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수은 아말감법 개발과 아메리카 은 유입

3. 수은 아말감법 개발과 아메리카 은 유입

금 은의 증산을 위해 기술도입에 열심이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는 스페인 식민지인 멕시코 누에바 에스파냐(Nueva España)를 통해 아말감법(Amalgamation process)을 수입하려고 하였다. 사도 은광산에서 일시적으로 시행된 ‘수은 나가시’는 이때 전해진 아말감법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수은 산출이 적어 값이 비싸고, 회취법이 뿌리내리고 있어서 아말감법이 보급되지 않았다.주 451
각주 451)
야마구치 게이지 지음·김현영 옮김(2001), 『일본 근세의 쇄국과 개국』, 서울 : 혜안, 31쪽.
닫기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등이 주도한 유럽 중상주의의 발달은 아말감법, 아르키메디안 스크류(Archimedean screw) 배수기 등 선진적 기술에 의해 생산된 남부 독일은의 힘 때문이었다. 일본에서 은 생산고가 높아갈 무렵, 남부 독일은은 광맥이 다하여 쇠퇴하고 있었다. 이때 일본은의 강적으로 등장한 것이 중남미은이다.주 452
각주 452)
야마구치 게이지 지음·김현영 옮김(2001), 30~32쪽.
닫기
스페인은 1535년 페루 리마(Lima)에 부왕청(副王廳)을 설치했다. 초대 부왕인 멘도사(Mendoza, 1533~1550년)와 더불어, 톨레도(Tolede, 1569~1581)는 16세기 페루 부왕 중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는 광산자원의 실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1545년 포토시(Potosi) 은광이 발견되었다.주 453
각주 453)
포토시는 현재는 볼리비아에 속하는 도시이다.
닫기
포토시 은광을 본격적으로 개발한 그는 개량된 채광법을 도입하고, 광산주 처우와 광산관리를 위한 법안을 작성하였다. 그러나 포토시 은광산은 1572년에 폐광 위기를 맞았다. 이 위기를 극복해 준 것이 새로운 수은 아말감공법의 도입이다.주 454
각주 454)
최영수(1995), 『라틴아메리카 식민사』, 서울 : 대한교과서(주), 154~157쪽 ; 강석영(1996), 『라틴아메리카史』(하), 대한교과서(주), 16쪽, 252쪽.
닫기

광석을 분쇄하여 염수(鹽水)와 수은을 가하여 섞은 후, 진흙을 씻어내면 은과 수은의 합금이 침전한다. 이 수은 아말감을 가열하여 수은을 증발시키면 은이 분리된다. 이것이 수은아말감법이다. 이 신기술은 품질이 낮은 광석에서도 은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의 도입으로 포토시 은광산의 산출량은 급증하였다.주 455
각주 455)
上田信(2005), 255쪽.
닫기
포토시 은광산에서 한때 연간 25만㎏의 은이 생산되었다. 당시 세계 은생산의 절반 또는 그 이상이었다. 16세기말부터 17세기초에 걸쳐 연평균 약42만㎏의 은이 생산되었다고 할 정도이다.주 456
각주 456)
야마구치 게이지 지음·김현영 옮김(2001), 32쪽.
닫기

포토시 은광산 개발 등으로 16세기 중반 이후 크게 증산된 아메리카은은 1557년 마카오(Macao, 澳門) 거주가 허락된 포르투갈 상인에 의해 이미 동남아시아를 경유하여 중국으로 유입되었다.주 457
각주 457)
기시모토 미오 외·김현영 외 옮김(2003),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 서울 : 역사비평사, 151쪽.
닫기
1571년에 스페인이 종전부터 점령하고 있던 루손섬에 마닐라(Manila)를 건설한 이후, 태평양의 범선 무역을 통해 아메리카은이 대량으로 중국에 유입되었다.주 458
각주 458)
岸本美緖(2001), 13~14쪽.
닫기
마닐라에서 온 선박이 태평양 연안에 있는 멕시코의 아카풀코(Acapulco)에 도착한 것은 포토시 은광산이 재생하던 1573년이다. 이 선박은 중국의 비단과 도자기를 가득 싣고 왔다. 비단 가격은 스페인 본국에서 온 것의 1/10정도였다. 이 스페인 무역선은 아메리카은을 싣고 다시 마닐라로 향하였다.주 459
각주 459)
上田信(2005), 255~256쪽.
닫기

포토시 은광산은 1570년대 이후 급속히 생산을 확대해 은 유통량을 끌어올렸다. 스페인이 아메리카에서 채굴한 은은 그곳에서 사용되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대서양을 횡단해 본국 스페인으로 운반되거나, 태평양을 횡단해서 마닐라에 운반되었다. 마닐라에 운반된 아메리카은은 중국상인에 의해 대부분 중국으로 유입되었다.주 460
각주 460)
岸本美緖(2001), 13~14쪽.
닫기

1570년대 이후 아메리카 은광과 중국을 연결하는 무역루트는 크게 3가지였다. ① 마닐라를 거점으로 하는 스페인의 갤리온(Galleon, 범선)무역, ② 마카오로 들어오는 포르투갈인의 무역, ③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를 통해 이루어지는 네덜란드와의 무역이다. 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은 마닐라를 통해서 이루어진 스페인과의 무역이다.주 461
각주 461)
조영헌(2009), 「은 유통과 교역망」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180쪽.
닫기

16, 17세기는 멕시코나 중앙안데스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은의 발견이 이어져서, ‘실버 러시(Silver Rush)’라고 불리는 ‘은 붐[Silver Boom]’이 일어났다.주 462
각주 462)
水本邦彦(2008), 282쪽.
닫기
16세기는 세계사적으로 은 유통량이 비약적으로 확대된 시기이다. 그 배경에는 아메리카 은광산 개발이 있었다. 그러나 16세기에 동아시아에서 ‘은의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알린 것은, 아메리카은이 아니라 일본은이었다.주 463
각주 463)
岸本美緖(2001), 7쪽.
닫기

전 세계적인 은의 흐름의 최종 수요자는 중국이었다. 중국으로 은이 몰린 가장 중요한 이유는 중국이 은의 가치를 높이 쳐주었기 때문이다. 16세기에 유럽보다 중국에서 은 가치가 2배 정도 높았다. 중국은 다른 어느 물품보다 은을 선호하고, 은 가치도 높이 평가하므로, 중국 상품을 구하려면 은을 가지고 가는 것이 가장 유리한 장사였던 것이다.주 464
각주 464)
주경철(2008), 『대항해시대』,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57~259쪽.
닫기


  • 각주 451)
    야마구치 게이지 지음·김현영 옮김(2001), 『일본 근세의 쇄국과 개국』, 서울 : 혜안, 31쪽. 바로가기
  • 각주 452)
    야마구치 게이지 지음·김현영 옮김(2001), 30~32쪽. 바로가기
  • 각주 453)
    포토시는 현재는 볼리비아에 속하는 도시이다. 바로가기
  • 각주 454)
    최영수(1995), 『라틴아메리카 식민사』, 서울 : 대한교과서(주), 154~157쪽 ; 강석영(1996), 『라틴아메리카史』(하), 대한교과서(주), 16쪽, 252쪽. 바로가기
  • 각주 455)
    上田信(2005), 255쪽. 바로가기
  • 각주 456)
    야마구치 게이지 지음·김현영 옮김(2001), 32쪽. 바로가기
  • 각주 457)
    기시모토 미오 외·김현영 외 옮김(2003), 『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 서울 : 역사비평사, 151쪽. 바로가기
  • 각주 458)
    岸本美緖(2001), 13~14쪽. 바로가기
  • 각주 459)
    上田信(2005), 255~256쪽. 바로가기
  • 각주 460)
    岸本美緖(2001), 13~14쪽. 바로가기
  • 각주 461)
    조영헌(2009), 「은 유통과 교역망」 『동아시아사 교과서 집필 안내서』,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180쪽. 바로가기
  • 각주 462)
    水本邦彦(2008), 282쪽. 바로가기
  • 각주 463)
    岸本美緖(2001), 7쪽. 바로가기
  • 각주 464)
    주경철(2008), 『대항해시대』,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57~259쪽.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수은 아말감법 개발과 아메리카 은 유입 자료번호 : edeah.d_0004_0020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