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중국의 인구변동과 사회변화

1. 중국의 인구변동과 사회변화

동아시아 사회에서 17~19세기는 전체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시기였다. 중국의 경우, 명나라초기인 14세기 말엽 6,500만명에서 1600년에는 1억 5,000만명으로 증가했지만, 17세기 초와 중엽은 인구가 감소했다. 명청교체에 따른 농민반란과 정복전재, 1630년대부터 1640년대까지 화북지방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인구가 크게 감소한 것이다. 청나라의 중국지배가 안정기에 접어든 1683년과 1700년 사이에 인구의 성장속도가 증가하여 1700년에 1억 5,000만 명 수준으로 회복되었고, 1794년에는 3억 1,30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18세기 1백년 남짓한 기간 동안 중국의 인구는 2배 이상 증가하였다. 1%에 약간 못 미치는 연평균 인구증가율이 1세기 동안 지속되었다는 것은 전근대사회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1770년 이후 증가율은 완화되었지만, 인구규모의 효과로 인해 1850년경 중국의 인구는 4억 3,000만명으로 증가하였다. 19세기 후반이후 중국사회는 인구압력을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여 점차 가난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거대한 인구규모 때문에 훨씬 낮아진 인구성장률에도 불구하고 1950년 중국의 인구는 5억 8,300만면으로 늘었다. 중국의 인구는 14세기 말에서 1850년의 450년 동안 약 6.6배가량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중국의 인구변동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주 621
각주 621)
何炳棣(허핑티) 지음·정철웅 옮김(1994), 『중국의 인구 1368~1953』, 책세상, 317~332쪽.
닫기

표 1 중국의 인구변동
연도인구(명)
14세기 말6,500만
16001억 5,000만
17001억 5,000만
17943억 1,300만
18504억 3,000만
19535억 8,300만
흔히 18세기 중국인구가 급증한 요인을 사망률의 감소에서 찾는다. 전통사회에서의 출생률은 급격하게 변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망률 감소의 원인으로 이 시기가 강희(康熙), 옹정(擁正), 건륭(乾隆) 황제의 통치시기로써 오랫동안 평화가 지속되었다는 점, 16세기에 천연두에 대한 백신이 이미 알려졌을 정도로 의학과 위생이 개선되었다는 점, 그리고 증가한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식량생산이 가능했다는 점 등을 꼽는다. 종두법(種痘法)이라는 천연두에 대한 백신은 제너의 천연두 백신개발보다 200년 앞선 것이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식량생산의 증가였다. 이 시기 중국의 인구와 경지면적을 상호 비교해 보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중국의 인구와 경지면적로이드 E. 이스트만 지음·이승휘 옮김(1999), 『중국사회의 지속과 변화』, 돌베개.
연도인구(단위 : 백만 명)경작면적(단위 : 백만 畝)1인당 경작면적(단위 : 畝)
140065~80370(±70)5.1
1600160500(±100)3.1
1779275(±25)950(±100)3.5
1850430(±25)1,210(±50)2.8
〈표 2〉에서 보듯이 1400년에서 1850년 동안 인구가 6.6배가량 늘었지만, 경작지 규모는 3.2배 증가에 그쳤다. 1인당 경작규모는 5.1무(畝)주 623
각주 623)
1무(畝)는 1/6에이커로 667㎡, 1/15정보(㏊)이며, 대략 200평(坪)정도에 해당한다.
닫기
에서 2.8무로 줄었다. 1인당 경작면적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인구증가가 지속된 것은 농업 생산력의 발전과 시장경제의 성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15세기 중엽이후 양자강 중류지역이 개발되어 중국의 주요곡창지대로 등장하였다. 양자강 유역의 호광(湖廣 : 호북과 호남지역) 및 사천지방의 경지가 급증했다. 강서성 남부 5부의 임야가 집중적으로 개간되어 강서지방의 경작지는 명나라 말기에 이르면 명나라 초기에 비해 북부에서는 5만여 경(頃 : 1頃은 100무)에 달했다. 그러나 이 시기 농어생산력 발전은 경지면적의 확대보다. 집약농법의 진전에 크게 의존하였다. 노동생산성보다는 토지생산성의 증대가 농업생산력 발전의 핵심이었다. 명나라 때에는 절기에 맞춰 해오던 쟁기질, 씨뿌리기, 모내기, 거름주기, 잡초제거, 수확 등의 단계별 작업이 정형화되었다. 청나라 때에는 작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해충구제를 위한 살충제도 사용했다. 또한 비료가 다양하게 개발되었고, 시비법이 개선되었으며, 퇴비제조법이 발전되었다. 각종 유기질, 무기질 비료가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비료사용량도 크게 늘었다. 벼농사의 집약화는 단위면적당 투입 노동량과 비료사용량의 증대에 의해 가능해졌다. 벼농사에 투입되는 노동과 비료의 양을 상호비교하면, 비료투입량의 비중이 명대에서 청대로 가면 27~50%까지 증가했다.
벼 품종의 개발도 단위면적당 곡물생산량의 증가에 한 몫을 담당했다. 성숙기간에 따라 50일 벼, 60일 벼, 80일 벼, 100일 벼, 120일 벼 등의 다양한 벼 품종을 다른 잡곡들과 결합하여 1년 2모작, 2년 3모작의 경작패턴을 개발하여 곡물생산량을 늘렸다. 다양한 농서의 출현으로 농업기술도 진전되었다. 명대에는 370여종, 청대에는 1천여종의 농서가 간행되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전래된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의 신대륙 작물들은 미곡의 대체식물 혹은 구황작물로 보급되었다. 신대륙 작물은 산지나 구릉지 등 이전에 버려둔 땅의 이용률을 높여 식량생산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곡물 중에서 미곡이 차지하는 비중은 명나라 말기에는 70%였으나 1930년대에는 36%로 낮아졌다.주 624
각주 624)
이준갑(2007), 「인구」 『명청시대 사회경제사』(오금성 외 지음), 이산, 183~185쪽.
닫기
옥수수는 곡물재배가 어려운 해발 1,000~2,000미터 정도의 고산지대나 건조한 땅에서도 재배가 가능했다. 옥수수가 중국에 전래된 것은 16세기 중엽이지만, 명말 청초까지 각광받지 못하였다. 중국 중남부에서 인구압력이 거세지던 18세기 중엽에서 19세기 전반기에 각 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하면서 섬서, 사천, 호북, 호남, 운남, 귀주 등 전국에 옥수수가 보급되었다. 16세기에 중국에 전래된 고구마는 다른 작물과 달리 무성번식이어서 재배가 쉽고 단위면적당 수확량도 많았다. 고구마는 18세기 중엽부터 감숙과 서북변경을 제외한 중국 전역에 보급되었고, 양자강 이남지역에서는 5~6개월치 식량 구실을 충분히 했으므로 서민들은 고구마를 쌀만큼 중시했다. 17세기 중엽 중국에 전래된 감자는 처음에는 중국인 입맛에 맞지 않아 18세기까지 큰 관심을 끌지 못하였지만, 19세기 중엽부터 서민의 식량으로 널리 재배되었다. 담배는 명나라 말기에 복건과 광동에 전래되었다. 처음에는 벼농사가 어려운 산지에서 재배되었지만 점차 이익이 많은 환금작물로 인식되면서 저지대 농경지에서도 재배되었다.주 625
각주 625)
강판권(2007), 「농업」 『명청시대 사회경제사』(오금성 외 지음), 이산.
닫기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청말 사천동북부지역에서 쌀값대비 옥수수 가격은 2/3~1/3, 고구마 가격은 1/6, 감자 가격은 1/20정도여서 18세기 인구폭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숙종벼의 개발과 조와 밀의 혼작, 다모작 등의 작부체계의 변화 또한 집약적 농업의 진전을 가능케 한 요인이었다. 이와 더불어 수리관개시설도 증가했다. 14세기에서 1900년까지 수리시설 건설을 위해 투입한 자본은 3~4배 증가하였다. 또한 분뇨, 녹색비료, 금비사용 등의 시비체계의 진전도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이외에도 강남지역에서도 농업생산과 뽕나무재배의 상호보완, 사탕수수재배를 토대로 한 양어장 경영, 과수재배를 기반으로 한 양어장 경영 및 북부지역의 농업과 목축업의 결합과 같은 다양한 복합적인 농업생산방식이 발전하였다.
18세기 중국은 인구가 많으나 땅이 적은 나라였다. 그러므로 토지의 공급탄력성에 비해 노동력의 공급탄력성 훨씬 컸다. 이러한 인구와 토지간의 모순은 토지절감기술을 발전시켜 토지이용률과 토지생산성을 향상시켰다. 그 결과 1400년에서 1850년 동안 경지 면적은 3.2배 증가했으며 식량 생산량은 5.3배 증가했고, 단위면적당 생산량도 3/4 증가하여 6.6배나 증가한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었던 것이다.주 626
각주 626)
王思明(왕쓰밍)(2003), 「유발적 기술과 제도의 변천-16세기 이후 중국의 농업발전」 『농업사연구』2권2호, 한국농업사학회.
닫기

농업에서의 혁신과 더불어 시장경제도 성장했다. 16세기 미주대륙의 은광개발의 여파로 마닐라를 통한 동서교역이 확대되었고, 특히 광동, 복건, 절강지역에는 연간 2~3백만 온스의 은이 유입되어 16세기 화폐경제의 붐을 조성하였다. 이에 따라 담배, 비단, 면화 등 상업작물재배가 복건, 광동 연안지방 등 강남지역에 성행했다. 수공업도 크게 발전했다. 면방직공업은 송강(松江), 비단산업은 소주(蘇州)와 항주(杭州), 염색은 안휘성의 무호(蕪湖), 종이산업은 강서성의 연산(鉛山), 도자산업은 경덕진(景德鎭)에서 발전하여 지역적 전문화를 수반했다.
농촌시장도 발전했다. 현(縣)내의 상업과 교통의 중심지에는 진(鎭), 시(市), 점(店), 보(步) 또는 부(埠)로 불리는 소도시가 생기고, 농촌에는 촌시(村市), 초시(草市), 허시(虛市), 집(集), 회(會), 장(場)으로 불리는 정기시가 섰다. 따라서 지방경제는 현대 물자 전체의 수급을 조절하는 현성(縣城), 그곳의 상점이 출점하여 형성한 진시(鎭市) 및 농촌의 물자수매와 판매장소인 촌락의 정기시라고 하는 3급의 시장에 의해 계층화되었다. 평균적인 농촌의 정기시에서는 중심지에 있는 시장거리의 주변에 있는 10개 이상의 마을이 하나의 시장권을 형성하여 장날에는 현성의 순회상인단이 각 정기시에 출장을 하였다. 정기시를 중심으로 하는 시장권은 농민의 사회·경제적인 생활의 기초 단위였다. 또한 진상(晉商)과 휘상(徽商)을 대표로 하는 대규모 상업자본도 형성되었고, 이들은 신용을 기초로 장거리 교역을 담당하였다. 이들에 의해 상방(商幇), 회관(會館), 공소(公所) 등과 같은 상인조직도 발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변화도 중요했지만, 변화하지 않은 것도 많았다. 기술, 제도, 정치가 변화하는 속에서도 전통적인 사회문화적 특징은 여전히 그 위세를 발휘하였다. 중국 사회는 변화보다도 안정과 조화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었다. 중국의 기술은 오랜 시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형태를 가지고 있었지만, 상업을 천시하는 유교적 가치관, 상하관계의 의존적인 인간관계 중심으로 이어진 사회조직과 가치관, 정부의 끊임없는 간섭과 방임 그리고 무관심, 안정적 수요로 인한 고정적인 상품 공급체계 등이 기술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 것이다.
18세기의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은 자원에 대한 압박을 가중시켰다. 인구가 너무 많았기 때문에 목초지가 부족했고, 축력보다는 인력에 운송을 의존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19세기에 이르러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 수 있는 금속원자재가 비싸졌고, 그런 것을 개발하는 것은 경제적이지도 합리적이지도 않았다. 인구의 급속한 성장으로 노동력을 제외한 모든 자원이 희소해졌기 때문에, 합리적 전략은 노동력을 절약하는 기계쪽이 아니라 자원과 고정자본을 절약하는 방향으로 기울었다. 즉 중국은 기술의 새로운 돌파구를 여는데 필요한 집중적 투자를 하기에는 인구밀도가 너무 높았고, 이러한 높은 수준의 인구와 중간수준의 기술이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이른바 “고차적인 균형의 함정”에 빠져 중국은 근대산업혁명으로 진전할 수 없었던 것이다.“주 627
각주 627)
마크 엘빈 지음·이춘식·김정희·임중혁 옮김(1989), 『중국역사의 발전형태』, 신서원.
닫기
중국은 제도의 실패로 발전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자원이용의 합리성 추구가 성장을 억제한 것이었다. 반면에 유럽은 인구가 적었던 데다가 식민지의 확대로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어 인구-토지자원 비율이 아시아보다 훨씬 낮았고, 이것은 고임금, 고비용 생산구조로 이어졌다. 유럽은 노동절약적 기계를 만들어야 할 절박한 이유가 있었다. 이 이유로 인해 유럽에서 산업혁명의 막이 올랐고, 유럽은 이때부터 경쟁력의 우위를 점하기 시작하였다.주 628
각주 628)
안드레 군더 프랑크 지음·이희재 옮김(2003), 『리오리엔트』, 이산.
닫기


  • 각주 621)
    何炳棣(허핑티) 지음·정철웅 옮김(1994), 『중국의 인구 1368~1953』, 책세상, 317~332쪽. 바로가기
  • 각주 622)
    로이드 E. 이스트만 지음·이승휘 옮김(1999), 『중국사회의 지속과 변화』, 돌베개. 바로가기
  • 각주 623)
    1무(畝)는 1/6에이커로 667㎡, 1/15정보(㏊)이며, 대략 200평(坪)정도에 해당한다. 바로가기
  • 각주 624)
    이준갑(2007), 「인구」 『명청시대 사회경제사』(오금성 외 지음), 이산, 183~185쪽. 바로가기
  • 각주 625)
    강판권(2007), 「농업」 『명청시대 사회경제사』(오금성 외 지음), 이산. 바로가기
  • 각주 626)
    王思明(왕쓰밍)(2003), 「유발적 기술과 제도의 변천-16세기 이후 중국의 농업발전」 『농업사연구』2권2호, 한국농업사학회. 바로가기
  • 각주 627)
    마크 엘빈 지음·이춘식·김정희·임중혁 옮김(1989), 『중국역사의 발전형태』, 신서원. 바로가기
  • 각주 628)
    안드레 군더 프랑크 지음·이희재 옮김(2003), 『리오리엔트』, 이산.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국의 인구변동과 사회변화 자료번호 : edeah.d_0004_0030_00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