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의 역사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사
강봉룡(1992), 「삼국시기의 율령과 민의 존재형태」 『한국사연구』 78.
고경석(1997), 「신라 관인선발제도의 변화」 『역사와 현실』 23.
김영심(1997a), 「백제의 지방통치체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b), 「한성시대 백제 좌평제의 전개」 『서울학연구』 8.
   (1998), 「百濟 官等制의 成立과 運營」 『國史館論叢』 82, 국사편찬위원회.
노용필(2002), 「신라시대 율령의 확충과 수찬」 『홍경만교수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 한국사학논총간행위원회.
노중국(1979), 「고구려율령에 관한 일시론」 『동방학지』 21.
   (1986), 「백제율령에 대하여」 『백제연구』 7.
   (1988),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노태돈(1989), 「울진봉평신라비와 신라의 관등제」 『한국고대사연구』 2.
   (1999),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2000), 「초기 고대국가의 국가구조와 정치운영-부체제론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17.
木村誠(1982), 「統一新羅の官僚制」 『東アジア世界における日本古代史講座』 6(日本律令國家と東アジア), 學生社.
武田幸男(1978), 「高句麗官位制とその展開」 『朝鮮學報』 86.
문동석(1996), 「4~5세기 백제 정치체제의 변동」 『한국고대사연구』 9.
여호규(1997), 「1~4세기 고구려 정치체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희덕(1986), 「한국고대의 자연과 유교정치사상」 『동방학지』 50.
임기환(2000), 「4-7세기 고구려 관등제의 전개와 운영」 『한국 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아카넷.
   (2004), 『고구려정치사연구』, 한나래.
전덕재(1996), 『신라육부체제연구』, 일조각.
   (2002),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태학사.
   (2006), 『한국고대사회경제사』, 태학사.
   (2007), 「삼국 및 통일신라의 경제정책과 경제사상」 『한국유학사상대계』 Ⅶ(경제사상편), 한국국학진흥원.
   (2009), 『신라 왕경의 역사』, 새문사.
   (2010a), 「신라의 독서삼품과: 한국 과거제도의 전사」 『한국사 시민강좌』 46, 일조각.
   (2010b), 「6세기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관등제의 정비과정」 『목간과 문자』 5.
전봉덕(1956), 「신라율령고」 『서울대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 4.
   (1968), 『한국법제사연구』, 서울대출판부.
정호섭(2004), 「신라의 국학과 학생녹읍」 『사총』 58.
주보돈(1998), 『신라 지방통치조직의 정비과정과 촌락』, 신서원.
한정수(2004), 「고려전기 중농이념과 농경의례」,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홍승우(2011), 「한국 고대 律令의 성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중국사
堀敏一(1975), 『均田制の硏究』, 岩波書店.
   (1982), 「中國における律令制の成立」 『東アジア世界における日本古代史講座』 6, 學生社.
김유철(1989), 「균전제와 균전체제」 『강좌 중국사』Ⅱ, 지식산업사.
金鐸民主編(2003), 『譯註 唐六典』上, 신서원.
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임대희 등 옮김(2002), 『구품관인법의 연구』, 소나무.
박한제(1989a), 「위진남조 귀족제의 전개와 그 성격」 『강좌 중국사』Ⅱ, 지식산업사.
   (1989b),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 『강좌 중국사』Ⅱ, 지식산업사.
濱口重國(1966), 『秦漢隋唐史の硏究』上·下, 東京大學出版會.
山本隆義(1968), 『中國政治制度の硏究-內閣制度の起源と發展-』, 東洋史硏究會.
유원적(1989), 「당 전기의 지배층」 『강좌 중국사』Ⅱ, 지식산업사.
趙吉惠 等著·김동휘 옮김(1997), 『중국유학사』1·2권, 신원문화사.
曾我部靜雄(1973), 『中國律令史の硏究』, 吉川弘文館.
曾資生(1945), 『中國政治制度史』 第三冊, 啓業書局.
첸파핑 지음·최성흠 옮김(2005), 『한권으로 읽는 유교』, 산책자.
하원수(1992), 「당대 명경과의 성격」 『동양사학연구』 42.
   (1998), 「당 전반기 진사과의 성격」 『역사학보』 158.
하원수(2005), 「『당육전』 ‘국자감’ 역주」 『중국고대사연구』 14.
일본사
久木幸男(1968), 『日本古代學校の硏究』, 玉川大學出版部.
吉田孝(1994), 「八世紀の日本」『日本通史』 第四卷(古代3), 岩波書店.
吉村武言編(2008), 『大化改新と古代國家誕生』, 新人物往來社.
大津透(2007), 「고대 일본에서 율령의 수용」 『민족문화논총』 37.
大津透編(2008), 『日唐律令比較硏究の新段階』, 山川出版社.
渡辺晃宏(2001), 『平城京と木簡の世紀』, 講談社.
武光誠(1983), 『日本古代國家と律令制』, 吉川弘文館.
彌永貞三(1972), 「古代の釋奠について」 『續日本古代史論集』下卷( 坂本太.博士古稀記念論叢), 吉川弘文館.
배정렬(2003), 「헤이안시대의 학제와 교육-겐지모노가타리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8.
笹山晴生(1977), 『日本古代史講義』, 東京大學出版會.
岸俊男(1969), 『藤原仲麻呂』, 吉川弘文館.
野村忠夫(1967), 『律令官人制の硏究』, 吉川弘文館.
王金林(1988), 『奈良文化と唐文化』, 六興出版.
이정희(1991), 「6~7세기 일본에서 율령수용의 과정과 의미」 『한국고대사연구』 4.
   (2006), 「奈良朝 藤原仲麻呂의 亂에 대하여」 『대구사학』 82.
井上光貞(1962), 「律令體制の成立」 『岩波講座 日本歷史』 古代 3, 岩波書店.
井上光井等 編(1984), 『日本歷史大系』 1(原始·古代), 山川出版社.
靑木和夫(1982), 「日本律令國家」 『東アジア世界における日本古代史講座』 6, 學生社.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자료번호 : edeah.d_0002_0030_0040