 관한 한, 일본에 대한 미영의 태도는 조선에 대한 입장과 완전히 달랐다. 러일전쟁 중 미영이 일본을 지원한 것은 어디까지나 만주의 문호개방과 러일의 세력균형 유지가 가장 큰 배경이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반대로 영미가 러시아 대신 일본의 만주 독점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에 차후 일본과 대립이 불가피해졌다. 이런 감정은 크고 작은 충돌위기를 낳았고, 이 과정에서 미일 두 나라가 전쟁을 할 경우, 영국이 영일동맹에 의거, 일본에 군사적 지원을 하게 되어 있었다. 일본 때문에 영국이 미국과 전쟁을 벌일수 없는 노릇이었고, 영일관계에 애매한 상황이 조성되기도 하였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점은 이후 각 제국주의국가들이 만주 이권을 놓고 물러설 수 없는 치열한 경쟁과 반목, 대립을 지속적으로 표출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는 서구제국주의 국가들이 일본의 타이완, 조선 강점에 대해서는 방관하는 태도를 보였으나, 막대한 경제적 이권이 걸린 중국 대륙 및 만주에 대해서는 결코 양보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주 802
각주 802)
구대열 (1995), 『한국국제관계사 연구 1』, 서울: 역사비평사, 95~96 쪽.
닫기
이후 만주이권을 둘러싼 제국주의 국가들의 동상이몽(同床異夢)은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복잡하면서도 불안정하게 만드는 결정적 요소가 되었다.
한편, 일본제국주의 강점에 대응해 조선의 저항이 강력하게 일어났다. 그 중에 하나가 고종은 국제무대에서 을사조약의 무효를 선언하고 주권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1907년 6월 헤이그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하였다.주 803
각주 803)
윤병석 외 (2007), 『헤이그특사와 한국독립운동』, 천안: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를 참조할 것 .
닫기
그러나 일본은 이를 빌미로 오히려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고 순종을 즉위시켰다. 7월 24일에는 정미 7조약을 체결하고, 국가방위의 자위권을 행사하는 국가의 군대를 강제로 해산시켜버렸다.
또 일본은 조선침략에 가장 큰 걸림돌로 여기던 의병세력에 대한 대대적 탄압을 시작하였다. 이에 대해 일본은 엄청난 군사력을 동원한 탄압을 자행 하였다. 이른바 ‘남한대토벌작전’ 이란 방식을 통해 의병세력에 대한 무자비한 살육 작전을 감행했다.주 804
각주 804)
홍순권 (1998), 「의병학살의 참상과 남한대토벌」 『역사비평』45, 서울: 역사문제연구 소, 30~38 쪽.
닫기
압도적 군사력을 바탕으로 의병투쟁의 근거지를 초토화시키는 일본의 군사작전은 의병투쟁에 큰 타격을 입혔고, 결국 반일 투쟁이 급격하게 약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렇게 조선의 무력 저항이 완전히 진압되었다고 판단한 일제는 강제병 합의 수순을 밟기 시작하였다. 1910년 8월 22일 이완용과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穀]사이에 강제병합이 조인되었고, 29일에 선언됨으로써 조선은 이후 일본 식민통치를 받게 되었다.주 805
각주 805)
강만길 (1994), 258~261 쪽.
닫기

이처럼 러일전쟁은 동아시아에서 식민지분할을 위한 제국주의 세력간의 세력 각축의 결과였다. 조선 및 만주를 둘러싼 일본과 러시아 양국의 무력 충돌에 그치지 않고, 일본은 영국·미국의 자본이, 러시아는 프랑스의 자본이 각각 지원한 제국주의 침략전쟁이었다. 이 전쟁을 계기로 조선은 국권회복운동이 일본 제국주의 힘에 좌절되면서 제국주의 열강의 승인 내지 묵인 아래 일본에 강점당하는 불행을 겪게 되었다.

  • 각주 793)
    김현철 (2006), 148 쪽. 바로가기
  • 각주 794)
    김용구 (1997), 『전정판 세계외교사』, 서울: 서울대출판부, 387~393 쪽. 바로가기
  • 각주 795)
    다나까 아키라 저·강진아 역 (2002), 『소일본주의 일본의 근대를 다시 읽는다』, 서울: 도서출판 소화, 104~106 쪽. 바로가기
  • 각주 796)
    이민원 (1996), 「노 일의 대리와 고종의 아관파천」 『한국정치외교사논총』14,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참조 . 바로가기
  • 각주 797)
    조명철 (2006), 「러일전쟁과 동아시아 국제질서」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서울: 일조각, 354 쪽. 바로가기
  • 각주 798)
    최문형 (2004), 『국제관계로 본 러일전쟁과 한국병합』, 서울: 지식산업사, 283~286 쪽. 바로가기
  • 각주 799)
    석화정 (2006), 「러일전쟁」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서울: 연세대 출판부, 180~185 쪽. 바로가기
  • 각주 800)
    강만길 (1994), 『고쳐 쓴 한국근대사』, 서울: 창비, 254~256 쪽. 바로가기
  • 각주 801)
    현광호 (2010), 「국권상실 전후시기 (1905~1918)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과 한민족의 국권회복운동」 『한국문화』52, 서울대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87~290 쪽. 바로가기
  • 각주 802)
    구대열 (1995), 『한국국제관계사 연구 1』, 서울: 역사비평사, 95~96 쪽. 바로가기
  • 각주 803)
    윤병석 외 (2007), 『헤이그특사와 한국독립운동』, 천안: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를 참조할 것 . 바로가기
  • 각주 804)
    홍순권 (1998), 「의병학살의 참상과 남한대토벌」 『역사비평』45, 서울: 역사문제연구 소, 30~38 쪽. 바로가기
  • 각주 805)
    강만길 (1994), 258~261 쪽.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러일전쟁과 한국 강제병합 자료번호 : edeah.d_0005_002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