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성칠(1946), 『조선역사』, 조선금융조합연합회.
북한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편(1977), 『조선통사』, 과학백과출판사.
             (1980), 『조선전사』, 백과사전출판사.
이준걸(1986), 『조선시대 일본과 서적교류 연구』, 홍익재.
하우봉(1989), 『조선후기 실학자의 일본관 연구』, 일지사.
   (2006), 『조선시대 한국인의 일본인식』, 혜안.
한명기(1999),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한일관계사연구논집편찬위원회 편(2005),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정두희 엮음(2007),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동북아역사재단 편(2010), 『임진왜란과 동아시아세계의 변동』, 경인문화사.
최관·김시덕(2010), 『임진왜란 관련 일본문헌 해제』, 도서출판문.
池內宏(1914), 『文祿慶長の役』, 南滿洲鐵道株式會社.
德富猪一郞(1935), 「豊臣氏時代 朝鮮役」 『近代日本國民史』 8, 民友社.
市村瓚次郞(1943), 『東洋史統』 3, 富山房.
中村榮孝(1969), 『日鮮關係史の硏究』中卷, 吉川弘文館.
北島万次(1989), 『豊臣政權の對外認識と朝鮮侵略』, 校倉書房.
    (1995), 『豊臣秀吉の朝鮮侵略』, 吉川弘文館.
紙屋敦之(1997), 『大君外交と東アジア』, 吉川弘文館.
倉地克直(2001), 『近世日本人は朝鮮をどうみていたか』, 角川書店.
李化龍(1937), 『平播全書』, 上海 商務印書館.
李光濤(1972), 『朝鮮壬辰倭禍硏究』, 臺灣 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鄭樑生(1985), 『明日關係史の硏究』, 雄山閣.
金時德(2010), 『異國征伐戰記の世界』, 笠間書院.
井上泰至·金時德(2011), 『秀吉の対外战爭』, 笠間書院.
이현종(1974), 「임진왜란시 유구 동남아인의 내원」 『일본학보』 2.
권중현(1976), 「임진왜란을 중심으로 한 삼국의 외교관계」 『院鳳』 3집, 경희대대학원.
허선도(1984), 「임진왜란에 대한 새로운 인식 : 승패의 실상을 중심으로」 『한국학』 31, 중앙대학국학연구소.
민덕기(1990), 「조선후기 朝日講和와 朝明關係」 『국사관논총』 12.
최소자(1990), 「명말 중국적 세계질서의 변화-壬辰·丁酉倭禍를 중심으로-」 『명말·청초사회의 조명』, 한울아카데미.
최영희(1992), 「임진왜란에 대한 이해의 문제점」 『한국사론』 22, 국사편찬위원회.
김문자(1998), 「일본인과 임진왜란」 『상명사학』 6.
오종록(2000), 「여러 얼굴의 전쟁, 임진왜란」 『내일을 여는 역사』 1.
노영구(2003), 「임진왜란 초기 양상에 대한 기존인식의 재검토」 『한국문화』 31.
정구복(2005), 「임진왜란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문숙자(2005), 「임진왜란으로 인한 생활상의 변화」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케네스 스워프(Kenneth M. Swope : 2007), 「脣亡齒寒-명나라가 참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宮嶋博史(2009), 「근세 일본의 조선인식-임진왜란의 기억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지식교류와 역사기억』, 동북아역사재단.
한명기(2009), 「동아시아 국제관계에서 본 임진왜란-전쟁 이후 조선을 둘러싼 명·청·일 관계를 중심으로-」 『임진왜란과 동아시아세계의 변동』, 경인문화사.
紙屋敦之(1987), 「幕藩制國家の成立と東アジア」 『歷史學硏究』 573.
上坦外憲一(1992), 「日本にとっての文祿·慶長の役」 『季刊靑丘』 11.
久芳崇(2002), 「16世紀末日本式鐵砲の明朝への傳播 : 萬曆朝鮮の役にから播州楊應龍の亂へ」 『東洋學報』 84-1.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자료번호 : edeah.d_0004_0010_0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